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화권

 



[1] / Greater China
1. 개요
2. 상호 왕래
3. 주의사항
4. 대표적인 국가 및 지역[2]
5. 중화권으로 분류되기도 하는 지역


1. 개요


중화권은 중국인, 특히 그 중에서도 한족이 문화, 경제적으로 영향을 발휘하는 곳을 뜻한다. 당연히 본토의 중화인민공화국은 물론 타이완 섬에 자리한 중화민국도 포함된다. 현재는 중화인민공화국 소속 특별행정구이지만 1997년과 1999년 이전까지는 영국포르투갈유럽 열강의 식민지였던 홍콩마카오도 중화권에 포함되며, 동남아시아에 위치해 있지만 인구의 대다수(70%)가 화교이며 중국어가 주요 언어 중 하나인 싱가포르 역시 중화권으로 분류된다.
역시 지역 인구의 대부분이 화교로 구성된 말레이시아의 일부 지역(센다칸, 사바, 쿠알라룸푸르, 페낭, 이포 등)도 중화권으로 간주되기도 하는데, 여기에는 논란이 조금 있다.
중화란 말이 영어로 'Chinese'란 말로 쓰이기에 한족 중국인이 아닌 사람도 중화권에 포함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일본인 배우이자 범중화권 배우로 분류되는 가네시로 다케시. 만약 그가 단순한 일본인으로 받아들여졌다면 적벽에서 제갈공명역을 맡지는 못했을 것이다.[3] 와타나베 켄조조를 맡는 안이 취소된 것은 여러 사정이 있지만, 그가 일본인이어서 중국인들이 반발했다는 이유도 컸다. 반면 타마키 히로시목순 역을 잘 소화하였다.
중화권이라고 무조건 정치적으로 한 배를 타진 않는다.[4] 대표적으로 중화인민공화국중화민국양안관계로 서로 대립 중이고, 싱가포르남중국해 같은 중국과의 영토분쟁에서는 아세안의 일원으로서 미국, 호주 및 주변국과 같은 목소리를 내고 중국과 대립각을 세운다. 또 홍콩은 심심하면 중국 공산당 반대 시위가 열리며 소수지만 독립 움직임도 보인다. 홍콩 독립운동 참조.
한족들은 원래부터 역사 등 인문학을 중시했으며, 문화대혁명으로 인해 인문학이 처참히 박살났던 중국 대륙만 빼면 전부 인문학이 발달해 있고, 인문사회 계열에게 기회를 많이 준다. 한 예로 홍콩대중화민국 국립정치대학은 원래 인문사회 계열 학문으로 유명했고 지금도 그렇다.
중화권의 상위 개념이 한자문화권으로, 여기에는 한반도(대한민국, 북한)와 베트남[5] 일본이 들어간다.

2. 상호 왕래


중국(대륙), 홍콩, 마카오, 대만(중화민국)은 서로 복잡한 정치적 문제가 얽혀있어서 상호 왕래 시 출입국(경) 절차가 특이하다. 자세한 설명은 중화권/상호 왕래 참고. 중화인민공화국-중화민국92공식에 의거 똑같이 서로를 '''중국'''으로 보고 있고, 홍콩 및 마카오는 중화민국 측에서 1945년 이미 반환 받은 것으로 간주한다. 그래서 대만-홍콩, 대만-중국, 중국-대만 양안 간은 국내 여행으로 간주하는 것. 국내는 국내인데 정부 시스템이 각자 다른 별도의 구역으로 본다.
서로를 별개 국가로 볼 경우 92공식이나 하나의 중국 원칙에 어긋난다. 중화민국중화인민공화국도 둘 다 하나의 중국이 철칙이며, 중화권의 각 정부를 특별행정구 정도가 아니라 별개 국가로 볼 경우 중국이 여러 개 국가로 나뉘어지는, 다시 말해 여러 개의 중국이라는 상황이 된다.
물론 독립국이자 저 멀리 떨어진 말레이 반도에 있는 싱가포르는 이 문제에서 자유롭기 때문에(중화인민공화국과 중화민국이 싱가포르를 '미수복지구'가 아닌 '외국'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출입국 절차(여권, 비자)를 따른다. 다만 최근 들어 중화인민공화국 국적자의 싱가포르 입국이 까다로워 졌다.

3. 주의사항


『타이완』[6]에 따르면 중화권에서 부적절한 선물로 칼이나 가위 등의 날카로운 것, 시계, (손)수건 등이 있다. 날카로운 것을 선물하면 관계를 끊고 싶다는 의미가 되며, 시계는 '끝났다'를 뜻하는 말의 소리가 같으며, 손수건은 눈물과 장례식을 연상시키며, 수건은 장례식 조문객에게 흔히 주는 선물이라 불길하게 여겨진다고 한다.

