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우고속

 


光宇高速 / Gwangwoo Express
[image]
[image]
'''현재는 모두 대차된 BM090 차량.'''[1]
'''현재는 모두 대차된 BH090 차량.'''[2]
[image]
[image]
'''FX120 차량.'''
'''유니버스 스페이스 엘레강스 차량.''' 출처
1. 개요
2. 노선
3. 면허 체계
4. 보유 차량


1. 개요


1979년[3] 설립되어 전라남도 지역을 영업 대상으로 하는 중규모의 시외버스 회사. 광주광역시에 본사가 있으며 차량 면허는 화순군으로 되어있다. 전남의 시외버스 회사 중에는 의외로 도내에서 영업 지역이 넓은 회사.
본래는 광우교통이라는 이름이었다가 2006년에 광우고속으로 바뀌었다. 1992년쯤 송광교통[4]의 시외버스 사업부를 인수했다. 또한과거 전세버스 영업을 한 이력이 있었으며, 지금은 본업인 시외버스 외에도 여수시에서 시내버스를 운행하기도 한다. 33번(미평한전~율촌), 330번(미평~순천역)에 1대를 배차하고 있다.[5][6] 순천시에서도 시내버스(111번[7], 해룡 대안마을~송광사)를 1대 배차하여 동신교통과 공동 운행하기도 했으나, 2014년 4월 해당 차량의 대차 시기에 맞춰서 동신교통에 매각했다.
운전을 좀 험하게 한다. 왕복 2차로 도로에서 세 자리 수 속력이 나오기도 하며 커브를 돌 때 반대쪽에 차가 없으면 중앙선 침범도 한다. 신호 위반이나 예측 출발도 한다. 주로 밤에 이런 경우가 많다. 2017년 중반부터는 그다지 안 밟는 거 같지만 여전히 왕복 2차로에서 90km/h가 넘는 경우가 간간이 나온다. 왕복 4차로에선 110km/h로 풀로 당긴다.
보성을 준(準)거점으로 운행하는 회사로, 광주~보성 노선을 단독 운행하고 있으며 주민 편의를 위해 보성읍내에서 터미널 말고도 군청 근처 북문정류장에 정차한다. 또한 목포~여수 노선에서 막차를 보성 종착으로 굴리고 있으며 자사 목포~울산 노선도 보성에 정차한다.
근데 정작 광주~보성 노선은 독점 노선이라 호구 취급받는 경향이 강하다. 해당 문서 참조.
장거리 노선은 거의 없지만 우등 차량을 다수 보유 중인데, 시골 노선에도 가차없이 시외우등할증을 받는 금호고속과 달리 서비스우등을 잘 넣어주는 편. 광주~녹동은 광우고속 시간대에 한해 전회 우등으로 운행하고 있지만 일반 요금을 받고, 광주~보성도 절반 정도는 서비스우등이다. 심지어 웬만한 데는 다 서는 목포/해남~순천 직행에도 서비스우등이 들어갈 때가 있다. 하지만 장거리 노선에 해당하는 목포~순천 직통이나 목포~보성~양산~울산 노선은 시외우등할증을 받는다.
예전엔 에어로타운, BM090 등 중형차를 시외로 다수 운행하기도 했다. 현재는 전량 대형차로 대차되었다.

