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음

 

拼音
1. 개요
2. 종류
3. 기타
4. 관련 문서
5. 바깥 링크


1. 개요


중국어 단어인데, 어떤 언어의 발음을 소리 글자로 옮겨 적는 방법을 가리킨다. 넓게는 중국어의 여러 방언들(고어 포함)과 다른 언어까지 모두 포함할 수 있으나 좁게 볼 때는 현대 표준중국어를 소리 글자로 옮겨 적는 것을 가리킨다. 물론 소리 글자도 넓게 보면 모든 소리 글자가 포함되지만 좁게 보면 라틴 문자(로마자)이다. 그래서 '병음' 자체는 좁은 의미로는 '표준중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을 가리킨다. 의미를 넓힐 때는 모든 소리 글자가 포함되므로 넓게 보면 주음부호도 병음의 일종이다. 라틴 문자가 아닌 한글을 사용하는 최영애-김용옥 중국어 표기법도 병음이라 할 수 있다(외래어 표기법/중국어는 중국어 그 자체를 다루기보다는 중국어에서 온 한국어 단어를 어떻게 표기할 것인지에 대한 것이기에 병음이라 보기는 어려울 수 있다).
의미를 더 좁히면 보통 병음이라고 할 때 여러 가지 방법 중 중화인민공화국 정부가 제정한 중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인 '한어병음방안'을 가리키지만 다른 병음들도 존재한다.
그리고 중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중 이름에 '병음'이 안 들어간 것도 넓은 의미로 병음이라고 볼 수 있다.
중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을 먼저 만들어진 순서대로 나열하면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 (주음부호) - 국어라마자 - 한어병음방안 - 국어 주음부호 제2식 - 통용병음방안 순서이다.
이 문서에서 소개하고 있는 여러 가지 중국어의 로마자 표기법과 주음부호를 비교해 보고 싶으면 병음 대조표 문서를 참고할 것. 특히 표기법별로 차이가 심한 것이 ㄓ(무성 무기 권설 파찰음) 발음이다. 한어병음방안으로는 zh로 쓰지만 웨이드-자일스 표기로는 ch, 주음부호 2식으로는 j, 통용병음으로는 jh이다. 그러니 중국어를 잘 몰라도 zh가 보이면 일단 한어병음을 바탕으로 한 표기이고, jh가 보이면 통용병음을 바탕으로 한 표기임을 알 수 있으며, 유성 파열음 표기용 문자(b, d, g 등)가 거의 보이지 않으면 웨이드-자일스 표기를 바탕으로 한 것임을 알 수 있다.

2. 종류



2.1. 중국어



2.1.1. 방언 불문, 또는 방언 혼재



2.1.1.1. 우정식 병음

우정식 병음 문서 참고. 과거 중국 대륙에서 영어 등 로마자를 사용하는 언어로 주소를 적을 때 사용한 표기법이다. 대만(국부천대 이후의 중화민국)에서는 현재도 주요 지명을 이 방식으로 표기한다. 여러 방언, 고어 발음이 혼재돼서 체계가 있는 표기법은 아니지만 일부 방언이나 고어 발음을 고려한 표기를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으로 적었다.

2.1.1.2. 통자방안(通字方案)

중국계 미국인 언어학자 자오위안런이 만든 표기법. 중국어의 각 방언, 한국어한자음, 일본어의 한자 음독(音讀) 발음, 베트남어의 한자음 및 그들의 고어 발음을 고려하여 추상적인 중립 한자음을 표기한 것이다. 성조는 전통적인 사성(평성, 상성, 거성, 입성)만을 썼는데 성조 표기 방식은 후술할 국어라마자(이 표기법도 자오위안런 주도로 만든 표기법이다)과 비슷하다. 통자방안과 국어라마자는 성조를 나타내기 위해 별도의 부호를 덧붙이는 게 아니라, 음절의 철자를 일정한 규칙에 따라 변형하는 표기 방식이다.
그런데 통자방안은 그 자체가 특정 언어의 고어 발음이나 현대 발음을 적는 것도 아닌 어떤 이상적인 표기인 탓에 실용성은 떨어져서 실제로 별로 쓰이진 않는다.

2.1.2. 표준중국어



2.1.2.1. 한어병음방안

한어병음 문서 참고. 중화인민공화국에서 공식적으로 채택하였고, 중국 대륙에서 널리 쓰이는 표기법이다. 대만(중화민국)에서도 공식 표기법을 이것으로 바꿨으나 국민들의 저항이 많은 편.

2.1.2.2.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문서 참고. 과거에 (표준)중국어의 사실상 표준 로마자 표기법이었다.

2.1.2.3. 화어통용병음

통용병음 문서 참고. 한때 대만의 표준 표기법이었다. 하지만 국민당 마잉주 총통 집권 후에 통용병음은 표준이 아니게 되었다.

