MiG-35

 



[image]
[image]
'''Mikoyan MiG-35 (Микоян МиГ-35) Fulcrum-F'''
MiG기 계보
MiG-33

MiG-35
1. 제원
2. 개요
3. 성능
4. 도입
5. MiG-35(МиГ-35)라는 이름에 얽힌 비화
6. 둘러보기


1. 제원


'''Mikoyan MiG-35'''
'''분류'''
다목적 전투기
'''개발사'''
Mikoyan
'''제조사'''
PJSC United Aircraft Corporation
'''첫 비행'''
2007년 2월 7일
'''생산기간'''
2007년~현재
'''배치기간'''
2019년부터 시작
'''생산대수'''
24기 생산예정
'''러시아 공군 24기'''
'''승무원'''
'''MIG-35''' 1명
'''MIG-35D''' 2명
'''전장'''
17.29 m
'''전폭'''
11.98 m
'''전고'''
4.75 m
'''익면적'''
38 m²
'''자체중량'''
11,000 kg
'''적재중량'''
17,500 kg
'''최대이륙중량'''
29,700 kg
'''엔진'''
Klimov RD-33MK 터보팬 엔진 x2기
'''엔진출력'''
각 53.0 kN (11,900 lbf) (AB : 88.3 kN (19,840 lbf)
'''항속속력'''
마하 1.17
'''최대속력'''
마하 2.2
'''항속거리'''
2,400 km
'''페리항속거리'''
'''외부 연료 탱크 2기 장착 시 :''' 3,100 km
'''공중 급유 시 :''' 6,000 km
'''전투행동반경'''
1,000 km
'''실용상승한도'''
19,000 m
'''고도 상승률'''
330 m/s
'''추력중량비'''
1.03
'''최대 중력 가속 한계'''
+10G
'''레이더'''
'''Phazotron Zhuk-AE''' AESA 레이더
'''항전장비'''
'''OLS-UEM''' EOTS
'''OLS-K''' EOTS
'''무장'''
'''고정'''
Gryazev-Shipunov GSh-30-1 30 mm 기관포, 150발 탑재
'''공대공 미사일'''
R-73E Vympel
R-77M/P/T Vympel NPO
'''공대지 미사일'''
Kh-25MAE
Kh-29L/TE
Kh-36 Grom-E1
Kh-38ME
Kh-31PD
'''공대함 미사일'''
Kh-31A/AD
'''폭탄'''
KAB-500KR
KAB-500L
KAB-500S-E

2. 개요



소련러시아로 바뀌면서 국방예산이 대폭 감축되자 러시아 공군러시아 해군Su-27(Су-27) 계열을 단일 주력전투기로 사용하기로 하여 MiG-29의 입지가 대폭 약화되었으며, 수출시장에서도 처음에 잘 팔리던 MiG-29가 걸프전과 유고 내전에서 일방적으로 격추당하는 꼴을 보여 Su-27에게 시장을 많이 빼앗기게 되자[1], 이를 만회하기 위해 MiG-33처럼 단순 개량이 아닌 전면 재설계해서 수출시장에 내놓을 목적으로 등장한 기종. 곳에 따라서 '슈퍼 펄크럼'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다만 NATO 코드명으로는 '펄크럼 F'이며, '슈퍼 펄크럼'은 '펄크럼 E'와 더불어 MiG-33에 붙여진 코드명이다. 최근 러시아 공군(ВВС России)이 6여대를 발주해놓은 상태이다. (원래 2013년도에 36대였다가. 2017년도엔 24대로 줄었고. 현재 6대를 주문했다고한다.)

3. 성능


주된 개량점은 역시 МiG-29의 약점으로 지적되던 짧은 항속거리, 탑재량을 크게 늘렸다.
[image]
MiG-35의 레이더인 Zhuk-AE(Жук-АЕ)
신형 AESA 레이더인 Zhuk-AE는 형식에 따라 T/R 모듈 개수를 조절하여, 합리적인 비용으로 장착이 가능했는데[2], 저가형은 지상 목표는 30km, 공중목표는 110km의 탐지능력을, 중급형은 130km, 일반형은 160km, 고급형은 170km의 탐지능력을 가지며, T/R 수가 1016개에 이르는 최종형에서는 무려 250km의 탐지거리를 가진다. 적 함선같은 큰 물체는 저가형도 200km, 일반형은 300km 밖에서 탐지가 가능하며, 동시 추적 개수는 30대, 동시 교전능력은 6대 이다.
또한 디지털 사격통제장치의 도입으로 R-77(Р-77), R-73(Р-73) 등을 사용하여 BVR 능력과 대지상 타격능력이 매우 뛰어나졌으며 Su-35BM(Су-35БМ)처럼 추력편향 엔진을 도입하여 기동력을 극한으로 끌어올렸다. 여담으로 MiG-29에도 있는 프로프 공중급유장치가 삭제되었다는 말이 있는데, 이는 사실이 아니며 엄연히 존재한다.

