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皿'''그릇 명
'''부수'''
'''획수'''
5획
'''교육용'''
미등재
'''급수'''
1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ベイ, ミョウ
'''일본어 훈독'''
さら
'''간체자'''
-
'''표준어 병음'''
mǐn
강희자전 부수
107{{{#!wiki style="margin:-3px 0px; font-size:16px"
108{{{#!wiki style="margin:-3px 0px; font-size:16px"←   皿   →
109{{{#!wiki style="margin:-3px 0px; font-size:16px"
  [ 더보기 ]  
'''인명용 한자'''

'''부수+획'''

'''육서'''



'''이체자'''

'''주음부호'''

'''창힐수입법'''

'''사각호마'''



'''광둥어 병음'''

'''민남어 병음'''

'''일본어 오음'''

'''일본어 한음'''

'''일본어 당음'''

'''학년'''

'''상용한자표'''

'''베트남어 쯔꾸옥응으'''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5px -11px"
  [ 더보기2 ]  
U+76BE{{{#!wiki style="margin:-4px; font-size:18px"
U+76BF{{{#!wiki style="margin:-4px; font-size:18px"←   皿   →
U+76C0{{{#!wiki style="margin:-4px; font-size:18px"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5px -11px"
  [ 부수 ]  

획순
1. 개요
2. 자형
3. 용례
4. 부수
4.1. 부수 예
4.2. 나라별 부수명칭
4.3. 기타

[clearfix]

1. 개요


皿자는 음식물을 담는 식기를 의미하며, 그 형상을 본떴다. 또한 의미를 확대해보면 용기류 전반을 의미하기도 한다. 말그대로 사발, 잔, 그릇, 대야 등의 총칭.
유니코드는 76BF에 배당되었으며, 한자검정시험1급으로 분류된다.
일본어 훈독을 보면 알겠지만, 일본어 잔재 때문에 그릇류, 대야류를 사라로 총칭하는 경우가 많았었다. 고무대야의 다라이와 비슷한 케이스다.

2. 자형


[image]
[image]
[image]
[image]
갑골문
금문
대전체
소전체

3. 용례


  • 기명 (器皿)

4. 부수



명칭: 그릇명부
강희자전 안에 108번째에 수록된 부수로 강희자전안에 129자가 수록되었다.(49,030자 중)
부수의 의부로 붙을 때에는 식기 및 용기에 관한 뜻을 나타낸다.

4.1. 부수 예


추가 획
한자
기본자

3획

7획

8획

10획

11획

의외로 은 그릇명부가 아니다. 그릇명부와 따로 되어 있는 제부수자다.

4.2. 나라별 부수명칭


  • 한국: 그릇명부
  • 중국: 皿字底
  • 일본: さら
  • 미국: Radical dish

4.3. 기타


일본의 리듬게임 커뮤니티에서 비트매니아 시리즈/beatmania IIDX같은 건반계 리듬게임스크래치 입력부를 皿(접시)로 부르는 경우가 많다. 읽는방법은 훈독을 따라서 사라. 예를들어서 皿譜面은 스크래치 패턴이라는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