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益'''더할 익
'''부수
나머지 획수'''

, 5획
'''총 획수'''
10획
'''교육용'''
중학교
'''신자체'''
[1]
'''일본어 음독'''
エキ, (ヤク)
'''일본어 훈독'''
''ます''
'''간체자'''
-
'''표준 중국어 독음'''

* 기울임체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기울임체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상세
2. 용례
3. 유의자
4. 상대자

[clearfix]

1.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은 다음과 같다.
'''한국어'''
'''훈''' : 더하다
'''음''' : 익
'''일본어'''
'''음독''' : エキ(ヤク)
'''훈독''' : ます
'''중국어'''
'''표준어''' : yì
광동어 : jik1
객가어: yit
민동어: ék
민남어 : iah / iak/ ek
'''베트남어'''
ích
유니코드에는 U+76CA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TCBT(廿金月廿)로 입력한다. 한자검정시험에서는 준4급으로 분류되어 있다.
[image]
이 글자는 (넘칠 일)자의 본자(本字)이다. 원래는 항아리나 그릇 안에 물이 가득 차는 모습을 본떠 만들어, '넘치다'라는 뜻이었다. 그러나 여기서 파생되어 '넉넉하다', 더 나아가 '더욱' 혹은 '유익하다'라는 뜻으로 쓰이게 되었고, 본래의 뜻은 옆에 (물 수) 자를 붙인 溢 자로 넘어가게 되었다. 고대에는 益과 溢은 통자(通字)였다.

2. 용례



2.1. 단어



2.2. 지명



2.3. 고사성어/숙어



2.4. 이모티콘


잘 보면 이를 드러내고 찡그린 얼굴처럼 보이는 글자라 중국에서는 과 더불어 충격을 받거나 화가 났다는 의미로 자주 사용되는 이모티콘 중 하나. 일본에서는 인도칸나다 문자의 'ಠ'를 붙여 ಠ益ಠ처럼 양쪽에 눈을 추가해서 수염난 사람이 화를 내는 이미지로 정착되었다.
활용 예)━╤デ╦︻༼ಠ益ಠ༽︻╦̵̵͇̿̿̿̿══╤─,

3. 유의자


  • (더할 가)
  • (이로울 리)
  • (더할 증)
  • (더할 첨)

4. 상대자



[1] 첫 두 획이 八의 형태가 아닌 丷의 형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