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트 노벨/여성향
1. 개요
일본의 장르 분류법으로, 여자들이 주된 독자층인 라이트 노벨을 뜻한다. HL, BL, GL 등의 커플링 전반이 이 카테고리에 들어간다. 그래서 아예 HL, BL. 가끔 GL 다 내는 곳도 있다. 코단샤 X문고 화이트하트가 그러하다.
후술하겠지만 여성향 라이트 노벨은 한국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는 개념이며, 이는 한국 한정으로 라이트 노벨은 남성향 장르라는 인식이 확고하게 굳어지는 계기가 되었다. 한국에서 여성향 라이트 노벨과 유사한 지위를 갖고 있는 장르는 로맨스 판타지이다.[1]
일본에는 여성향 라이트노벨이 적지 않고 또 한국에도 수입 번역되고 있는 작품도 일부 있다. 다만 한국에 번역되는 여성향 라이트 노벨은 전연령도 일부 있지만 성인향의 TL 노벨 쪽에서 번역되는 경우가 더 많다. TL노벨은 에로 라이트 노벨에 속한다. 따라서 '라이트노벨은 남성향이다'라고 말하면 '''일본 기준'''으로는 틀린 말이 된다. 한국 기준으로는 딱히 틀린 말은 아니니 유의할 것.
2. 상세
사실 다른 라이트 노벨이 그랬듯, 여성향 라이트 노벨도 처음부터 라이트 노벨이란 이름이 붙은 것은 아니었다. 1966년 어린이용 소설 잡지 소설 주니어가 창간되었고, 여기서 연재된 소설로 1976년 코발트 문고가 탄생되었다. 코발트 문고가 현재의 여성향 라이트노벨의 형식을 띄게 된 데는 히무로 사에코[2] 와 아라이 모토코의 공헌을 빼놓을 수 없다. 현재 이 두 작가는 라이트 노벨에 대한 설명을 할 때 빠지지 않는 작가 중 하나이다. 이후 1987년 강담사에서 X문고 틴즈 하트를 발간하기 시작한다. 이를 기점으로 많은 회사가 생기게 되고, 한국에도 화평사 X문고, 틴틴 문고 등의 해적판으로 들어오게 된다.
한국에서는 가끔 일본에서 틴즈 하트가 없어지면서 아예 이런 소설이 사라졌다고 알려져 있으나, 사실은 판타지로 대세가 변하면서 그 변화에 대처하느냐 하지 못했냐에 따라 레이블 이름이 변경되거나 색깔이 변한 쪽에 가깝다.
그리고 90년대에 들어서며 판타지 성향이 강화되고, 이런 소설들이 라이트 노벨로 이름 지어지게 되는 계기가 찾아온다. 《하이 스쿨 오라 버스터》, 《불꽃의 미라주》, 《십이국기》가 그것이다.[3] 이런 판타지 소설의 대두는, 후에 라이트 노벨로 불리는 계기로 평가된다. 또한 이 시기부터 BL 라노베가 서서히 들어서기 시작한다. 그리고 《마리아 님이 보고 계셔》가 남성들에게 인기를 끌기 시작하며, 2000년대 중반에는 남성향 레이블에서도 종종 여성향이 간행되게 되었다. 예를 들어 사쿠라바 카즈키의 《사탕과자 탄환은 꿰뚫지 못해》가 이에 해당한다. GOSICK이 레이블을 옮겼을 때 아예 여성향인 카도카와 빈즈 계열로 옮겨갔던 것도 이런 배경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후 2009년, TL 레이블인 티아라 문고가 창간되게 된다. 이때는 소녀향 중의 하나로 런칭되었으나, TL 레이블이 늘어나면서 소녀향(오토메)과는 따로 분류되게 되었다.
코발트 문고는 전체 라이트 노벨 레이블 통틀어 가장 오래 살아남은 레이블이다. 여성향 라이트 노벨은 일본에서는 여성 독자들의 고령화 등의 문제가 있긴 해도, 상당히 역사와 뿌리가 깊다. 여성향 라이트 노벨 관련 트위터 봇도 여러개 있고, 관련 팬페이지도 있는 데다, 중국 역시 공모전에 여성향 부문이 따로 있는 편. 하지만 여성향 라이트 노벨이라는 장르가 제대로 정착하지 못한 한국에서는 "라이트 노벨에 여성향이 있어?" 같은 인식은 아직 많이 존재하고, 후술하겠지만 '''라이트 노벨은 남성향'''이라는 인식은 '''한국 기준'''으로는 '''사실에 가까운 인식'''이다.
