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rframe/성계 지도/금성/오브 협곡
1. 개요
[image]
'''Orb Vallis'''
TennoCon 2018에서 공개되었고 한국 시간으로 동년 11월 9일에 업데이트로 추가된 금성의 오픈 월드 지역.
현실의 태양계 금성과는 정 반대로 눈으로 뒤덮인 극지방의 특성을 지녔다. 혹독한 추위를 피해 지하에는 코퍼스 개척지이자 채무 노동자들의 지하 도시인 '포르투나'와 그 노동자들의 집단인 솔라리스 연합이 위치하고 있다.
2. 상세
오브 협곡은 지구의 "아이돌론 평원"에 이어 나온 Warframe의 두번째 오픈 월드 지역이다. 지역 전체가 설원 지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밤낮 구분이 없는 것이 큰 특징인데, 이는 실제 금성의 환경에서 기반한 이유일 것이다. 금성 문서에도 기재되어 있지만 금성의 자전 주기는 243일이며, 공전 주기는 225일이다. 다만 밤낮의 변화는 없는 대신 궤도 상의 테라포밍 반사경 덕분에 두터운 구름층 너머로 테라포밍 반사경이 뜨고 지는 것은 볼 수 있다. 그로 인해 성계지도에는 밤낮이 아닌 지역 기온을 표기한다. 기온은 따뜻함이 약 4분간, 추움이 22분간 주기적으로 바뀐다. 이 밖에도 눈폭풍이 불어닥치는 환경변화가 존재하고 아이돌론 평원보다 야생동물의 식생이 다양하다.오브 협곡 시간 표시 사이트. 시터스 시간도 같이 나온다.
설정 상 본래는 현실의 금성과 마찬가지로 엄청난 고온에 산성 기후인 금성을 오로킨 제국 시대때 생명체가 거주하기 적합하게 테라포밍하고자 냉각제 발사 장치를 궤도 상에 배치해 금성 표면으로 냉각제를 투하하였으나 적당히 투하하고 끝냈어야 할 것을 도중에 텐노들이 일으킨 반란에 의해 오로킨 제국이 망하면서 이를 관리할 사람은 없는데 장치는 계속 작동되어 결국 기후를 적당히 바꾸는 수준을 넘어 아예 행성 전체가 얼어붙게 되었다고 한다. 다만 여전히 행성 내부는 불안정하여 용암과 비슷한 '써미아'라는 고온의 액체가 지표를 뚫고 분출되는 모양.
테라포밍을 위해 기기의 장시간 사용에 필요한 다량의 냉각수를 이곳, 금성에 끌어와 안정화된 지면에 채워 저수지를 형성했다. 문제는 냉각수 처리시설이 없어 지하에 때려박아 처리하는 일이 잦고 냉각수의 성분과 지하 가스, 높은 온도가 만나 맨틀의 대류가 급격히 불안정해지면 지각을 꿰뚫고 써미아가 분출되는 모양. 이때 이 써미아 분출구를 처리하지 못하면 행성 표면이 붕괴되어 테라포밍을 빙자한 빙하기도 종말을 고하게 된다. 물론, 코퍼스와 솔라리스 모두 통구이가 되기 때문에 써미아로 이득을 취하려는 엔요에게 맞서 텐노가 직접 분출구를 안정화시키는 써미아 청소부를 해야 한다.