4. 대표적인 국가 및 지역[7]


  • 중화인민공화국: 다민족국가이기는 하나 한족이 91.5%로 절대다수를 차지하는 중화권 총본산. 문자가 따로 없던 북방 유목민족들이 중국을 다스리기도 했고, 이미 중국화된 유목민족들도 많다. 중국 영토 중 티베트위구르내몽골 등 전통적으로 한족 영역이 아닌 데다 종교적 성향이 뚜렷한 지역들에도 한족들이 상당히 진출해 그들의 문화적 영향력이 크다.
  • 홍콩: 중국계가 절대다수이고 중국의 영토이며, 명실상부한 중화권이지만 영국 식민지 시절의 영향으로 영어도 중국어와 함께 공용어로 되어 있다. 영국의 문화적 영향도 큰 편이다.
  • 마카오: 역시 중국계가 절대다수이고 중국의 영토이며 명실상부한 중화권이지만, 포르투갈 식민지 시절의 영향으로 중국어와 포르투갈어가 모두 공용어이다.
  • 중화민국: 영토 거의 대부분인 대만 섬은 본래 한족의 영역이 아닌 대만 원주민들의 영역이었지만, 17세기 이후 한족이 대륙에서 이주해 오면서 한족이 98%를 차지하는 중화권 지역이 되어 중화민국이 들어섰다.

5. 중화권으로 분류되기도 하는 지역


  • 말레이시아: 중국계 말레이시아인들이 도시 지역에 많이 분포한다. 특히 수도인 쿠알라룸푸르페낭 등 몇몇 주요 도시는 말레이인보다 화교가 더 많을 정도. 그러나 국가 전체의 화교의 인구 비중은 25% 정도로, 길에서 흔하게 볼 수 있을 정도로 상당한 숫자이기는 하지만 전체 인구 중 50%를 넘는 말레이계 민족에 비하면 소수이고, 이에 따라 중화권 문화와는 이질적인 면이 많아 중화권에서 제외되는 경우가 많다. 언어도 화교들끼리는 민남어표준중국어 즉 보통화가 쓰이지만 말레이어영어에 비해서 널리 쓰인다고 보기는 어려우며 민족 간 소통에는 거의 영어가 쓰인다.
인도양에 있는 호주 속령으로 중국계가 전체 인구의 65% 정도를 차지한다.
  • 기타 세계의 화교 공동체
중국어 쓰는 화교들이 사는 해외의 지역들을 중화권으로 분류하기도 하는데, 싱가포르나 말레이시아를 제외한 동남아에서 태국, 필리핀, 인도네시아 화교들은 전체 인구 대비 비중이 그리 크지 않을 뿐더러 여러 역사적/정치적 이유로 인해 중국어를 쓰지 못할 정도로 현지 사회에 동화가 많이 된 탓에 중화권에 포함하기는 좀 곤란하다. 약 4,000만 화교 중 3,000만 명이 동남아시아에 몰려있기 때문에 동남아 외의 다른 지역은 얘기할 것도 없다. 그리고 해외에는 차이나타운이 각 국가마다 존재하며 한국에는 차이나타운이 유명무실하여 주로 서울 대림동남구로역이 차이나타운 역할을 하기도 한다.

[1] 일본식 조어로, 원어민들은 본 개념을 보통 대중화(大中華) 또는 대중화지구(大中華地區)라 한다.[2] 이하 /을 흔히 양안삼지(兩岸三地: 중국대륙, 대만,홍콩+마카오) 또는 양안사지(兩岸四地: 중국대륙,대만, 홍콩, 마카오)라고 한다.[3] 금성무의 경우 본인 스스로 대만인으로 정체성을 둔다. 애초 제1언어가 대만어였다.[4] 다만 중국대만, 싱가포르의 정치사를 살펴볼 때 미묘한 공통점이 존재하기는 한다. 일당독재 치하에서 고도성장을 이룩했다는 점이다. 하지만 대만은 1980년대 후반에 민주화가 진행되면서 더 이상 독재국가는 아니지만 중국은 여전히 공산주의 독재 국가이며, 싱가포르민주주의를 표방하고 있기는 하지만 여당인 인민행동당에게 유리한 선거 제도로 인해 사실상 독재 비스무리한 시스템이다.[5] 현재 한자 문화권 국가들 중 한자를 가장 많이 사용하지 않는 축에 속하는 국가이다.[6] 우 링리, 크리스 베이츠, 정해영 옮김, 가지[7] 이하 /을 흔히 양안삼지(兩岸三地: 중국대륙, 대만,홍콩+마카오) 또는 양안사지(兩岸四地: 중국대륙,대만, 홍콩, 마카오)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