한국에 라이트 노벨이 남성향 장르라는 인식이 존재하는 이유는 간단하다. '''한국의 여성향 장르소설 시장에 여성향 라이트 노벨이 정착하기 전에 이미 로맨스 판타지 같은 기존 국산 여성향 장르소설들이 시장의 헤게모니를 장악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로맨스 판타지를 필두로 한 한국의 여성향 장르소설들은 일본의 여성향 라이트 노벨보다 국내에서 비교가 불가능할 정도로 훨씬 더 인지도가 높고, 인기도 많다.[4] 이러한 인지도의 차이와 거기에서 오는 상업성의 격차 때문에 한국에 수입되는 일본 여성향 라이트 노벨 작품들은 틴즈 러브를 제외하면 로맨스 판타지를 포함한 기존 여성향 장르 카테고리로 분류되어 판매되는 게 현실이다.
이 때문에 일본과는 다르게 한국에서 라이트 노벨은 실질적으로 남성향 라이트 노벨 장르를 지칭하는 단어로 굳어졌으며, 일본과 달리 한국에서 여성향 라이트 노벨은 일부 마니아층을 제외한 대다수의 여성향 장르소설 수용자층에게 여성향 라이트노벨이 아닌, 로맨스 판타지를 포함한 기존 여성향 장르의 일부로 인식되게 되는 결과를 초래했다.
즉, 일부의 주장처럼 한국의 여성향 라이트 노벨 개념이 부족하거나 없어서 한국에서 여성향 라이트 노벨의 개념이 잘못 알려지거나 한 게 '''아니다.''' 이는 이미 '''한국 장르소설 시장에 기존부터 존재하고 있던 로맨스 판타지 같은 한국의 여성향 장르소설에 대한 개념이 부족하거나 없는 데서 비롯된 오해'''이다.
오히려 거꾸로 일본의 여성향 라이트 노벨 개념이 한국으로 넘어와서 독자적인 정체성을 형성하지 못해서 여성향 라이트 노벨이라는 장르가 제대로 정착하지 못한데다가 서로 유사점이 많은 한국의 기존의 인기 장르이자 유사 장르인 로맨스 판타지 같은 국산 여성향 장르소설 내부로 편입, 흡수됐다고 보는 게 더 정확하다.[5]
그럼에도 일부에서 "한국에서 라이트 노벨이 남성향이라는 인식이 편견이라는 인식"이 생긴 건 한국의 여성향 장르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거나 일본의 장르 분류법을 한국의 여성향 장르에 무리하게 적용하려고 하기 때문이라 추정된다.
결론적으로 "라이트 노벨은 남성향 장르다.", "라이트 노벨에 여성향이 있어?" 같은 인식은 여성향 라이트 노벨이 확고한 존재감을 가지고 있는 일본이라면 모를까 여성향 라이트 노벨이 로맨스 판타지를 포함한 기존 여성향 장르에 흡수당한 한국에서는 오해도 편견도 아닌 사실에 가까운 인식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심지어 한국에서는 라이트 노벨을 여성혐오가 심각한 작품으로로 판단했다.[6] 안 그래도 성별갈등으로 인해 남덕과 여덕 사이가 개차반인데 설상가상... 당연히 남덕들은 이걸 보고는 "BL은 남혐이냐?"고 응수하는 건 덤.[7]
3. HL
NL(normal love=보통 사랑)은 동성애를 차별하는 격이 된다고 하여서 HL(Heterosexual Love=이성애)으로 바뀌었다.
HL 문서와, 자세한 건 노멀 문서 참고.
3.1. 소녀향(오토메)
소녀향인 라이트 노벨. 소녀소설(오토메 소설)이라고 불린다. 즉 전연령 여성향 NL 노블은 한국에 현재는 발매가 중지된 메이퀸노벨, 윙크노벨, 이슈노벨즈 등이 있다. 그러나 2012년 국산 여성향 라이트 노벨인 나비노블이 창간되고, TL 라이트 노벨 브랜드 앨리스노블에서 점차 전연령 작품들도 출판하기 시작하고, 2014년에는 피치노블이 창간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2015년 이후 웹소설 시장을 등에 업은 로맨스 판타지가 무섭게 부상하면서 급속히 위축되었고, 나비노블은 로맨스 판타지 출간으로 노선을 변경하였다.
아래의 레이블은 2015년 5월 기준 현재 진행형.
- 앨리스노블 - 일본 작품, 한국 작품, TL, 전연령 소녀향(오토메) 모두 출판하였으나 2018년 이후 국산 작품은 신간이 나오지 않고 있다.
아래의 레이블은 현재 발매가 중지되었다.[8]
일본의 레이블에는 코발트 문고, 카도카와 빈즈 문고, 비즈로그 문고, 루루루 문고, X문고 화이트 하트, 아이리스 문고, 윙스 문고, 피리아 문고, 레가로 시리즈, 레지나 북스, 아리안 로즈, 네오즈북스 블로섬 등이 있다. 가끔 패미통 등의 소녀향 레이블이 아닌 곳에서 내주기도 한다.