TennoCon 2018에서 공개되었고 추후 "레일잭" 콘텐츠에서 금성 외부 궤도 상에 배치된 과거 오로킨의 테라포밍 장치들을 볼 수 있게될 예정이다.[1]
3. 경보 시스템
오브 협곡 내에서는 기존의 알람과는 다른 1~4단계로 이루어진 경보 시스템을 사용한다. 적과 교전하다 보면 크루맨 계열의 적이 도중에 빙글빙글 도는 구조물을 하나 설치하는데, 이것은 지원군 비컨으로 설치된 이후 마커가 표시된다. 비컨을 파괴하지 않을 경우 경보 단계가 올라가게 되며, 경보 단계 1 이상일 경우 상황에 따라 텔레포트/코일드라이브/드랍쉽에 의해 코퍼스 측의 지원군이 도착해서 텐노를 공격하게 되며, 비활성화되었던 각종 터렛들이 텐노를 겨냥하기 시작한다. 경보 단계가 높아질수록 엘리트 유닛(컴바/오버테이커/프로바이저 등)이 스폰할 확률이 높아지게 되며, 경보 단계가 4가 될 경우 다시 3으로 내리기 전까지 등장하는 적들의 레벨이 계속 상승하게 된다.
비컨은 시간이 지나면 더욱 빠른 속도로 빙글빙글 돌며 2단계부터 확인이 가능하다. 못 봤다면 경험치작 할 겸 비컨은 놔두고 주변 적만 썰어놓자.
4. 지역
의뢰 임무를 받기 위해 다시 마을로 돌아갈 필요가 없으며, 입구 옆에 있는 솔라리스나 특정 지역을 점령한 후 그곳에 있는 솔라리스를 통해 협곡 내부에서 바로 의뢰 임무를 선택해서 진행할 수 있다. 점령 가능한 곳은 ※표시.
- 기술 강화 연구단지: 건물 위쪽에 있는 '프로핏-테이커 오브'가 지키고 있는 건물.[2] 실내 진입이 가능하며, 의뢰 임무 중 여기서 진행되는 첩보 임무가 있다. 연구단지 내부에는 센티언트 표본이 있는 방과 센티언트 기술이 결합된 코퍼스제 무기 '바타코어'의 성능을 시험하는 용도의 방 등이 있다. 이곳의 유닛들은 낮은 확률로 '칼다 토로이드'를 드롭한다.
- 농장지대 ※: 잎이 벌어진 양배추와 유사한 형태의 오로킨 식물[3] 을 재배하는 농장.
- 냉각수 저수지: 오브 협곡에 입장하면 바로 보이는 커다란 호수.
- 반사 장치 통제실 ※
- 사원 구조물 ※: 수익의 사원에 세워진 네프 엔요 동상의 얼굴 부분을 제작하는 곳.
- 수송 창고 ※
- 수익의 사원: 거대한 네프 엔요 동상이 있는 곳. 실내 진입이 가능한 구조물이 그렇듯 경비가 삼엄하며, '익스플로이터 오브'가 주위를 순찰하듯 돌아다니고 있다. 내부에는 지하로 내려가는 엘리베이터가 있으며 더 들어가면 동굴과 이어져 있다. 이곳의 유닛들은 낮은 확률로 '솔라 토로이드'를 드롭한다.
- 아스타 분화구
- 오로킨 유적지 ※
- 우스타라 분화구
- 우주 공항: 실내 진입이 가능한 구조물. 역시 경비가 삼엄하나 이 곳에는 오브가 없다.[4] 이곳의 유닛들은 낮은 확률로 '베가 토로이드'를 드롭한다.
- 중앙 보수 구역 ※: 다수의 코일드라이브들이 수리받고 있는 곳. 의뢰 임무 중 여기서 진행되는 첩보 임무가 있다.
- 진주 ※: 바람을 일으키며 회전하는 거대한 오로킨 황금 구가 있는 곳. 이 구체 주변을 빙두르는 턱이 설치되어 있어 K-드라이브의 그라인딩 묘기를 연속으로 하기가 용이해서 종종 벤트키드 평판 '노가다'가 이루어진다.
