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月'''달 월
'''부수
나머지 획수'''

月, 0획
'''총 획수'''
4획
'''교육용'''
중학교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ゲツ, ガツ
'''일본어 훈독'''
つき
'''간체자'''
-
'''표준 중국어 독음'''
yuè
* 기울임체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기울임체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획순
1. 개요
2. 세부 정보
2.1. 부수
3. 단어
3.1. 고사성어
3.2. 인명
3.3. 지명
3.4. 창작물
3.5. 기타 고유명사

[clearfix]

1. 개요


달 월
을 의미하는 한자.

2. 세부 정보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은 다음과 같다.
'''한국어'''
'''훈''' : 달
'''음''' : 월
'''일본어'''
'''음독''' : ガツ·ゲツ
'''훈독''' : つき
'''중국어'''
'''표준어''' : yuè
광동어 : jyut6
객가어 : ngie̍t/ngia̍t
민둥어 : nguŏk
민난어 : ge̍h/ge̍rh/goe̍h/gōe/gēr/goa̍t
우어 : hhyq (T5)/hhioq (T5)
'''베트남어'''
nguyệt
유니코드에는 U+6708에 배당되어 있고, 주음부호로는 ㄩㄝˋ로 입력하며, 창힐수입법으로는 月(B)로 입력한다. 한자검정시험에서는 가장 낮은 단계인 8급으로 분류되어 있다.
상형자로써, 달의 모양을 본따서 만든 글자이다.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추상화되었다 :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2.1. 부수



달월부는 강희자전 214부에서 74번째에 놓인 부수이다.
달월부와 모양이 비슷한 부수로는 ⺝(⺼)와 冃가 있는데, 이 둘은 달월부와는 다른 부수이니 주의할 것. ⺝(⺼)는 고기 육(肉) 자의 부수형태이고 冃는 쓰개 모(冃)의 부수형태이다.
다만 ⺼와 같은 형상을 쓰는 것은 대만 뿐이고, 한국이나 일본, 중국 한자에서는 고기육부의 형태가 달월부와 완전하게 일치하는데, 이 둘을 구분하기 위해 '육달월부'라는 명칭을 쓰기도 한다. [1]
달월부를 부수로 삼는 한자는 대략 130여개 정도가 있다. 다만 이것은 위에서 언급했던 육달월부를 총괄했을 경우이고, 순수하게 달월부만 분리하여 세보자면 그 개수는 대략 50여개 정도이다. 또한 달월부를 부수로 삼는 한자는 대체로 시간과 관련된 의미를 가지며[2], 고기육부는 인체와 관련된 의미를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3][4]
참고로 服(옷 복)의 경우 변으로 쓰인 月은 舟(배 주)의 변형이다.[5] 그리고 胡(오랑캐·턱 밑살 호)의 月은 방으로 쓰였지만 육달월부이다. 몽롱하다의 朦朧이라는 한자는 달 월을 변으로 쓰는 특이한 사례다. 절대 육달월부가 아닌것에 주의.
단, 오늘날 중국에서는 부수를 개정할 때 달월부와 육달월부의 구별을 폐지하고 둘을 통합했다. 이에 따라 기존의 고기육부의 글자들 중 肉이 원형 그대로 쓰인 글자들만 고기육부로 남겨놓고 肉이 육달월로 변형된 글자들은 전부 달월부에 편입되었다. 부수/중국 참고.

3. 단어



3.1. 고사성어



3.2. 인명



3.3. 지명



3.4. 창작물



3.5. 기타 고유명사


  • 상당수의 일본 해군 구축함들
    • 무츠키급 구축함 - 무츠키(睦月), 키사라기(如月), 우즈키(卯月), 사츠키(皐月), 미나즈키(水無月), 후미즈키(文月), 나가츠키(長月), 키쿠즈키(菊月), 미카즈키(三日月), 모치즈키(望月), 유즈키(夕月)
    • 아키즈키급 구축함 - 아키즈키(秋月), 테루즈키(照月), 스즈츠키(涼月), 하츠즈키(初月), 니즈키(新月), 와카츠키(若月), 시모츠키(霜月), 후유츠키(冬月), 하루츠키(春月), 요이즈키(宵月), 나츠즈키(夏月), 미치즈키(満月), 하나즈키(花月)

[1] 고기육부와 달월부는 일반적으로 분리되나, 보통 육달월부라고 칭하며 같은 부수로 취급하는 경우가 많다.[2] 예시 : 期(기약할 기), 朝(아침 조), 望(바랄 망) 등[3] 예시 : 肝( 간), 肩(어깨 견) 등[4] 肉이라는 한자에는 살갗, 살점이라는 의미도 담겨있다.[5] 다만 부수는 육달월부에 속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