2.1.2.4. 국어라마자(國語羅馬字·궈위 뤄마쯔)

국어라마자 문서 참고. 중국계 미국인 언어학자 자오위안런과, 《생활의 발견》의 저자인 린위탕(임어당) 등이 고안해 냈다. 국어라마자는 과거 중화민국(국민정부, 국부천대 이후 현재의 대만), 중화인민공화국에서 공식적으로 썼던 로마자 표기법이지만 실제론 제한적으로만 쓰였다.
국어라마자는 성조를 나타내기 위해 별도의 부호를 덧붙이는 게 아니라, 음절의 철자를 일정한 규칙에 따라 변형하는 표기 방식을 사용한다. 이 방식은 전술한 통자방안(자오위안런 고안)에서도 사용되었다.
한편 국어라마자는 표준중국어(중화민국 국어, 중화인민공화국 보통화) 뿐만 아니라, 중화민국 북양정부 시절 인위적인 표준어였던 노국음도 거의 완벽하게 적을 수 있다.

2.1.2.5. 국어 주음부호 제2식

국어라마자 표기법을 수정한 것이다. 중화민국(대만) 정부가 오랫동안 국어라마자를 대신하는 공식 로마자 표기법으로 지정했었으나 실제론 잘 안 쓰인다. 국어 주음부호 제2식 문서 참고.

2.1.2.6. 관화의 예일식 로마자 표기법

예일식 로마자 표기법/관화 문서 참고. 사실 별로 안 쓰였지만 국어 주음부호 제2식의 일부 철자에 영향을 끼쳤다.

2.1.2.7. 팔라디 표기법

팔라디 표기법 문서 참고. 로마자가 아닌 키릴 문자로 중국어를 전사할 때 사용하는 체계이며, 러시아에서 중국의 인명·지명 등을 표기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2.1.3. 광동어의 병음



2.1.3.1. 향항어언학학회(홍콩언어학회) 월어병음방안(월병)

월병(광동어) 문서 참고. 현재 광동어 발음을 정확히 적고자 할 때는 이 방식대로 적는 경우가 가장 많다.

2.1.3.2. 광동어의 예일식 로마자 표기법

예일식 로마자 표기법/광동어 문서 참고. 현재 광동어 발음을 정확히 적고자 할 때 월병 다음으로 많이 쓰이는 표기이다.

2.1.3.3. 광주화병음방안

廣州話拼音方案(Cantonese Transliteration Scheme)
광둥성 정부에서 만든 광동병음방안(廣東拼音方案, Guangdong Romanization)의 일종으로 광동어, 특히 광저우 방언의 발음을 적는 로마자 표기법.

2.1.3.4. 홍콩 정부 월어병음·마카오 정부 월어병음

香港政府粵語拼音(Hong Kong Government Cantonese Romanisation)
澳門政府粵語拼音(Romanização do governo de Macau)
홍콩마카오 정부가 도로 표지판 등에서 쓰기 위해 만든 표기법. 광동어 발음을 대강(...) 적는 것이라 정확한 발음을 전사하기에는 부적합하다.

2.1.4. 민남어의 병음



2.1.4.1. 백화자(민남어)

백화자(민남어) 문서 참고. 일명 교회 라마자(로마자)라고 불린다. 대만에서는 이것이 민남어 표기의 사실상 표준 로마자 표기법이다.

2.1.4.2. 대라병음

대라병음 문서 참고. 백화자를 개량했으며, 현재 중화민국 교육부의 공식 대만 민남어 로마자 표기법이다. 백화자의 큰 틀을 지키면서 불편했던 부분을 고친 표기법이라 민간에서도 최근 이 표기법을 사용하는 경우가 조금씩 늘어나고 있다고 한다.

2.1.4.3. 대어통용병음

통용병음의 대만 민남어판. 과거 중화민국 교육부의 공식 대만 민남어 로마자 표기법이었으나 현재는 대라병음으로 대체되었다.

2.1.4.4. 해남병음방안

海南話拼音方案(Hainanese Transliteration Scheme)
광둥성 정부에서 만든 광동병음방안(廣東拼音方案, Guangdong Romanization)의 일종으로 하이난 방언(해남화)을 표기하는 데 쓴다.

2.1.4.5. 조주화병음방안

潮州話拼音方案(Peng'im)
광둥성 정부에서 만든 광동병음방안(廣東拼音方案, Guangdong Romanization)의 일종으로 차오저우 방언(조주화)을 표기하는 데 쓴다.

