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화과 나무에 저주를 내리다
1. 개요
신약성경 복음서 중 마태오 복음서과 마르코 복음서에 등장하는 예수 그리스도의 기적. 마르코 복음서에 좀 더 자세한 설명이 있는 것을 제외하면 줄거리는 같다.
2. 원문
이튿날 아침에 예수께서 성안으로 들어오시다가, 마침 시장하시던 참에 길가에 무화과나무 1그루가 서 있는 것을 보시고 그리로 가셨다. 그러나 잎사귀밖에는 아무것도 보이지 않았으므로, 그 나무를 향하여 '''"이제부터 너는 영원히 열매를 맺지 못하리라."''' 하고 말씀하셨다. 그러자 무화과나무는 곧 말라버렸다. 제자들이 이것을 보고 놀라서 "무화과나무가 어찌하여 그렇게 당장 말라버렸습니까?" 하고 물었다. 예수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다. "나는 분명히 말한다. 너희가 의심하지 않고 믿는다면, 이 무화과나무에서 본 일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 산더러 '번쩍 들려서 바다에 빠져라.' 하더라도 그대로 될 것이다. 또 너희가 기도할 때에 믿고 구하는 것은 무엇이든지 다 받을 것이다."
이튿날 그들이 베다니아에서 나올 때에, 예수께서는 시장하시던 참에 멀리서 잎이 무성한 무화과나무를 보시고 혹시 그 나무에 열매가 있나 하여 가까이 가보셨으나, 잎사귀밖에는 아무것도 없었다. 무화과 철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예수께서는 그 나무를 향하여 '''"이제부터 너는 영원히 열매를 맺지 못하여, 아무도 너에게서 열매를 따먹지 못할 것이다."''' 하고 저주하셨다. 제자들도 이 말씀을 들었다.
(중략)
이른 아침, 예수의 일행은 그 무화과나무 곁을 지나다가 그 나무가 뿌리째 말라 있는 것을 보았다. 베드로가 문득 생각이 나서 "선생님, 저것 좀 보십시오! 선생님께서 저주하신 무화과나무가 말라버렸습니다." 하고 말하였다. 예수께서는 제자들에게 말씀하셨다.
"하느님을 믿어라. 나는 분명히 말한다. 누구든지 마음에 의심을 품지 않고 자기가 말한 대로 되리라고 믿기만 하면, 이 산더러 '번쩍 들려서 저 바다에 빠져라.' 하더라도 그대로 될 것이다. 그러므로 내 말을 잘 들어두어라. 너희가 기도하며 구하는 것이 무엇이든 그것을 이미 받았다고 믿기만 하면 그대로 다 될 것이다. 너희가 일어서서 기도할 때에 어떤 사람과 서로 등진 일이 생각나거든 그를 용서하여라. 그래야만 하늘에 계신 너희의 아버지께서도 너희의 잘못을 용서해 주실 것이다."
3. 해설
예수가 배가 고파 무화과 나무의 과일을 먹으려 해서 갔는데, 무화과 열매가 열릴 시기가 아닌지라 열매가 안 맺힌 것을 보고 화가 나서 나무가 열매를 맺지 못하도록 저주했으며, 그것이 이루어졌다는 내용이다. 그리고 야훼를 믿으면 믿는 대로 다 이루어진다고 제자들을 설득하며 마무리한다.
그런데 비기독교인 입장에서 이 일화만 뚝 떼고 보면 (마르코 복음서에 의하면 무화과 철도 아닌 시기에) 무화과 나무에 갔는데 열매가 열려있지 않았다고 해서 애꿎은 무화과나무에 저주를 내려 말라죽게 한다는 굉장히 황당한 내용이라, 반기독교나 무신론 측에서 자주 회자되는 성경 구절 중 하나이다. 철학자 버트런드 러셀은 자신의 무신론 서적인 <나는 왜 기독교인이 아닌가>에서도 이 일화를 들어 예수의 인격까지 거론하며 비난하기도 했다.[1]
성서무오설을 주장하며 성경은 글자 그대로 해석해야 한다는 근본주의자가 아닌 일반적인 주류 종파에서는 성경 구절들은 문자 그대로만 해석할 것이 아니라 비유적인 의미나 역사적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하는데, 이런 관점의 신학적 해석에서는 무화과는 진짜 무화과를 뜻하는 게 아니라 팔레스타인과 유대인들, 즉 이스라엘을 비유하는 것이라고 본다. 그리고 이 내용은 예수의 성전 정화와 연계하여 생각할 수 있다. 마르코 복음서의 11장을 보면, 예수가 무화과나무를 저주하는 이야기의 전반부(12~14절)가 소개된 뒤, 예수가 예루살렘에 들어가 성전을 정화하는 장면(15~18절)이 나오고, 이튿날 다시 그 무화과나무가 말라버렸다는 것을 발견하는 장면(19절~21절)이 나오는 것은 이러한 관점에서 서술된 것이다. 