4. 도입


현재 말레이시아 같이 기존의 MiG-29를 사용하는 국가 및 베트남 같은 국가에게 더 활발한 판촉을 하고 있다.
2011년 4월 28일에 인도군의 MiG-21(МиГ-21) 126대를 대체하는 차기 중형 전투기 사업인 MMRCA에서 탈락함에 따라 전망이 어두웠다. 비단 외부의 평가만이 아니라 러시아 내부의 평가도 부정적이었는데 탈락이 확정된 4월 28일 러시아 국영 일간지인 프라우다에서는 인도에서의 탈락으로 MiG-35 프로그램이 사실상 끝났다는 언급을 하며 미코얀의 부채가 440억 루블(2011 환률로는 약 14억 달러, 현재는 그 절반가량)에 달하기에 이번 실패를 감당하기 힘들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그러던 중 기적적으로 2015년 이집트 공군에서 라팔과 함께 도입한다는 소식이 있었는데 2016년 2월에 단좌식 46기와 복좌식 50기를 합쳐서 총 96기의 MiG-35를 구매하기로 결정되었다. 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46기로 50기가 줄어들었다. 아마도 이집트의 경제상황이 좋지 않은 것이 영향을 미친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나 영문위키백과에 따르면 이집트는 MiG-33(MiG-29M)으로 기종을 바꾸었다고 한다.
[image]
2017년 1월 17일에는 러시아 공군용 MiG-35 1호기의 롤아웃 행사가 열렸다.
[image]
러시아 공군용 MiG-35
[image]
이집트 공군용 MiG-35
2020년 12월 9일, 러시아 항공 방산 분야 매체인 아비아 프로(avia pro)의 보도에 따르면 북한이 새 전투기 도입을 원하고 있으며 현재 MiG-35와 중국의 J-10과 함께 경합 중이라고 한다.# 일단 성사가 된다면 미사일 타겟에 불과했던 북한 공군이 제대로 된 최신예 전투기를 갖추게 된다는 점인지라 대한민국 공군 입장에서는 골치가 좀 아파지는 상황.[3] 물론 들여오는 수량과 무장, 전자장비 상태가 중요하긴 하지만. 다만 MiG-35가 아직 러시아군에 도입되지도 않은 기종이라는 점과[4], UN 금수조치, 그리고 현재 북한의 재정 상태를 고려하자면 근시일내에는 도입이 어려울것 같다. #1, #2

5. MiG-35(МиГ-35)라는 이름에 얽힌 비화


한때 서방권과 동구권 국가들은 MiG-35라는 같은 형식번호를 가지고 서로 다른 전투기를 지칭하고 있었다(…).
서방권 국가에서의 MiG-35는 F-22의 대항마로서 개발되던 MiG-MFI(МиГ-МФИ)를 지칭하는 말이었고, 동구권 국가들이 부르는 MiG-35(МиГ-35)는 MiG-29(МиГ-29)의 최신 개량형인 위에 설명한 전투기를 칭한다. 한마디로 전투기판 아쿨라급.
다만 MiG-MFI가 페이퍼 플랜이기 때문인지, 이제는 서방권에서도 MiG-MFI를 MiG-35라 칭하는 일은 별로 없게 된 것 같다. 덕분에 현재는 서방권에서든 동구권에서든 MiG-35는 위에서 설명한 전투기를 칭하는 말로 의미가 통일된 것으로 보인다.

6. 둘러보기




[1] 아프리카 내전에서 MiG-29들은 Su-27에게 털리기도 했다.[2] 이 때문에 T/R 모듈이 적을수록 크기가 작아진다. 가령 저가형은 레이더 직경이 680mm, 고급형은 688mm, 최종형은 700mm다.[3] 현재 한국군의 F-35 도입은 함재기 용도인 B까지 합쳐 80여대 정도 예상되는 상황이고 아예 한쪽에서는 CVX 사업을 통해 한계가 있는 하이급 수요 제한을 피하고 함재기 명목으로 F-35B라도 들여와서 쨋든 F-35 숫자를 더 늘릴려는 구실을 겸하고 있는거 아니냐는 말이 나온다. 국방 포커스에서 밝힌 공군이 구상중인 차기 로드맵만 봐도(2030년대에 KFX 후속기와 2050년대에 6세대 전투기 획득을 하는것이 거론 되었다.) 북한이 미그 35이후 또다른 고성능 차기전투기를 들여오는게 아닌 이상 그 격차는 이미 넘사벽으로 더더욱더 멀어진다[4] 이때문에 일각에서는 가격이 더욱더 싸기도 한 J-10, FC-1 등의 중국산 기종들로 공군전력을 바꾸는 것이 아니냐 라는 추측이 나오기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