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우렐린

 


1. 개요
2. 역사


1. 개요


[image]
두린의 문에 새겨진 텔페리온(왼쪽)과 라우렐린(오른쪽)
'''Laurelin'''
실마릴리온에 등장하는 신성한 나무. 말리날다(Malinalda), 쿨루리엔(Culúrien) 등으로도 불린다. 손윗나무 텔페리온과 한 쌍을 이루기 때문에 보통 짝을 지어 등장한다. 텔페리온은 남성형이고 라우렐린은 여성형이다. 텔페리온은 언제나 남성형 대명사(he)로 지칭되며, 라우렐린은 언제나 여성형 대명사(she)로 지칭된다. 갈라드리엘이나 이드릴 등 여성의 아름다운 금발을 묘사할 때 라우렐린의 빛 같다는 표현을 쓰기도 한다.
발라들이 만든 거대한 등불 일루인과 오르말이 멜코르에게 파괴당하자, 발라들은 서쪽 대륙 아만으로 옮겨 가서 발리노르를 세운다. 새로운 빛이 필요해지자 에젤로하르(Ezellohar)의 초록 언덕에서 야반나가 노래를 불러 두 나무를 싹틔웠고 니엔나가 눈물을 흘려 물을 주었다. 두 나무 중 나중에 자라나 꽃을 피우고 빛을 내뿜은 것이 라우렐린이다.

2. 역사


라우렐린은 텔페리온과 마찬가지로 키가 크고 무척 아름다운 활엽수로 묘사된다. 가장자리가 금빛인 잎사귀가 돋았고 금빛을 반짝이는 이슬이 떨어져 내렸다고 한다.
두 나무는 나무의 시대 동안 발리노르에 빛을 밝혔다. 나무들은 교대로 일곱 시간 동안 빛나고 다섯 시간 동안 사그라들었는데 이 주기를 기준으로 세상에 처음으로 '하루'가 생겨났으며[1] 발리노르의 역법이 정해졌다. 라우렐린의 꽃은 여섯째 시간에 피어나 아홉째 시간에 만개하였으며 열두째 시간에 저물었다.
'''시간'''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텔페리온'''


'''라우렐린'''


요정들에게도 의미깊은 나무들이다. 바르다는 요정들이 깨어났을 때 어둠 속에 있지 않도록 텔페리온의 이슬을 모아 하늘에 별들을 수놓았고 그래서 요정들이 깨어났을 때 처음으로 본 것은 별빛이었다. 대여정에서 나무들의 빛을 보았느냐 보지 못했느냐를 기준으로 요정의 분파 또한 갈리게 된다. 발라들의 부름에 응답하여 아만에서 두 나무의 빛을 본 요정들을 빛요정, 상위 요정이라 일컬으며, 가운데땅에 남아 두 나무의 빛을 보지 못한 요정들을 어둠요정이라 일컫는다. 상위 요정들은 발라들에게 많은 것을 전수받아 전반적으로 문명 수준이 더 높다. 페아노르가 이 나무들의 빛을 담아 만든 것이 실마릴리온의 바로 그 실마릴이다.
발라요정들이 발리마르의 축제에 참석한 틈을 타 멜코르가 두 나무에 상처를 내고 웅골리안트로 하여금 나무의 수액을 마시게 하여 두 나무는 빛을 잃고 죽어간다. 세상이 갑자기 어둠에 휩싸이자 발라들은 돌아와서 두 나무가 죽어가고 있음을 발견한다. 두 나무를 되살릴 수 있는 방법은 나무의 빛이 담겨 있는 실마릴을 깨는 것뿐이었지만 실마릴의 주인인 페아노르가 이를 거부한다.[2] 발라들은 실마릴을 억지로 빼앗지 않고 다시금 야반나가 노래를 부르고 니엔나가 눈물을 흘려 본 끝에 텔페리온은 마지막 꽃 하나를 피워내고, 라우렐린은 마지막 열매 하나를 맺어내고 죽는다. 이를 아울레가 만든 그릇에 담아 하늘로 올려 보내니 은빛 꽃은 달이 되었고 금빛 열매는 태양이 되었다.
실마릴리온의 주요 갈등은 멜코르가 이 두 나무를 죽임으로써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먼 훗날 세상의 끝이 다가왔을 때 만도스의 전당에 머물던 페아노르가 스스로 실마릴발라들에게 바침으로써 두 나무가 부활하고 새로운 아이눌린달레가 시작될 것이라고 한다. 이처럼 두 나무는 레젠다리움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고 볼 수 있다.
[1] 등불의 시대 때는 항상 밝았다.[2] 이들은 알지 못했지만 사실 이때 실마릴은 멜코르가 이미 도둑질해간 상태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