囧
冏[5]
[clearfix]
1. 개요
빛날 경. 인명용 한자. 상용 한자는 아니고 큰 옥편에서나 찾아볼 수 있는 수없이 많은 벽자 중 하나였는데, 왠지 황당한 표정을 짓고 있는 사람 얼굴처럼 생겨서 대만 웹에서 이모티콘 용도로 쓰이기 시작했다. 그 후 홍콩 웹을 거쳐 전 중화권으로 퍼졌다.
2. 상세 정보
한국의 '-ㅁ-;;' 정도와 비슷한 느낌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변형으로 囧rz 등이 있다.
과거 PC통신이나 초기 외계어가 유행하던 시기에는 플로피디스크를 나타내는 용도로 아주 가끔 사용되기도 했다. 그 용도로는 한국에서 그림 도(圖)가 비슷한 위치를 대신하고 있다.
중국 만화 등에 아주 많이 나오므로 눈을 사시로 깔고 네모로 입을 벌리고 있다면 100% 이거라고 생각하면 된다.
IME에서는 완성형의 한자만을 사용하도록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IME 설정에 가서 확장 한자 입력에 체크해 주면 입력할 수 있다.[7]
- XP 운영체제에서 입력하고 싶은 경우 제어판 → 국가 및 언어 옵션 → 언어 탭 → 자세히 → 설정 → 한국어 키보드 속성에 들어가서 확장한자 입력하기 항목을 체크하면 된다. 그 후에 경 → 한자 → page down 11 번 누르고 6번을 선택하면 된다.
- 또한 아래아 한글에서 '경'을 입력하여 변환해도 가능하다. 이미 한컴 2바이트 코드를 사용한 구버전부터 입력이 가능했다.
[image]
모에화되기도 했다.
이체자로 冏이 있다.(아래가 뚫려 있다) 당연히 이 글자도 '빛날 경'이다.[8] 제무민왕(齊武閔王)사마경의 이름이 이것이다.[9] 송곳질 할 율(矞)자를 보면 창 모 아래에 빛날 경 자가 깔려 있다.[10]
지금은 벽자지만 갑골문에도 나올 만큼 역사가 오래된 한자다. 창문으로 밝은 빛이 들어오는 것을 나타낸 상형자이다.
밝을 명(明)의 경우도 갑골문을 보면 日과 月이 결합한 明의 꼴과 囧과 月이 결합한 朙의 꼴 두 가지가 모두 쓰였다. 따라서 明의 소전체도 두 가지다. 설문해자에 朙만 나와서 오해하는 경우가 있는데, '창문에 달이 환하게 비치는 것'(朙)과 '해와 달이 같이 있어 밝은 것'(明) 둘 다 올바른 풀이이다. 어느 한 쪽이 틀린 것이 아님에 주의해야 하다.
3. 언어별 자형 차이
[image]
(G: 중국 간화자, T: 대만 정체자, J: 일본 신자체, K: 한국 정자)
4. 기타
PRISTIN의 중국인 멤버 주결경의 중국어 별명이 바로 이 囧囧(중중)이다.
5. 관련 문서
[1] 멀경몸[2] 특급에도 포함되지 않는다.[3] 인명용 한자 목록을 보면 囧과 그 이체자 冏이 모두 포함되어 있는데 冏이 앞, 囧이 뒤쪽에 있다. 따라서 최소한 한국에서는 이 글자를 이름에 쓰는 것이 가능하다.[4] 오음[5] 모양이 모양인지라 囧가 정체자인 줄 아는 사람이 많지만 사실 囧가 이체자다.[6] 구품지마관의 한 장면으로, 글자는 합성이다. 원래는 못생길 추(醜).[7] Windows 8에서는 확장 한자 입력 설정이 기본값이다.[8] 아래아 한글에는 囧가 冏와 같은 뜻을 가진 글자로 풀이되었다.[9] 다만 사마경의 행적, 최후 등으로 좋지 않은 이미지가 생겨 그 이후로는 인명으로 거의 쓰지 않고 묻혀졌다.[10] 단 이 글자도 거의 쓰지 않고, 귤을 나타내는 橘자의 일부로만 쓰이므로 잘 모를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