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明'''밝을 명
'''부수
나머지 획수'''

, 4획
'''총 획수'''
8획
'''교육용'''
중학교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メイ, ミョウ
'''일본어 훈독'''
あ-かり, あか-るい, あか-るむ, あか-らむ, あき-らか, あ-ける, あ-く, あ-くる, あ-かす
'''간체자'''
-
'''표준 중국어 독음'''
míng
* 기울임체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기울임체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clearfix]

1. 개요


밝을 명(明). 밝다, 밝히다, 틀림없다, 슬기롭다 등을 뜻하는 한자다.

2. 상세


유니코드는 660E에 배당되었으며, 한자검정시험에서는 준6급으로 분류된다.

2.1. 자원(字源)


[image]
[image]
[image]
明의 전서
朙의 전서
갑골문, 금문, 소전까지는 明과 朙의 두 가지 형태가 병존하는데 明은 해() 달()이 결합해[1] '밝음'을 뜻하는 회의자이고, 朙은 창문()에 달()이 환하게 비치는 것을 뜻하는 회의자이다.
한편, 이체자 가운데 하나인 眀은 전통적으로 目을 '눈'으로 보아 '밝게 보임'을 뜻한다고 여겼으나, 현대에는 囧의 간략해진 형태로 보고 있다. 덕수궁준명당, 중명전에서 눈목 부수의 밝을 명을 쓰고 있다. 이에 대해 일제 혐오자 저서에는 처럼 낭설을 퍼뜨리고 있다고 한다.

3. 용례



3.1. 낱말



3.2. 고사성어


  • 겸청즉명(兼聽則明)
  • 대명천지(大明天地)
  • 등하불명(燈下不明)
  • 명견만리(明見萬里)
  • 명경지수(明鏡止水)
  • 명명백백(明明白白)
  • 상명지통(喪明之痛)
  • 선견지명(先見之明)
  • 천지신명(天地神明)
  • 청풍명월(淸風明月)

3.3. 인명



3.3.1. 한국




3.3.2. 일본



3.3.3. 중화권



3.3.3.1. 대만


3.3.3.2. 홍콩


3.3.3.3. 말레이시아


3.3.3.4. 중국


3.3.4. 베트남



3.4. 지명


  • 경기도 광명시(光明市)
  • 경상남도 사천시 곤명면(昆明面)
  • 경상북도 봉화군 명호면(明湖面)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東明面)
  •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華明洞)
  • 함경북도 명천군(明川郡)
  • 서울특별시 중구 명동(明洞)

3.5. 그 밖에




4. 유의자


  • (밝을 랑)
  • (마칠 료/밝을 료)
  • (밝을 병)
  • (밝을 성)
  • (밝을 소)
  • (마을 동/밝을 통)
  • (밝을 철)

5. 반대자


  • (어두울 매)
  • (어두울 면/어두울 명), , (어두울 명)
  • (어두울 몽)
  • , (어두울 암)
  • (어두울 회)

[1] 물론 실제로는 결합하면 도리어 어두워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