- 하린디 분화구
5. 포르투나
[image]
포르투나는 오브 협곡 지하에 위치한 "채무 억류 개척지"로 내부에는 솔라리스(Solaris)라고 칭해지는, 코퍼스 측에게 진 빚을 갚지 못해 몸이 개조되어[5] 네프 엔요를 위해 초저온 지역인 오브 협곡 기후를 변화시키는 작업 중인 코퍼스 테라포밍 타워에서 쓰일 냉각제를 제조하고 가공시키며 살아가는 노예나 다름 없는 처지의 사람들이 거주하고 있다. 코퍼스 측은 솔라리스에게 대규모 반동이나 채무에 대해서는 본보기로 뇌를 적출하여 머리를 기계로 대체시키고 채무를 갚을 때까지 시설에 보관해놓는 악질적인 일까지 벌인다.
일부 솔라리스 소속원은 이를 참지 못하고, 다른 솔라리스 소속원을 해방시키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하는, 솔라리스 연합(Solaris United)이라는 반항 집단을 만들었다.[6] 텐노는 시터스의 오스트론과 퀼을 도와줬듯이, 포르투나에서는 솔라리스 연합을 도와 그들의 평판을 얻을 수 있다.
솔라리스들의 몸을 보면 전부 공통적으로 가슴 부분에 셔터가 달려있는데 솔라리스 연합 신디케이트의 최고 등급인 "형씨" 타이틀을 달성하고 솔라리스 연합 구성원들과 대화하면, 상당히 끔찍한 진실을 하나 알 수 있다.[7]
- 유디코: 의뢰를 제공한다. 포르투나 밖에서는 솔라리스 요원에게 의뢰를 받을 수 있다.
- 비즈니스: 낚시 도구와 야생동물 생포 도구를 판매한다.
- 루드 주드: 키트건 부품의 설계도를 판매한다.
- 스모크핑거: 채광 도구를 판매한다.
- 티커: 차용증서를 판매하며, 차용증서를 평판으로 바꿔준다.
- 렉스: MOA 부품을 판매한다.
- 로키: K-드라이브 부품과 모드를 판매한다.
- 리틀 덕: 복스 솔라리스 평판 아이템을 판매한다.
6. 이벤트 : 써미아 프랙쳐스
오브 협곡에 나타난 써미아 파열구를 막는 이벤트이다. 자세한 것은 써미아 프랙쳐스 문서 참고.
7. We All Lift Together
문장형으로 번역하면 이렇게 된다. 노래 가사라는 점을 고려하여 맥락대로 운율을 살려 옮기면 다음과 같다.We All Lift Together(우리는 다 함께 올라서리라)
가사
Cold: the air and water flowing.
Hard: the land we call our home.
Push to keep the dark from coming,
Feel the weight of what we owe.
This: the song of sons and daughters,
Hide the heart of who we are.
Making peace to build our future,
Strong, united, working 'till we fall.[8]
Cold: the air and water flowing.
Hard: the land we call our home.
Push to keep the dark from coming,
Feel the weight of what we owe.
This: the song of sons and daughters,
Hide the heart of who we are.
Making peace to build our future,
Strong, united, working 'till we fall.
And we all lift, and we're all adrift together, together.
Through the cold mist, 'till we're lifeless together, together.
번역
흐르는 바람과 물은 차갑고,
우리가 집이라 부르는 땅은 거치네.
끝 없이 몰아치는 어둠을 몰아내며,
우리가 빚진 것을 온몸으로 받아내네.
이것은 우리 아들 딸들의 노래요,
우리의 본심을 숨기고.
미래를 위해 평화를 만들어나가며,
우리가 쓰러질 때까지 강하게 단결하여 일하세.
흐르는 바람과 물은 차갑고,
우리가 집이라 부르는 땅은 거치네.
끝 없이 몰아치는 어둠을 몰아내며,
우리가 빚진 것을 온몸으로 받아내네.
이것은 우리 아들 딸들의 노래요,
우리의 본심을 숨기고.
미래를 위해 평화를 만들어 나가며,
우리가 쓰러질 때까지 강하게 단결하여 일하세.
그리고 우리 모두 다 함께 짊어지고, 다 함께 흘러가리다, 다 함께, 다 함께.
