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絲'''실 사
'''부수
나머지 획수'''

, 6획
'''총 획수'''
12획
'''교육용'''
중학교
'''신자체'''

'''일본어 음독'''

'''일본어 훈독'''
いと
'''간체자'''

'''표준 중국어 독음'''

* 기울임체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기울임체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clearfix]

1. 개요


실 사, 가는 실 멱(絲). 따위를 뜻하는 한자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은 다음과 같다.
'''한국어'''
'''훈''' : 실
'''음''' : 사
'''일본어'''
'''음독''' : シ
'''훈독''' : いと
'''중국어'''
'''표준어''' : sī
광동어 : si1
객가어 : sṳ̂
민둥어 : sĭ
민난어 : si / su
우어 : sr (T1)
'''베트남어(쯔놈)'''
tơ, tưa, ty, ti
유니코드는 7D72[1]에 배당되었으며, 주음부호로는 ㄙ로, 창힐수입법으로는 女火女戈火(VFVIF)[2]로 입력한다. 한자검정시험에서는 읽기 4급, 쓰기 3급으로 분류된다.
두 개가 합쳐진 형상을 한 회의자다.
'실 사'이라는 훈음이 대표적이나 '가는실 멱'이라는 훈음도 있다. 그러나 완성형/중복 한자에 추가되지 않았다.[3] 의 훈음과 겹치는데 사실 絲는 신자체에서 糸로 쓴다. 이처럼 신자체로 바꾸면서 기존의 한자와 충돌하게 된 케이스는 臺(돈대 대)[4], 罐(두레박 관)[5] 등이 있다. 현대 들어 糸와 絲이 혼용되어 쓰이고 원래 의미로의 糸는 거의 쓰이지 않았기 때문에 缺[6]처럼 문제가 되는 경우는 없다.
[image] [image]
한국식 자형(좌)과 대만식 자형(우)에 차이가 있다. 우선 실사변 糹가 한국식 자형은 제부수자 모양 그대로이고(糸), 대만은 ㄥ+ム 밑에 점이 세 개가 찍힌 형상인 것(糹)에서 차이가 있다. 그 옆의 糸자도 한국식은 변과 동일하게 く+ム+小(갈고리 없는) 모양인데 반해, 대만식 자형은 ㄥ+ム+小(갈고리 있는) 모양이다.

3. 용례



3.1. 낱말



3.2. 고사성어


  • 묵비사염(墨悲絲染)
  • 일사불란(一絲不亂)
  • 촌사불괘(寸絲不掛)

3.3. 이름



3.4. 지명



[1] 糸는 U+7CF8, 丝는 U+4E1D[2] 丝는 女女一(VVM)[3] 참고로 이 한자는 KS X 1002에 추가된 확장 한자이다. 중복한자는 KS X 1001에 나온 한자만 해당된다.[4] 신자체가 台(별 태)와 동일[5] 신자체가 缶(장군 부)과 동일[6] 신자체가 되면서 기존의 欠(하품 흠)이 됐는데 欠缺(흠결)이라는 단어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 단어를 쓸 때만큼은 어쩔 수 없이 欠缺로 구자체로 써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