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나다어
1. 개요
칸나다어는 인도의 카르나타카 주와 그 인접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현재 약 3,800만 명의 사용인구가 있으며, 인도 정부가 헌법으로 지정한 22개의 공용어 중 하나이다. 칸나다어는 드라비다어족에 속한 언어이며, 칸나다 문자라는 고유의 문자를 이용해 표기한다. 이름과는 달리(?) 캐나다와는 상관없다.
'''
ನಮೂ ವಿಕಿ ,ನೀವು ಪೋಷಿಸುವ ಜ್ಞಾನದ ಮರ .''''''나무위키, 여러분이 가꾸어 나가는 지식의 나무.'''
2. 상세
2.1. 역사
칸나다어는 드라비다어족에 속하는 언어들 중에서도 가장 오래된 언어 중 하나로 꼽힌다.
칸나다어는 기원전 9세기경에 등장해 이미 기원전 3세기 때 풍부한 어휘와 언어체계를 갖춘 것으로 확인되었다. 심지어 당시 그리스의 역사서에까지 칸나다어의 존재가 기록되었을 정도라고 하니, 그 역사가 얼마나 유구한지 가늠할 수 있다. 칸나다어를 표기하는 칸나다 문자도 1세기경에 거의 다 완성되었다.
산스크리트어 및 프라크리트어, 타밀어에 큰 영향을 받아 차용어를 대거 도입했고, 나중에는 포르투갈어, 영어에서도 외래어를 가져와 상당수의 어휘들이 외래어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산스크리트의 영향으로 다른 많은 드라비다어(텔루구어, 말라얄람어 등)처럼 음운 체계에서 기식성(aspiration)에 따라 무기음-유기음을 구별하게 되었다.
산스크리트 및 프라크리트의 영향을 문학 스타일에서 얼마나 인정할 것인가는 드라비다어권 대언어(타밀, 칸나다, 말라얄람, 텔루구) 모두에서 논쟁적인 주제인데, 대체로 타밀어가 가장 드라비다어 고유의 어휘와 스타일을 보존하는 편이고, 텔루구어와 말라얄람어는 외래 영향에 개방적인 편이며 칸나다어는 이 두 그룹의 중간에 위치하는 것으로 본다. 9세기 중반 라슈트라쿠타 왕국의 아모가와르샤 1세는 산스크리트 스타일(어휘, 통사 구성면에서)의 칸나다 문체를 공식적인 것으로 인정했으나, 칸나다의 고유성을 살리는 통속 문학도 여전히 존재했고 향유자가 많았으므로 이 사건은 논쟁을 끝내기보다는 오히려 촉발하게 되었다. 한편 1112년 시인 나야세나는 "칸나다어를 산스크리트와 섞는 것은 깨끗한 버터와 기름을 뒤섞는 것과 같다"는 주장을 펼치며 거의 순수한 칸나다어만 사용한 논설문을 썼다(불가피한 경우 극소수의 산스크리트 외래어를 쓰기는 했다). 1235년에는 시인 안다야가 비로소 순수 칸나다어로 장문의 문학 작품들을 써내는 데 성공하였으며, 이로써 순수 칸나다어 문학 전통의 출발점이 되었다. 그 이래로 산스크리트 스타일, 고유 칸나다 스타일, 혼합 스타일 모두 다양한 작가군을 보유하게 되었다.
2.2. 문법적 특징
칸나다어는 현대 드라비다어족의 다른 언어들처럼 문법적 성이 존재한다. 일찍이 산스크리트어와 팔리어 등의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많이 받아 고전 문법 체계가 산스크리트를 모방한 성과 격 체계를 따랐으며, 이에 따라 3개 성(남성, 여성, 중성) 및 8개 격(주격, 대격, 도구격, 여격, 탈격, 속격, 처소격, 호격; 고전 문법에서는 격의 순서도 의미가 있으므로 순서를 섞으면 안 된다)을 구별하였다(수는 산스크리트에서 쌍수가 빠진 2개(단수, 복수)이긴 하다). 그러나 실제로는 산스크리트와 많이 다르다.
우선 타밀어와 비슷하게 성의 구별은 형식적인 것보다는 의미에 따른 것이다. 사람은 의미상 성에 따라 성을 취하고(어머니-여성, 아버지-남성, 왕-남성 등), 자연물 중 성별이 있는 것은 대개 해당하는 신의 성별에 따라 명사의 성을 배정받는다. 가령 '바람("바유")'은 남성인데 이는 바람의 신 바유가 남성이기 때문이다. 추상명사(사랑, 세계)는 대개 중성이고, 많은 자연물 명사(나무, 강)도 중성이다. 또한 격과 수의 변화는 규칙적이고 반복적인 어미에 의한 것으로 교착적 특성을 보이며, 격 중 도구격과 탈격은 같은 접사를 사용하여 도구격-탈격이라는 하나의 형태를 가진다. 형용사와 동사 변화 역시 규칙적이므로 굴절어가 아닌 교착어로 분류된다.
구어체와 문어체가 크게 다르다. 구어체는 지역마다 다른데, 약 20개 정도의 변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3. 문자
- 칸나다 문자의 모음
[image]
- 칸나다 문자의 자음
[image]
칸나다어는 칸나다 문자라는 고유의 문자를 이용해 표기를 한다. 이 문자는 텔루구 문자와 상당히 흡사해 보이며 실제로도 텔루구 문자와 기원을 같이한다.텔루구 문자와는 모양이 비슷하게 생긴 걸 넘어서 아예 자형이 일치하는 경우가 많다. 텔루구 문자와 칸나다 문자의 차이가 뚜렷해진 시기가 16세기 일로 비교적 최근 일이기 때문이다.
인도에서 사용되는 문자들이 대부분 그러하듯이, 이 문자도 아부기다에 속한다. 이 문자가 어떻게 읽히는지 알고싶다면 아부기다 항목 참조.
3.1. 유니코드
칸나다 문자는 유니코드 U+0C82~U+0CF2 영역에 할당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