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리노르
Valinor.
실마릴리온에 등장하는 지명. 아만 대륙에 있으며 동쪽 해안에 톨 에렛세아 섬이 있다.
발라와 마이아로 구성된 아이누와 요정이 사는 곳이다. 특히 바냐르 요정들은 전부 이 곳에 산다. 그리고 이들은 전부 불멸의 존재들이기 때문에, 불멸의 존재들이 사는 땅이라는 뜻에서 불멸의 땅으로도 불린다. 하지만 불멸의 존재들이 살기 때문에 불멸의 땅으로 불리는 것이지, 땅에 불멸의 힘이 있어 생명체들이 불멸하게 되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사우론의 이간질 때문에 후대 누메노르인들은 전후관계를 오인하여 발리노르를 침공하기에 이른다.
처음에는 아이누만 살았으나 요정들이 쿠이비에넨 호숫가에서 태어난 후에는 불러서 오게 해 같이 살았다.[1] 이처럼 발라들이 요정들이 가운데땅의 별빛과 어둠 속에서만 살아감을 원치 않아 같이 살자고 부름으로써 시작한 것이 요정들의 대여정이다. 여정이 모두 끝난 뒤에는 바냐르, 놀도르 전부와 텔레리 일부들이 이 곳에 살게 되었다. 하지만 놀도르들은 페아노르의 맹세 이후 많은 수가 가운데 땅으로 돌아갔다.
바냐르와 놀도르가 같이 거주하는 도시 티리온과[2] 텔레리들이 해안가에 건설한 도시 알쿠알론데가 있다. 다만 바냐르들은 한동안은 티리온에서 놀도르들과 같이 살았지만 세월이 흐르면서 티리온을 버리고 만웨의 산이나 발리노르의 들판과 숲에서 살았다.
본래는 벨레가에르 해를 넘어 배를 타고 물리적으로 닿을 수 있는 곳이었으나, 누메노르의 마지막 왕 아르파라존이 사우론에게 넘어가 발리노르를 침공한 뒤로는 아칼라베스에서 일루바타르가 아예 물리적으로는 닿을 수 없는 다른 차원으로 떨어뜨렸다.
제 3시대가 끝난 이후로는 극소수를 제외하면 모든 요정들이 이곳으로 왔다. 올로린 역시 이스타리로서의 임무를 마치고 여기로 돌아왔으며, 호빗은 반지 운반자들만이 그 공로를 인정받아 여기로 들어가는 특권을 받았다. 그리고 훗날 난쟁이 중에서는 유일하게 김리가 레골라스와 함께 이곳으로 간다.
영화 <반지의 제왕>에서는 발리노르를 죽은 후에 가는 좋은 곳, 즉 천국에 해당하는 곳으로 해석하였다. 미나스 티리스 공성전 중에 피핀이 낙담하여 "이대로 끝이군요."라고 말하자, 간달프가 죽은 후에 보게 되는 사후세계로서 발리노르를 설명하는 장면을 보아도 영화에서 발리노르는 종족 상관없이 선한 이라면 죽은 후에 가는 천국과 같음을 알 수 있다. 결정적으로 왕의 귀환 DVD에서 피터 잭슨 감독이 빌보와 프로도가 발리노르로 가게 됨은 곧 죽음을 의미한다고 밝혔기 때문에, 발리노르=사후세계의 이미지는 더욱 굳어졌다. 물론 요정과 같이 그 두 곳을 왕래할 수 있는 존재가 있긴 하지만.[3][4] 정확히 말하자면 발리노르에 사후세계의 입구쯤 되는 만도스의 전당이 존재하니, 아주 틀린 것은 아니다.
1. 소개
실마릴리온에 등장하는 지명. 아만 대륙에 있으며 동쪽 해안에 톨 에렛세아 섬이 있다.
발라와 마이아로 구성된 아이누와 요정이 사는 곳이다. 특히 바냐르 요정들은 전부 이 곳에 산다. 그리고 이들은 전부 불멸의 존재들이기 때문에, 불멸의 존재들이 사는 땅이라는 뜻에서 불멸의 땅으로도 불린다. 하지만 불멸의 존재들이 살기 때문에 불멸의 땅으로 불리는 것이지, 땅에 불멸의 힘이 있어 생명체들이 불멸하게 되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사우론의 이간질 때문에 후대 누메노르인들은 전후관계를 오인하여 발리노르를 침공하기에 이른다.
