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열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제27대 법무부 장관.
2. 생애
1921년 경상북도 달성군 가창면 우록동(현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우록리)[1]#에서 태어났다. 1943년 일본 주오대학을 졸업하고 같은 해 7월 고등문관시험 사법과에 합격했으며, 1945년 4월 일본 변호사 시험에 합격했다.
8.15 광복 후 귀국해 1946년 대구지방검찰청 검사로 근무하면서 검사 생활을 시작하였다. 4.19 혁명 이후 1960년 9월 서울지방검찰장에서 물러나 변호사 생활을 시작했다.
1970년 1월 중앙정보부 국내담장 차장에 임명되면서 관료로 복귀하였다. 1973년 8월 이후락, 이철희, 김기완과 김대중 납치 사건을 지휘하였고, 1973년 10월 최종길 교수 의문사 사건 같은 고문을 통한 간첩조작 사건에 관여 하였다. 1973년 12월 제13대 검찰총장으로 영전하였다. 1974년 검찰총장으로서 중앙정보부와 함께 민청학련 사건, 2차 인민혁명당 사건에 관여하였다. 1975년 12월 제37대 내무부(현 행정자치부) 장관으로 영전하였다. 내무부 장관 재임 중이던 1976년 서울특별시 용산구 남영동 대공분실을 준공하였는데 특이하게도 명패에는 기관명이나 건축가의 이름이 적히는 반면 내무부 장관 김치열의 이름이 쓰여져 있다. 그리고 11년 뒤... 1978년 12월 법무부 장관이 되어서 1979년 12월까지 재임하였다.
5.17 내란 이후 전두환의 신군부로부터 부정축재자로 지목되어 중앙정보부에 연행당해 조사를 받고 재산을 몰수당했다. 그러나 2003년 소송을 통해 1000억 원대의 부동산을 되돌려 받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