이 한 목숨 다 할때까지, 다 함께 차가운 안개를 뚫고 나가세, 다 함께, 다 함께.
TennoCon 2018에서 도입부로 공개된 포르투나의 주제곡이다. 코퍼스에게 지배당하는 솔라리스들의 애환과 서러움을 가사에 담고있어 비장미가 넘쳐흐른다. 가사의 비장미와는 별개로 영상에서는 노동요에 더 가깝게 연출되어서, 솔라리스 연합의 노동자로써의 특징을 강조하였다. 다만 노래에서 노동을 혁명으로 바꿔 대입해보면 쓰러질때까지 다같이 단결하여 들고 일어서겠다는 강한 의지를 보여주는 혁명가로 금세 탈바꿈한다. 텐노의 도움으로 다시 점화된 솔라리스 연합과 어울리는 노래인 셈.차가움: 그것은 흐르는 물과 바람이요,
거침: 우리가 집이라 일컫는 대지일세.
밀어가세, 다가오는 어둠을 몰아내며,
느끼세, 우리의 빚의 무게를.
이것:우리 후손들의 노래요,
숨기네, 우리들의 본질을.
평화를 만들어 미래를 건설하며,
강하게 단결하여 쓰러질때까지 일합세.
차가움: 그것은 흐르는 물과 바람이요,
거침: 우리가 집이라 일컫는 대지일세.
밀어가세, 다가오는 어둠을 몰아내며,
느끼세, 우리의 빚의 무게를.
이것:우리 후손들의 노래요,
숨기네, 우리들의 본질을.
평화를 만들어 미래를 건설하며,
강하게 단결하여 쓰러질때까지 일합세.
그리고 우리 모두 다 함께 짊어지고, 모두 다 함께 흘러가리라, 다 함께, 다 함께.
차가운 안개를 뚫고, 우리의 한 목숨 다 할때까지 다 함께, 다 함께.
제목인 We all lift together는 자신들이 진 빚에 의한 노동의 의무를 '다 함께 짊어진다'는 비관적인 뜻을 가지지만, 다같이 단결하여 '함께 들고 일어선다'는 혁명과도 같은 의미도 된다.
노동요의 특성 상 사람들이 가사 뿐만 아니라 음까지 내는데 여기서는 휘파람과 콧노래를 썼다. 어쩌면 머리나 몸의 일부가 기계가 되었어도 엄연한 사람임을 뜻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NPC들과 대화할 때는 이 노래의 반주만 재생된다. 가끔 대화할수 없는 NPC들이 이 노래를 흥얼거리기도 한다.
공개된 직후부터 상당한 호응을 받아왔으며, 그 덕에 팬들이 만든 메탈 버젼, 레게 버젼, 오케스트라 버젼, 8비트 버젼 등의 편곡이나 러시아어 버젼, 봉고 캣과 같은 패러디도 상당히 많다.
들어간 직후 앞쪽에서 망치질하고있는 솔라리스들 중 가운데에 있는 사람에게 가면 상호작용 키가 뜨는데 그걸 누르면 다시 들을 수 있다.
8. 기타
- 지하에 위치한, 거대기업 측에 채무를 진 자들의 노동 구역이란 점에서 일본 만화, 도박묵시록 카이지의 제애그룹 지하노역장이 연상된다는 평이 있다. 다만 신체개조 및 신체 저당 등을 고려한다면 차라리 제애그룹 쪽이 더 나은 셈.
- 첫 입장시 식민지 이름 아래에 나오는 금융 정보[9][10] 를 보면 고금리, 저임금으로 빚 변제 자체를 거의 불가능하게 만드는 듯 하다. 차용 증서의 설명들도 하나같이 채무가 계속해서 순환됨을 암시하고 있다.
