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매치
1. 게임 종류중 하나
영상은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2의 팀 데스매치 모드.'이걸 뭐라고 해야 될까?' 로메로는 생각했다. 그것은 시합 같았다. 권투 시합 같기도 하지만 상대를 그저 쓰러뜨리기만 하는 밍숭밍숭한 것이 아니었다. 상대를 죽이는 시합이었다! 죽을 때까지 하는 시합 말이다. 그는 돌연 멈춰서서 말했다. "이건 죽음의 대결이야!"
의 내용 중 일부
PvP의 기본 모드 중 하나로, 상대에게 죽거나 상대를 죽이는 게 전부인 단순한 게임 방식이다. 개인전(Free for All)과 팀전(Team Deathmatch)으로 나뉜다. 거의 모든 멀티 플레이 기반 FPS에 존재하며, 단순히 죽고 죽이는 법칙으로 언제나 평균 이상의 인기를 얻고 있다.
레벨 디자인적으로 시작과 동시에 빨리 적과 조우하는 게 가장 인기있기에 좁은 곳에서 격전을 벌이는 맵들이 인기가 많으며, 동시에 사망 후 부활해도 고급무기를 든 상대에게 양민학살 당하지 않도록 일부 게임들에선 스폰 위치 인근에 스스로를 지킬 정도의 무기를 두거나 무적시간을 적용하기도 한다.
또한 이것에서 '리스폰 없음'이라는 요소를 더하면, 라스트 맨 스탠딩, 혹은 배틀로얄 게임이라는 장르로 세부화 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각 게임 마다 운용법이 많이 달라지게 된다.
하지만 심각한 문제점은, '막타'만 치면 킬로 인정이 되기 때문에, 실력이 없어도 마지막 킬만 따내면 날먹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간혹 게임에 따라 킬 수가 아닌, 적에게 입힌 피해량을 계산하는 일명 '딜 데스매치'도 생겨나 이 문제점을 보완해주기도 한다.
1.1. 개인전
레벨을 돌아다니며 마주하는 모든 이들이 모두 나의 적이기에, 순전히 개인의 실력에 따라 상위권과 하위권이 극명하게 갈린다. 때문에 해당 게임을 처음 접해 조작이 서툰 초보들은 고수들에겐 손쉬운 먹잇감이기에 여러번 죽임을 당하고, 이에 대다수가 떨어져 나가 시간이 경과할수록 고수 대 고수 양상으로 흘러가기 쉽다. 때문에 신규 이용자의 지속적 유입과 안정적인 정착을 도울 수 있도록, 최근의 온라인 FPS계에서는 이러한 FFA(Free For All) 데스매치보다는 거점 점령, 중요 아이템 운반(CTF, 오버워치의 '화물 운송' 등) 과 같은 게임 모드가 강조되는 경향이 크다.[2] 단순 FFA 데스매치라면 개별 플레이어의 피지컬에 의해서 모든 것이 결정되지만, 각 캐릭터의 역할을 나누어 공동의 목표 달성을 위해 협력하는 방식의 팀전이라면 설령 에임 실력이 떨어지는 뉴비 플레이어라도 팀에 충분히 1인분을 하며 기여를 하고, 이 과정에서 재미와 보람을 느껴 게임에 흥미를 잃지 않고 오래 플레이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
1.2. 팀전
두 개 이상의 팀이 제한된 시간 내에 상대를 보다 더 많이 죽이면 승리하는 구조다. 팀 단위기에 고수들 틈에 하수도 옆에 끼어 묻어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는 캐릭터별 등급이나 HP 차이를 둘 때 처치한 적에 따라 득점을 다르게 하여, 특정 점수를 따면 이기는 변형 데스매치도 있다. 대표적인 게 건담 vs 시리즈.
2. 더 지니어스 시리즈의 게임
2.1. 개요
탈락후보와, 그에게 지명된 플레이어가 생존을 놓고 벌이는 1:1 대결이다.[3] 데스매치에서 패배한 플레이어는 '지니어스 게임'에서 '''탈락'''하게 되며, 승리한 플레이어는 생존하여 다음 라운드로 진출한다. 시즌 2까지는 생존자는 다음 회전으로 진출하면서 탈락자가 소유하고 있던 가넷을 획득했다. 하지만 시즌 3부터는 탈락자의 가넷은 소멸하게 된다.단 시즌 3에 한해서 데스 매치 생존자는 '블랙가넷' 1개를 받게 되었다. 블랙가넷에 대한 정보는 더 지니어스:블랙 가넷 참고. 시즌 4의 경우 탈락자의 가넷 소멸 룰이 계승되었음에도 상금이 부족하다고 판단했는지 후에 다시 상금으로 추가했다.
지금까지 연승게임, 전략 윷놀이, 인디언 포커, 이미지 게임, 같은 그림 찾기, 콰트로, 해 달 별, 결!합!, 레이저 장기, 암전게임[4] , 인디언 홀덤, 흑과 백, 흑과 백Ⅱ, 베팅 가위바위보, 양면포커, 십이장기, 기억의 미로, 모노레일, 베팅! 흑과 백, 같은 숫자 찾기의 총 20가지 종류의 데스매치가 사용되었다.[5]
또한, 인디언 포커, 세트-결합, 딕싯-이미지게임, 동물장기[6] -십이장기, 베니스 커넥션-모노레일등 원래 있는 게임을 거의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3. 프로레슬링 경기 방식의 한 종류
주로 하드코어 매치보다 더 심한 폭력성을 띄는 경기들을 데스매치라고 부른다. 데스매치에는 주로 형광등, 철조망, 압정 정도가 사용되며, 모든 매치마다 볼수 있는 수준은 아니지만 가끔 주사기, 전기톱, 제초기, 소금 등이 나오기도 한다. 그러다보니 높은 곳에서 떨어지거나 하는 범프 액션은 기본이고, 피는 당연히 매경기마다 터진다. 이런 매치들을 볼수 있는 단체로는 ECW[7] , CZW, 대일본 프로레슬링, IWA-MS 등이 있다. 자세한 정보는 프로레슬링/경기방식 참조.
[1] 데이비드 커시너 저, 국내에는 <둠: 컴퓨터 게임의 성공 신화 존 카맥 & 존 로메로>라는 제목으로 발간되었다.[2] 실제로 오버워치는 데스매치와 섬멸전은 죄다 아케이드라는 별도의 게임 모드로만 제공되며, 빠른 대전 및 경쟁전에서는 쓰이지 않는다. 더 나아가 대회에서도 데스매치용 전장을 아예 쓰지 않는다.[3] 예외적으로 시즌 2 3화의 경우 3명 이상의 플레이어 중 한 명이 탈락하는 형태의 데스매치가 준비되었으나 탈락후보가 2명이어서 1:1 대결이 되었다.[4] 4회전 메인메치였기도 하다.[5] 진실탐지기, 숫자장기, 미스테리 사인은 1:1게임이지만 데스매치로서 사용되지 않았으므로 기재하지 않는다.[6] 도부츠 쇼기. 쇼기를 일본식 장기라 칭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동물장기라 번역함.[7] 물론 원조 ECW를 말한다. 단, ECW는 주로 테이블이나 체어를 사용하는 정도고 매 경기마다 피칠갑을 하거나 하지는 않았다. 물론 더들리 보이즈처럼 치즈 채칼을 사용하거나 테이블에 불을 붙이는 등의 잔인한 경기도 있긴 했지만 전성기 ECW는 어디까지나 일반 경기 + 하드코어 경기가 주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