2. 역사
처음에는 아이누만 살았으나 요정들이 쿠이비에넨 호숫가에서 태어난 후에는 불러서 오게 해 같이 살았다.[1] 이처럼 발라들이 요정들이 가운데땅의 별빛과 어둠 속에서만 살아감을 원치 않아 같이 살자고 부름으로써 시작한 것이 요정들의 대여정이다. 여정이 모두 끝난 뒤에는 바냐르, 놀도르 전부와 텔레리 일부들이 이 곳에 살게 되었다. 하지만 놀도르들은 페아노르의 맹세 이후 많은 수가 가운데 땅으로 돌아갔다.
바냐르와 놀도르가 같이 거주하는 도시 티리온과[2] 텔레리들이 해안가에 건설한 도시 알쿠알론데가 있다. 다만 바냐르들은 한동안은 티리온에서 놀도르들과 같이 살았지만 세월이 흐르면서 티리온을 버리고 만웨의 산이나 발리노르의 들판과 숲에서 살았다.
본래는 벨레가에르 해를 넘어 배를 타고 물리적으로 닿을 수 있는 곳이었으나, 누메노르의 마지막 왕 아르파라존이 사우론에게 넘어가 발리노르를 침공한 뒤로는 아칼라베스에서 일루바타르가 아예 물리적으로는 닿을 수 없는 다른 차원으로 떨어뜨렸다.
제 3시대가 끝난 이후로는 극소수를 제외하면 모든 요정들이 이곳으로 왔다. 올로린 역시 이스타리로서의 임무를 마치고 여기로 돌아왔으며, 호빗은 반지 운반자들만이 그 공로를 인정받아 여기로 들어가는 특권을 받았다. 그리고 훗날 난쟁이 중에서는 유일하게 김리가 레골라스와 함께 이곳으로 간다.
영화 <반지의 제왕>에서는 발리노르를 죽은 후에 가는 좋은 곳, 즉 천국에 해당하는 곳으로 해석하였다. 미나스 티리스 공성전 중에 피핀이 낙담하여 "이대로 끝이군요."라고 말하자, 간달프가 죽은 후에 보게 되는 사후세계로서 발리노르를 설명하는 장면을 보아도 영화에서 발리노르는 종족 상관없이 선한 이라면 죽은 후에 가는 천국과 같음을 알 수 있다. 결정적으로 왕의 귀환 DVD에서 피터 잭슨 감독이 빌보와 프로도가 발리노르로 가게 됨은 곧 죽음을 의미한다고 밝혔기 때문에, 발리노르=사후세계의 이미지는 더욱 굳어졌다. 물론 요정과 같이 그 두 곳을 왕래할 수 있는 존재가 있긴 하지만.[3][4] 정확히 말하자면 발리노르에 사후세계의 입구쯤 되는 만도스의 전당이 존재하니, 아주 틀린 것은 아니다.
[1] 권능들의 전쟁이 끝나고 울모를 중심으로 한 일부 발라들은 요정들이 멜코르가 입힌 가운데땅의 상처를 치유할 수 있도록 내버려두자고 주장했지만, 대다수는 요정들의 아름다움을 사랑하게 되었고 요정들을 위험한 곳에 내버려두길 원치 않아 발리노르로 불러들이기로 결정했다. 실마릴리온에서는 이 부름으로 후에 많은 재앙이 초래되었다고 말한다.[2] 이렇게 같이 살아서였는지 놀도르 왕족 중에는 바냐르 요정과 결혼한 요정이 많다. 놀도르의 초대 상급왕 핀웨의 둘째 부인 인디스는 바냐르 상급왕 잉궤의 친척이고, 핀웨의 둘째 아들인 핑골핀의 둘째 아들 투르곤의 부인 역시 바냐르 출신인 엘렌웨이다. 핀웨의 셋째 아들 피나르핀의 첫째 아들인 핀로드도 연인이 바냐르 요정 아마리에였다. [3] <실마릴리온>에 따르면 일루바타르가 인간에게 준 가장 큰 선물은 죽음을 통해 아르다 그 자체를 벗어날 수 있게 해준 것이었다고. 따라서 발리노르를 사후세계로 표현하는 것은 원작의 의도와는 다르다.[4] 어찌보면 켈트의 이상향 티르 나 노그와 아서왕 전설의 아발론하고도 비슷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