- 이전의 아이돌론 평원의 경우에는 업데이트 명칭과 노드 이름 모두 아이돌론 평원이었으나[11] 이번에는 업데이트명이 지역 이름인 오브 협곡이 아닌 마을 이름인 포르투나로 공개되었다.
- 커뮤니티에서는 포르투나의 철자에 띄어쓰기를 삽입한 말장난인 "For tuna", 즉 '참치를 위하여'라는 말장난으로 불리기도 하며 여기서 더 나아가 발음이 비슷한 4(four), 즉 참치 네 마리로 불리기도 한다.
- 지구의 시터스 주민들이 텐노를 부르는 명칭이 수라인 것처럼, 금성의 포르투나 채무 노동자들은 텐노를 외지인(Outworlder), 반짝이(Sparky) 등으로 칭한다.
- 오브 협곡의 도입과 더불어 코퍼스 타일셋 맵에 존재하는 터미널 콘솔의 3D 모델이 변경되었다.[12] 기존 모델보다 전천후에서 사용할 법한 튼튼해보이는 외형과 더불어 상태 표시창의 원거리 가시성이 개선되었다. 벌사의 등부분에 부착된 것도 동일하게 교체되었는데 기존 모델보다 상태 표시창이 얇아진 탓에 벌사 본체 폴리곤이 이를 뚫고 나오는 모델링 실수가 있다.
- 복스 솔라리스 퀘스트 완료 이후 오브 협곡으로 나가는 엘리베이터 출입구에서 왼쪽의 통로를 보면 뜬금없이 벽에 '밀실 들어가기' 라고 뜬다. 들어가면 유디코와 비즈니스가 '뭔가 큰 일'을 꾸미고 있는데, 그곳에서 코믹스에서 등장했던 레일 요원 리틀 덕을 만날 수 있다. 리틀 덕에게 워프레임 상태로 말을 걸면 "난 기계가 아니라 사람과 이야기한다"며 말을 안한다.[스포일러5] 이들이 꾸미는 큰 일은 오브 마더 처치로, 솔라리스 연합의 형씨 등급을 달성하면 할 수 있다.
- 포르투나 2: 프로핏 테이커 업데이트 이후로 협곡 내부에 소마코드와 지역 주민들의 과거를 알 수 있는 차용증서 형태의 기억 조각이 추가되었다.
- 원문인 Orb Vallis를 오브 밸리스가 아닌 오브 협곡이라고 번역한 것에 대해 논란이 있었다. 물론 지구 밖에 있는 행성의 지형으로써 협곡은 Valley가 아닌 Vallis로 칭하는 것이 맞으나, 지도를 보면 알 수 있듯 Orb Vallis는 단순한 협곡이 아니라 동굴, 강, 호수 등 다양한 지형이 어우러진 지역이다. 이것을 감안하면 Vallis를 고유 명사로 취급하여 오브 밸리스라고 칭하는 것이 옳다는 의견들이 많았으나 번역가중 한명이 de측에 직접 물어본 결과 개발진들이 의도한 뜻은 협곡이라고 판명되었다 댓글 참조
- 콘솔 플랫폼의 포르투나 업데이트 출시에 맞춰 "Warframe: Super Space Ninjas"라는 제목의 단편 애니메이션이 공개되었다. 제작 단체는 mashed으로 나무위키의 Warframe 문서에도 삽입된 "100 Days Of Warframe"(워프레임에서 100일) 애니메이션을 제작한 바 있다. 삽입곡은 RustyFIN의 "RustyFIN: Warframe - 80's action Theme"가 사용되었다. 제목처럼 1980년대의 액션 장르 TV 시리즈의 주제곡을 연상케 하는 분위기가 특징.
- 프로핏 테이커 업데이트로 솔라리스들이 사용하는 마더렌치가 해머 스킨으로 추가되었다.[14] 이는 솔라리스가 사용하는 연장을 근접무기로 추가해 달라는 요청이 워낙 많이 들어왔었다는 배경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