2.1.4.6. 대끼깐뿐

臺語諺文(Taiwanese Hangul)
보편적으로 쓰이는 것은 아니나, 대만어의 표기 중에서는 한글을 사용한 표기법인 대끼깐뿐(臺語諺文/대어언문)이 있다.[1] 대만어 언어학자인 쉬차오더(許曹德)가 1987년에 개발했다.
성조는 분별되지 않는다. 그러나 성조를 위한 표기법도 있는데, 아래첨자로 성조를 표기하고, 성조의 변조에 ㅣ를 덧댄다. '臺語諺文'의 경우는 대로 표기한다.
대끼깐뿐 예시
한자:關係行善的教訓
恁著謹慎,毋通為著欲予儂看,故意蹛儂的面前顯示恁的善行;
恁若按呢做,恁就袂當對天父得著報賞。
대끼깐뿐:
관헤 형센 에 갈훈
린 뎧 긴신,음탕 위뎧 뼇 호 랑 쾃,고이 돠 랑 에 삔졍 헨시 린 에 센형;
린 나 안네 저,린 쥬 뻬당 뒤 텐후 딛뎧 버슛。

2.1.5. 객가어의 병음



2.1.5.1. 백화자(객가어)

백화자(객가어) 문서 참고. 같은 이름을 가진 민남어의 백화자와 마찬가지로 대만에서는 이것이 객가어 표기의 사실상 표준 로마자 표기법이다.

2.1.5.2. 객가어병음방안

객가어병음방안 문서 참고. 구칭은 대만객가어병음방안이었다. 한어병음을 객가어에 맞게 개량한 것으로 현재 중화민국 교육부의 공식 객가어 로마자 표기법이다. 하지만 민간에서는 사실상 표준인 백화자와 너무 괴리가 커서 잘 사용되지는 않는다.

2.1.5.3. 객어통용병음

통용병음의 대만 객가어판. 과거 중화민국 교육부의 공식 객가어 로마자 표기법이었으나 현재는 (대만)객가어병음방안으로 대체되었다.

2.1.5.4. 객가화병음방안

客家話拼音方案(Hakka Transliteration Scheme)
광둥성 정부에서 만든 광동병음방안(廣東拼音方案, Guangdong Romanization)의 일종으로 객가어를 표기하는 데 쓴다.

2.2. 다른 언어


중국어에서는 다른 언어의 발음을 로마자 등으로 옮기는 것 또한 병음이라고 부른다. 그래서 중국 대륙이나 대만의 소수민족 언어의 표기법도 병음이라고 명명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용병음대만 원주민 언어 표기법을 대만원주민어통용병음이라고 하며 천수이볜 총통 집권기에 한해 중화민국의 공식 대만 원주민 언어 로마자 표기법이었다.

3. 기타


매우 극단적으로 말하자면 한자를 창힐수입법의 키 입력으로 변환한 것(예: 輸 → JJOMN)도 일종의 중국어 로마자 표기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일단 원어가 중국어이고, 표기가 로마자로 적혀 있는 것은 사실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창힐수입법은 상당히 규칙적인 표기법이고, 결과물이 겹치는 것도 거의 없으며, 원문(한자)으로의 환원성도 아주 뛰어나다(그래서 한자 ↔ 창힐수입법 변환기도 쉽게 만들 수 있다). 그리고 어떤 로마자 표기법이든 읽는 방법은 배워야 하는 건 마찬가지이므로 JJOMN이라는 표기를 한어병음의 shū나 월병의 syu1 등으로 발음하는 걸 배워야 한다는 식의 주장도 아무런 문제가 없다.

4. 관련 문서



5. 바깥 링크


  • 중국어를 할 줄 아는 위키러들은 한자 이름을 넣어서 병음을 대조해보자.
    • 대만 교육부에서 제공: (주음부호,) 한어병음, 통용병음, 국어 주음부호 제2식,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예일식을 지원한다. 다만 국어 주음부호 제2식,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예일식은 성조 정보가 출력되지 않는다.
    • 대만 외교부에서 제공: 한 글자씩 넣어서 대조. 한어병음, 통용병음,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국어 주음부호 제2식을 지원한다(성조 정보는 전혀 출력되지 않음). 다만 대만 외교부의 이 변환기는 기본적으로 대만인이 대만 여권을 신청할 때 참고할 수 있도록 만든 것이기 때문에 대만 여권에 표기하지 않는 요소들(어깻점(' 또는 ʻ)과 diacritic 등)이 빠진 철자를 출력한다. 그래서 성씨 朱, 楚, 鞠, 曲의 웨이드-자일스 표기가 모두 CHU로 출력된다(실제 웨이드-자일스 표기(성조 생략)는 각각 Chu, Chʻu, Chü, Chʻü임. 참고로 한어병음(성조 생략)으로는 각각 Zhu, Chu, Ju, Qu이다). 따라서 이 변환기는 '정확한' 표기를 얻고자 하는 경우에는 적절하지 않다.
  • 萌典(맹전): 대만 교육부 국어사전. 병음을 바꾸어서 볼 수 있다. 안드로이드 버전, 아이폰 버전

[1] 중국어권에서는 한글을 지금도 옛 명칭(?)인 언문(諺文)이라 하므로 말하자면 '대만어 한글'인 셈.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