2. 노선


※ 정류장명에 괄호가 쳐진 것은 일부 회차가 무정차함을 의미한다.
동광고속, 광신고속과 공동배차. 원래는 동광고속 회차에 금호고속이 운행했는데 금호고속에서 노선을 동광고속에 넘겼다. 동광고속의 배차가 압도적이고, 광신·광우의 비중은 광우는 일 3편, 광신은 일 1편으로 거의 없다. 옛날엔 하루에 한번 하동시외버스터미널까지도 갔다는데, 지금은 전부 구례까지만 운행한다. 구례 노선 중 일부 회차가 화엄사까지도 운행하나, 이건 동광고속 시간대만 해당되는 이야기이고 광우고속 시간대에는 전부 구례까지만 운행하고 광신고속 차량은 화엄사 대신 중동(지리산온천)으로 간다. 유스퀘어 탑승구는 20번.
  • 광주 ~ 문화동 ~ 옥과 ~ 석곡 ~ 목사동 ~ 죽곡
하루 1회 운행. 유스퀘어 탑승구는 21번.
  • 광주 ~ 문화동 ~ 옥과 ~ 석곡 ~ 광천 ~ 송광사
하루 5회 운행. 유스퀘어 출발구는 21번.
금호고속, 동방고속과 공동배차. 광우고속은 모든 시간대에 우등형 차량(28석)을 투입한다. 3사를 합쳐 광주~고흥 간 하루 총 35회 운행하며, 광우고속은 7회를 배차하고 있다.
원래는 모든 회차가 22번 국도-15번 국도를 이용하였으나 2016년 7월 1일부터 총 35회 중 4회는 화순, 곡천에 정차하지 않고 29번 국도-남해고속도로를 이용하고 있으며, 광우고속은 저 4회 중 1회를 배차하고 있다. 나머지 31회는 종전 구간대로 운행하고 있으며 광우고속은 31회 중 6회를 배차하고 있다.
유스퀘어 탑승구는 20번.
  • 광주 ~ 학동 ~ 소태역 ~ (화순) ~ (문덕) ~ (복내) ~ 북문 ~ 보성 ~ (녹차밭) ~ (율포)
  • 광주 ~ 진월동 ~ 나주 ~ 영산포 ~ 신북 ~ 영암 ~ 구림 ~ 독천 ~ 삼호 ~ 목포
하루 2회 운행. 2번 국도 노선과 광주 착발 노선을 순환배차시키기 위한 쩌리 노선. 전북고속의 전주-광주 노선을 생각하면 되겠다. 목포~영암읍 구간을 운행하는 유일한 시외버스 노선이지만 운행횟수가 횟순지라 사람들은 30분에 1대씩 다니는 농어촌버스를 탄다. 유스퀘어 탑승구는 26번.
금호고속과 공동배차. 2번 국도 연선의 동네들을 서로 연결해주는 노선이다.
  • 목포 ~ 남악 ~ (삼호) ~ 순천 ~ 여천 ~ 여수
위의 노선의 직통판. 꾸준히 증회한 결과 비첨두시에도 1시간에 1대꼴로 온다.
  • 여수 ~ 여천 ~ 덕양 ~ 순천 ~ 벌교 ~ 조성 ~ 예당 ~ 보성 ~ 배산 ~ 장흥 ~ 강진 ~ 해남
금호고속과 공동배차. 역시 남해안 지자체들을 잇는다.
광우고속의 유일한 전남도외 노선이자 최장거리 노선. 목포~삼호~보성, 양산~울산 구간승차는 불가능.[8] 목포~울산 자체는 금호고속과 함께 각 1회씩 운행하는데, 금호고속 차량은 보성 대신 순천에 정차하며 광우고속 차량만 보성에 정차한다. 보성과 울산을 오가는 수요가 많지는 않지만, 그나마 광우고속이 개척 가능한 곳이 보성이기에 보성에 정차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원래는 금호고속 대신 경남고속과 공동배차했으며 그 당시에는 경남고속 차량도 보성에 진입했다.
광우고속이 1대[9]를 배차하고 있다. 해당 문서 참조.

3. 면허 체계


  • 시외버스
    • 전남 75바 34##
  • 여수 시내버스
    • 전남 70아 5300

4. 보유 차량



4.1. 현재 보유 차량



4.1.1. 현대자동차



4.1.2. 자일대우상용차



4.1.3. 기아자동차



4.2. 과거 보유 차량



4.2.1. 현대자동차



4.2.2. 자일대우상용차



4.2.3. 기아자동차



[1] 뉴그랜버드 그린필드로 대차되었다.[2] FX116으로 대차되었다.[3] 금호그룹 계열사 광우교통과는 다른 회사로 1975년 광주고속에 통합되어 소멸되었다.[4]화순교통.[5] 1대의 차량으로 번갈아 운행.[6] 해당 차량은 업체명을 "광우고속"이 아닌 "광우시내"로 표기하고 있다. 차량번호는 5300호#[7] 당시 차량번호는 전남 70아 7400.[8] 목포-보성은 금호고속 & 광우고속의 단거리(여수/고흥/광양) 노선을, 울산-양산은 경남고속을 타야한다.[9] 이 1대로 33번과 330번을 번갈아 가면서 운행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