로맨스나 순정 계열만 있다는 것은 편견이다. 《유혈여신전》, 《십이국기》, 《바람의 왕국》, 《파요의 검》 등 판타지에 치중한 작품들도 많다. 한국과는 장르 분류가 달라서 생긴 증상. 한국 기준으로 로맨스라고 생각하며 보기엔 연애가 약할 수 있다는 의견도 있으나 한국의 로맨스 판타지 카테고리 내부에도 로맨스보다는 판타지에 좀 더 치중한 여자 주인공 판타지(여주판)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봤을 때 이는 오히려 거꾸로 한국의 여성향 소설에 대한 편견이라고 할 수 있다.
사실, 소녀향(오토메)이라고 불리지만 읽는 독자층은 성인이 대부분.
3.2. TL
TL 소설(쉽게 말하면 19금 '''소녀향''' 노블[9] )의 경우 2013년 부터 앨리스노블에서 들여왔으며, 그것을 시작으로 레이블들이 뛰어들고 있다. 사실상 여성향 라이트노벨이라는 것이 인식 되기 시작한 계기라는 의견도 있으나, 대부분의 틴즈 러브 작품들은 틴즈 러브라는 독자적인 카테고리로 인식되며, 라이트 노벨이라는 인식은 거의 없다. 이는 상술하였듯 한국에서 라이트 노벨은 남성향 라이트 노벨을 가리키는 말이기 때문이다. TL에 대한 설명은 TL 참고.
기존의 소녀소설 레이블은 연애도 중요하지만 서사등의 스토리, 설정도 굉장히 중요했다. 이에 남녀 주인공의 진도는 키스가 한계인 경우가 많았으며[10] 이로 인해 연애 위주의 남녀 주인공이 진도를 빼는 걸 원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그래서 티아라 문고가 나오게 되었다.
한국 최초의 TL 레이블. 이쪽은 일반 소녀향 역시 같이 내는 중이다. TL이기 때문에 주 수요층인 여성도, 심지어 남자들이 봐도 꽤 볼 만하다는 평이 나오고 있다. 티아라문고, 소냐문고, 아이리스 문고 등의 작품을 주로 들여온다. 또한 2015년 1월 부터 국내작을 발간하고 공모 당선작도 발간하는 등 한국 여성향 소설 발전에도 앞장서고 있어 이 부분에 있어 좋은 평을 받고 있다.
2014년 6월에 스타트한 영상출판미디어㈜의 레이블. 출간작이 주로 소냐문고이며, 미츠네코 문고 독점 계약을 한 상태. 상당히 적극적인 마케팅으로 인지도를 높여가는 중. 전자책도 발간중이다.
- 스칼렛노블
2014년 7월 스타트한 서울문화사의 레이블. 이쪽은 주로 티아라문고이며 이후 소냐 문고나 시폰 문고 작품들도 나오고 있다. 전자책 연재 후 종이책 발매라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 시크릿노블
2015년 9월 런칭된 학산문화사의 TL 레이블. 전자책과 종이책 동시 발매를 목표로 한다고 한다. 출간일은 매달 25일
- 메르헨노블
2014년 5월에 스타트한 예원북스의 레이블. 마리로즈 문고 독점 계약을 했으며, 모두 전자책으로 나오고 있다, 2014년 9월부터 전자책 중 반응이 좋고, 인기가 많은 책들에 한해 종이책을 내고 있다.
- 노블리타S
2014년 6월에 스타트한 대원씨아이의 레이블. 오토미츠 밀키 문고 쪽과 독점계약을 하고 전자책 및 종이책으로 발행중.
- 블랙피치
- 스위티노블
2016년에 스타트한 소미미디어의 레이블. 신생이라서 출간작은 그리 많지 않다.
프랑스서원의 티아라문고, 슈에이샤의 시폰 문고(シフォン文庫), 코단샤의 코단샤 X 문고 화이트 하트(講談社X文庫ホワイトハート)[11] , 이스트 프레스의 소냐문고 등이 이 계열의 레이블이다. 일본에서도 폭발적인 인기를 등에 업고 늘어나는 추세. 덕분에 소녀향 쪽은 실적이 제법 줄었다고 한다. 둘 다 같이 보는 사람이 많다보니...3.3. 그 외
일반인 대상의 현대물 '''성인''' 로맨스 쪽의 책들. 주로 프리실라나 이터너티 북스에서 나오며, 이쪽은 '''확실히 여성향이다.''' 그러나 한국에 들어오면서, 이미 한국에서는 로맨스라는 장르가 형성이 되어있다보니 라이트 노벨이 아니라 로맨스 소설로서 나오는 경우가 훨씬 많다.[12]
또한 양성향인데 여성 타겟인 레이블의 책들(혹은 소년향의 레이블에서 소녀소설 같은 소설이 나오는 경우). 환랑 판타지아나 F-clan문고, 후지미 L문고 등이 이러하다. '''이쪽은 사람에 따라 생각이 갈린다.''' 실제로, 관련 매체에서는 이들을 다루지 않는 곳이 더 많다.
