明
[clearfix]
1. 개요
밝을 명(明). 밝다, 밝히다, 틀림없다, 슬기롭다 등을 뜻하는 한자다.
2. 상세
유니코드는 660E에 배당되었으며, 한자검정시험에서는 준6급으로 분류된다.
2.1. 자원(字源)
[image]
갑골문, 금문, 소전까지는 明과 朙의 두 가지 형태가 병존하는데 明은 해(日) 달(月)이 결합해[1] '밝음'을 뜻하는 회의자이고, 朙은 창문(囧)에 달(月)이 환하게 비치는 것을 뜻하는 회의자이다.
한편, 이체자 가운데 하나인 眀은 전통적으로 目을 '눈'으로 보아 '밝게 보임'을 뜻한다고 여겼으나, 현대에는 囧의 간략해진 형태로 보고 있다. 덕수궁의 준명당, 중명전에서 눈목 부수의 밝을 명을 쓰고 있다. 이에 대해 일제 혐오자 저서에는 旺처럼 낭설을 퍼뜨리고 있다고 한다.
3. 용례
3.1. 낱말
- 공명(公明)
- 광명(光明)
- 규명(糾明)
- 극명(克明)
- 명랑(明朗)
- 명반(明礬)
- 명백(明白)
- 명석(明晳)
- 명세(明細)
- 명시(明示)
- 명심보감(明心寶鑑)
- 명암(明暗)
- 명일(明日)
- 명주(明紬)
- 명태(明太)
- 명확(明確)
- 문명(文明)
- 발명(發明)
- 변명(辨明)
- 분명(分明)
- 불명(不明)
- 의식불명(意識不明)
- 석명(釋明)
- 선명(鮮明)
- 설명(說明)
- 설명서(說明書)
- 성명(聲明)
- 공동성명(共同聲明), 성명문(聲明文), 성명서(聲明書)
- 실명(失明)
- 양명학(陽明學)
- 여명(黎明)
- 자명(自明)
- 조명(照明)
- 증명(證明)
- 천명(天明)
- 투명(透明)
- 해명(解明)
- 현명(賢明)
3.2. 고사성어
- 겸청즉명(兼聽則明)
- 대명천지(大明天地)
- 등하불명(燈下不明)
- 명견만리(明見萬里)
- 명경지수(明鏡止水)
- 명명백백(明明白白)
- 상명지통(喪明之痛)
- 선견지명(先見之明)
- 천지신명(天地神明)
- 청풍명월(淸風明月)
3.3. 인명
3.3.1. 한국
- 강명구(姜明求)
- 권명철(權明哲)
- 김명민(金明民)
- 김명순(金明淳)
- 도연명(陶淵明)
- 류명선(柳明善)
- 명림답부(明臨答夫)
- 명림어수(明臨於漱)
- 박명수(朴明洙)
- 박명은(朴明恩)
- 박명환(朴明桓)
- 서명원(徐明原)
- 안명근(安明根)
- 윤명준(尹明準)
- 이명기(李明起)
- 이명박(李明博)
- 이명수(李明洙)
- 이재명(李在明)
- 장명부(張明夫)
- 전명운(田明雲)
- 정명원(鄭明源)
- 정명훈(鄭明勳)
- 조명균(趙明均)
- 차명석(車明錫)
- 차명주(車明珠)
- 최명길(崔明吉)
- 한명회(韓明澮)
- 홍명보(洪明甫)
- 성이 명씨인 사람들 모두.
3.3.2. 일본
- 나카모리 아키나(中森明菜)
3.3.3. 중화권
3.3.3.1. 대만
- 궈밍지(郭明錤)
3.3.3.2. 홍콩
- 여명(黎明)
3.3.3.3. 말레이시아
- 황밍즈(黄明志)
3.3.3.4. 중국
- 황밍하오(黄明昊)
3.3.4. 베트남
- 호찌민(胡志明)
3.4. 지명
- 경기도 광명시(光明市)
- 경상남도 사천시 곤명면(昆明面)
- 경상북도 봉화군 명호면(明湖面)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東明面)
-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華明洞)
- 함경북도 명천군(明川郡)
- 서울특별시 중구 명동(明洞)
3.5. 그 밖에
4. 유의자
5. 반대자
[1] 물론 실제로는 결합하면 도리어 어두워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