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TS/연구
1. 개요
RTS 게임에 들어가는 시스템.
2. 상세
생산하는 유닛의 능력을 강화시키기 위해서 또는 기존에 없는 특수한 기술을 추가하기 위해서 이루어지는 RTS게임 상의 활동이다. 과거에는 그리 흔하게 찾아볼 수 없는 개념이었으나 근래에 나오는 RTS 계열은 비중의 차이는 있어도 연구 개념이 들어있다.
연구를 하기 위해서는 일정량의 자원이 소모된다. 연구가 게임에 작용하는 수준에 따라 소모되는 자원의 양은 차이가 있으며, 게임 상에 여러 개의 자원이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희소한 자원들이 비용에 포함되는 편이다. 연구에 소모되는 자원은 병력을 생산할 자원을 쪼개서 투자하는 것이므로, 불필요한 연구나 비용대비 효과가 낮은 연구는 공기 취급 당한다. 만약 상대가 이러한 연구를 했다면 지금 당신은 안드로메다로 여행을 떠난 상태나 다름없다. 대표적으로 테프전에서의 의료선 에너지 증가 업그레이드.[1]
게임에 따라 생산건물이 연구를 수행하는 경우도 있고, 연구만 전문적으로 하는 건물이 분리된 경우도 있다. 후자는 보통 기존의 생산건물에서 특정 고급유닛을 생산 가능하게 해주는 건물이거나, 혹은 공격력/방어력 업그레이드를 전문으로 하는 건물인 경우가 많다. 전자의 경우에는 보통 연구를 진행하는 동안 유닛 생산이 막힌다는 난점이 있지만, 대신 추가적으로 건물을 건설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후자의 경우에는 유닛을 생산하면서 연구를 같이 돌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사실상 건물 생산비가 업그레이드 비용에 포함되기 때문에 비용 소모가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다. 보통 연구를 위한 건물은 하나만 건설하는 편이다. 여러 개 지어도 상관은 없지만, 동시에 여러 개 연구를 할 정도로 자원이 여유로운 경우는 정말 드물다.[2] 그리고 정해진 연구가 끝나고나면 그냥 자리만 차지하는 건물일 뿐이다. 다만 연구를 끝내고도 연구 건물이 없으면 유닛 생산이 막히기 때문에 최소한의 관리는 필요한 경우도 있다.
생산량이 많을 수록 업그레이드 효율이 x배율로 증가하기 때문에 부대를 평균적으로 강하게 하려면 공방업을 꾸준히 해주는 것이 좋다. 하지만 RTS 게임에 적용된 란체스터 법칙 때문에 ''''공방업 따위 씹어먹고 닥치고 물량'''으로 플레이하는 경우도 있다. 물론 대부분의 RTS에는 한계인구수가 있기 때문에, 쌍방 모두 한계인구수까지 간다면 공방업 차이가 승패를 가르게 된다. 일반적으로 업그레이드가 완료되면 기존에 생산된 유닛들도 함께 업그레이드가 적용된다. 이런 이유로 중후반에는 여유가 있어지는 자원을 빠르게 연구에 투자하기 위해 공방업을 할 수 있는 건물은 여러 개를 짓기도 한다. 이를테면 스타크래프트의 업테란 전용 2아머리, 저그 3챔버, 토스 2~3포지.
3. 사례
장보고전의 경우 다른 RTS와 좀 다른 독특한 업그레이드 체계를 지닌다. 업그레이드를 위해서는 업그레이드 전용 유닛인 '학자'를 생산해야 하고, 이 유닛을 업그레이드 전용 건물인 연구소에 갈아넣으면 업그레이드가 해제되는 방식이다. 이 해제는 정해진 순서가 있어 원하는 물건만 우선적으로 업그레이드를 해금할 수는 없다. 그리고 업그레이드가 완료되어도 기존 유닛들이 짠 하고 순식간에 더 좋은 장비를 지급받는 것이 아니라, 생산 건물에서 새 유닛을 만들 때 업그레이드된 장비를 착용시켜서 비싸게 뽑을 것인가, 아니면 이전 장비를 착용해서 능력이 약하더라도 싼 유닛을 양산할 것인가를 선택할 수 있다.
반지의 제왕: 중간계 전투 같은 경우도 특이한데, 업그레이드를 하면 기존의 유닛들에게 일괄적으로 적용되는 대신 업그레이드를 한 뒤 각 유닛마다 다시 비용을 들여 장비해줘야 한다. 가령 불화살 업그레이드 같은 경우 일단 업그레이드 건물에서 연구를 한 뒤 궁병들을 선택해 불화살을 들려줘야 한다.
Earth 2150 시리즈의 경우 연구를 해야 유닛, 무기들을 제작할 수 있다. 거긴 워존 2100처럼 사용자가 무기들을 조합해서 독창적인 병기를 만드는 게임이기 때문이다. 연구시설을 여러개 지어서 속도를 줄일 수 있지만 3개정도가 한계
홈월드도 연구를 해야 상위 테크를 탈 수 있는 게임. 급하면 한가지 연구에 올인할 수 있다.
당연히 연구가 없는 게임들도 존재한다. 다크레인, 토탈 어나이얼레이션 등.
일종의 패시브 스킬 형태로 반 영구적 업그레이드를 해주는 게임으로는 노바 1492 AR이 있다.
대체로 xx업 형태로 약어화해서 쓴다. 예를 들면
- 공격력 업그레이드 - 공업
- 방어력 업그레이드 - 방업
- 이동속도 업그레이드 - 속업 또는 발업(발 달린 유닛 한정)[3]
- 공격속도 업그레이드 - 공속업
- 사정거리 업그레이드 - 사업
[1] 이게 왜 문제가 되냐면 '''보유 에너지가 고스란히 자신이 받는 피해로 돌아오는 고위 기사의 환류에 더 치명적이기 때문'''.[2] 예외적으로 진화장은 탱킹(...)용으로 다수 짓는 경우가 많다.[3] 발업질럿이나 발업저글링이란 말은 자주 나오지만 발업벌처라는 말은 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