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르디우스의 매듭
1. 개요
서양판 쾌도난마
Gordian knot
고대 소아시아의 프리기아 왕국의 고르디온에 있었다는 전설의 매듭.
2. 일화
2.1. 이걸 풀면 아시아의 왕이 되리라
전설에 의하면 프리기아 왕국에는 왕이 없었는데 어느날 테르미소스의 신탁에서 '''"테르미소스에 우마차를 타고 오는 자가 왕이 될 것이다"'''라는 말이 내려왔다. 그러다가 시골 농부이던 고르디우스와 그의 아들 미다스(혹은 마이더스)가 우마차를 타고 테르미소스성에 들어왔다. 사람들은 그가 신탁에서 말해진 왕이라고 기뻐했고 고르디우스가 프리기아의 왕이 되었다.
이후 고르디우스의 왕위를 물려받은 미다스는 자신과 아버지가 타고 들어온 우마차를 프리기아의 신 사바시오스(그리스 인들은 제우스와 동일시했다)에게 바쳤고 사바시오스 신전의 신관들은 이 우마차를 신전 기둥에 매우 복잡한 매듭의 줄로 묶었다. 이후 내려온 이야기로는 이 고르디우스의 우마차를 묶은 복잡한 매듭을 푸는 자는 '''아시아의 왕이 된다'''라는 말이 전해져 내려왔다고 한다.
2.2. 알렉산드로스가 단칼에 풀다
알렉산드로스 3세가 프리기아로 진군해서 이곳에 도착했을 때 이 이야기를 듣고 이 매듭을 풀려고 했으나 워낙 매듭이 복잡하고 정교하게 묶여져 있어서 도무지 풀 수가 없자 화난 알렉산드로스는 '''칼로 매듭을 끊어버렸다'''. 이후 알렉산드로스는 신탁대로 아시아의 왕이 되어 인더스 강까지 진군했지만, 매듭을 정상적으로 풀지 않고 칼로 끊어버린 것 때문인지 그의 사후에 '''그의 제국은 여러 나라로 분열되었다'''.
고대 문헌에 따라서는 알렉산드로스가 고르디우스의 매듭을 푸는 이야기가 조금씩 다르게 나온다. 플루타르코스는 알렉산드로스가 칼로 매듭을 썰어서 풀었다는 이야기는 사실이 아니라고 주장하며 아리스토불루스의 기록을 인용해서 알렉산드로스가 매듭을 고정하고 있던 못을 찾아내 그것을 뽑아서 매듭 끈의 양쪽 끝을 찾아내서 풀어냈다고 기록하고 있다.
3. 해석
학자들 중에는 이 이야기를 알렉산드로스가 소아시아를 정복하는 과정에서 정통성을 부여하기 위해 퍼뜨린 프로파간다의 일종으로 해석하는 시각도 있다. 고르디우스와 미다스가 우마차를 타고 나타났다는 것은 단순히 시골에서 도시로 여행한 게 아니라 아주 먼 거리를 여행한 것임을 암시하며, 마케도니아에 미다스라는 이름을 가진 지명도 있었고, 본래 프리기아 사람들은 마케도니아에서 이주한 바도 있으며, 결정적으로 신탁에서 왕이 될 사람으로 지목한 게 성직자가 아니라 먼 타지에서 온 농부와 그의 아들이라는 점에서 알렉산드로스가 '''"전설에 먼 곳에서 온 사람이 니들 왕 한다고 했으니까 내가 니들 왕 해도 되는 거다"'''라는 걸 강조하려고 꾸며낸 이야기일 수 있다는 것.
이후로 고르디우스의 매듭은 어려운 문제를 놀라운 발상을 통해 단번에 해결하는 것을 은유적으로 가리키는 말로도 쓰인다. 현대에는 한편으로 좀 다른 해석도 있다. '복잡한 일을 무작정 간단하게 해결하려 하면 처음에는 해결한 듯 보이나 결국엔 실패하며 어렵더라도 올바른 방법을 지켜야 한다'라는 반대의 해석이다. 매듭을 칼로 끊어낸 알렉산드로스가 예언대로 대제국을 건설하긴 했으나 그가 죽은 직후 디아도코이 간의 분쟁으로 제국이 조각조각 해체된 것을 두고 나온 표현이다.
4. 기타
중국에서는 이와 유사한 이야기가 있는데 북위의 실권자였던 고환이 아들들을 모아놓고 삼실 뭉치를 하나 주며 몽땅 추려내보라고 했다. 애들이 낑낑대고 있을 때 차남 고양은 칼을 가져오더니 알렉산더처럼 단방에 싹둑 잘랐다는 일화가 있다. 여기서 나온 고사성어가 바로 그 유명한 '''쾌도난마(快刀亂麻).'''
그 다음에 그는 아버지에게 "어지러운 것은 베어버려야 합니다!"라고 호기 있게 말한 게 '난자수참(亂者須斬)'의 어원이 되었다. 여기서 쾌도난마와 난자수참은 오늘날에는 고르디우스의 매듭과 비슷한 뜻으로 쓰이지만 옛날에는 '''통치자의 폭정'''을 가리키는 말로 쓰였다고 한다. 특히 이 고사의 주인공인 고양은 문서에 나와 있듯이 실제로 잔혹한 폭군이었다.
포르투갈 식민지 전쟁때 이 매듭의 이름을 딴 작전이 있었다. 결과적으로는 포르투갈이 승리했지만 몇년 안가서 식민지들은 독립됐다.
5. 대중문화에서
앨런 무어의 그래픽 노블 왓치맨에서는 어떤 인물이 자신의 일을 이것에 비유한다. "풀리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틀에 박힌 해결책 밖에서 생각을 해야 합니다." [1]
같은 만화의 등장인물 2대 나이트 아울은 자꾸만 외부인의 무단침입으로 문고리가 부서지는 바람에 계속해서 자물쇠 회사를 불러다 문고리를 새로 다는 처지이다. 이 회사의 이름이 '''Gordian Knot''' Lock Co. 그 때문인지 이렇게 새로 단 문은 정상적으로 열리는 법이 없고 맨날 발로 차고 부서져 강제로 열리는 비운을 겪었다.
파이널 판타지 11 확장팩 아토르간의 보물에서는 갓사드라는 기술자가 라즈파드의 명령에 따라 대놓고 '고르디우스의 매듭'이라는 이름의 장치를 풀어 전설의 철거인 알렉산더를 부활시킨다.
소설 《Fate/Zero》에 나오는 라이더의 보구인 고르디아스 휠도 여기서 유래된 것이다.
안드로이드: 넷러너에서는 이 카드의 이름을 비튼 'Gordian Blade(고르디우스의 검)'이라는 Decoder계 아이스브레이커 카드가 등장한다.
창궁의 파프너 EXODUS에 나오는 고르디우스 결정도 여기서 유래된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