4. BL
BL은 러쉬노블, 에덴노블, B愛 노블, 엘르 노블 등이 있고, 여기에 이슈노블의 몇몇 작품과 윙크M노벨[13] 등등이 있다. 사실 현재는 BL과 관련이 없어진 코발트의 《불꽃의 미라쥬》에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물론 현재의 코발트는 이쪽과는 연관이 없다. BL에 대한 설명은 BL 문서 참조.
5. GL
GL의 경우 여성향 계열 전문 레이블은 없다. 그러나 TL 레이블인 티아라문고나, 코발트 문고, 화이트하트 등에서 가끔 내준다. 백합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워낙 마이너한 장르라 그렇다. GL 문서 보다는 백합 문서가 더 잘 나왔을 것이다.
[1] 한일양국의 감성이나 트렌드 차이 정도를 제외하면 내용상으로는 한국의 로판이나 로맨스 소설 중 적지 않은 수는 일본의 여성향 라이트 노벨의 스타일과 대동소이하며, 특히나 저연령층을 대상으로 한 로판으로 갈수록 일본의 애니메이션과 만화의 영향을 많이 받았기 때문에 더욱 비슷하는 의견도 있으나, 이러한 유사점은 수렴 진화의 결과일 뿐, '''로맨스 판타지와 여성향 라이트 노벨은 엄연히 다른 장르'''이다. 일본의 이세계물과 한국의 퓨전 판타지가 수많은 유사점이 존재함에도 엄연히 다른 장르인 것과 같은 이치다.[2] 한국에서는 이미지프레임(앨리스 노블의 모기업)에서 발간한 《바다가 들린다》가 있다.[3] 한국에는 《십이국기》 빼곤 만화판 등을 제외하고 소설이 들어온 것은 없다.[4] 단적으로 과거 국산 여성향 라이트 노벨을 출간했었던 나비노블이 2010년대 후반에 들어서 웹소설 플랫폼에서 로맨스 판타지 작품을 주로 출간하는 모습을 보면 국내에서의 여성향 라이트 노벨과 로맨스 판타지 사이의 인지도, 상업성 격차가 어느 정도인지 잘 알 수 있다.[5] 이러한 장르 흡수 현상을 겪은 건 여성향 라이트 노벨뿐만이 아니다. 한국에서 로맨스 판타지 시장이 성장하면서 과거 2000년대에 나왔었던, 로맨스 판타지와는 다른, 독자적인 장르 정체성을 가지고 있었던 여자 주인공 판타지(여주판) 역시 로맨스 판타지라는 장르 카테고리로 분류되어 판매되고 있는 게 현실이다.[6] 엄밀히는 "일본식 '라이트 노벨' 여성혐오 심각"이라지만 애초에 일본 외에 라노벨이 적으니 거기서 거기다.[7] 남덕 입장에서는 이게 여덕에게 가장 쉽고 간단한 반격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 '''절대 그렇지 않다.''' 애초에 남덕들이 여성향 비난했을때 분노한 여덕들의 "하렘은 여혐이냐?"라는 말에 단체로 입아닥이 아니라 단체로 여덕들을 더욱 힐난한 사례가 많았다. 이런 실정인데 여덕들이라고 저 반격에 가만히 있을리 만무하다.[8] 윙크노벨의 《마리아 님이 보고 계셔》는 2015년, 완결까지 출간 되었다.[9] 처음에 티아라 문고 창간 당시엔 소녀향 레이블 중 하나로 나왔다. 그러나 TL 레이블이 점차 늘어나면서 일반 소녀향 레이블과는 따로 취급하게 되었다. 일본에서는 19금이 아니다. 한국과 일본의 수위 기준이 다르기 때문[10] 물론 프린세스 하츠, 백작과 요정 등, 결혼까지 갈 경우엔 갈 데까지 간 경우는 많다. 묘사가 많이 되지는 않음. [11] 이쪽은 소녀향, TL, BL을 포괄하여 낸다. 모든 여성향 라이트 노벨을 다 내는 레이블. 실제로도 십이국기는 화이트하트의 대표작이다.[12] 현대물 '''학원물'''의 경우는 여전히 소녀향(오토메) 쪽에서 많이 존재한다. 포인트는 결국 성인 로맨스냐 아니냐의 차이.[13] 윙크노벨과는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