여기 나오는 무화과나무는 예루살렘 성전, 즉 당시의 교조주의적이고 돈에 물든 유대교를 믿는 유대인들을 비유하는 것이다. 열매를 맺어야 할 철에 싱그럽게만 보이던 무화과나무가 열매를 맺지 못하리라고 예수가 저주하는 장면은, 당시 예수의 복음이 결실을 맺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예수의 성전 정화 때 시장통과 다름 없었던 예루살렘 성전에서 알 수 있듯이 당시 유대교의 핵심 지도자인 대제사장과 그의 장인인 전 대제사장의 묵인하에 성전 제물용 가축이 성전 뜰에 버젓이 상품으로 널려 있었고, 그걸 웃돈을 얹어 팔아 대제사장을 비롯한 성전 제직들이 뒷이익을 챙겨 떵떵거리는 상황이었다. 현실로 따지면 거의 수 억의 돈으로 환산될 액수라고 하는 성서 고고학자들의 연구도 있었다. 로마의 식민지 시대라는, 유대인 입장에선 팍팍한 현실에 길거리에 과부와 고아, 병자가 널려있는 상황에서 민족 중의 장자로 임명받았던(겉보기엔 푸르고 멀쩡한) 유대민족(무화과나무)이 제대로 열매 맺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누가복음 13장에서도 예수가 무화과나무를 저주하는 비유를 한다. 한 사람이 포도원에 무화과나무를 심었는데, 3년 동안 실과를 구해도 구할 수 없어 찍어버리라고 한다. 무화과나무는 유대인들의 이스라엘을 상징하는 것으로, 이는 예수가 3년 동안 이스라엘에 복음을 전하러 왔으나 그를 배척하고 결국엔 십자가에 못 박은 유대인들을 저주한 것이라 해석할 수 있다. 그래서 유대교 역시 무화과나무처럼 저주 받아 말라버리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후에 이스라엘은 좋지 않은 미래를 맞이하게 된다. 수십 년 뒤 A.D 70년에 이스라엘은 로마 티투스 장군의 정복으로 완전히 멸망하게 된다. 더 나아가 2차 세계대전에 유대인들은 나치에 의해 600만 대학살이라는 홀로코스트를 겪는다.
또 다른 해석으로는 제자들에게 믿음의 중요성을 가르치기 위해 무화과에 저주를 내린 것이라는 것도 있다. 예수가 무화과가 마르는 기적을 보여준 뒤에 "너희도 믿음이 강하면 산보고 바다에 던져지라고 해도 던져진다."라는 말을 덧붙인 것이 그 근거이다.
그리고 실제로도 저 즈음은 본래 열매가 있는 계절이기도 하다. 무화과는 심고 3년이 지나면 수확이 가능하고, 1년에 2~5번 정도 열매를 맺는다. 철 이른 무화과를 '비쿠라(בכורה)'라고 부르며 보통 먹지 않고 버리고, 늦게 열린 무화과를 '테에나(תאנה)'라고 부르고 먹는다. 예루살렘 입성을 3월 말에서 4월 초로 본다면 비쿠라가 있을 시기이긴 하다. 그런데 성경 본문에는 저 시점이 무화과가 열리지 않을 시기라고 서술되어 있는데, 이 '무화과가 열리지 않을 시기'라는 것은 테에나가 열리지 않았다는 뜻이다. 당시 유대인들은 비쿠라를 무화과로 취급하지 않았고, "무화과의 전령"이라 불렀다고 한다. 익지 않아서 안 먹는 것이니 배가 불러서 그랬단 오해는 말자. 사실 먹긴 먹었다. 테에나만큼 달진 않았지만 어린이들의 좋은 간식이기도 했고, 가난한 이들과 여행자를 위해 비쿠라는 남겨두는 것이 관례였다.
다만 이런 '비유적 해석'에 대해서 비판의 여지 또한 있다. 본 문서와 같은 황당한 구절은 비유적 의미나 역사적 해석을 들먹이면서 그대로 이해하면 안 된다고 하면서도, 평범하고 그럴 듯하게 듣기 좋은 구절은 해석을 요하지 않는 이중잣대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러한 특징을 비판하는 사람도 많다. 일설에서는 노예제도 옹호나 성차별 옹호, 우매한 민중을 겁 주기 위한 구절이나 성경이 쓰여진 수천 년 전에는 정상이라고 여겨지던 것을 현대인의 관점에서 비윤리적으로 해석되거나, 논리적인 모순이 되는 구절을 받아들이기 적절하도록 입맛대로 해석하는 것이라 주장한다.[2]
현대 성서비평학계에선 원래 비유였다가 개작된 것으로 본다.
4. 대중매체
만화 세인트 영멘에서는 예수가 이 말을 한 이유는 진짜로 공복이라서 홧김에 한 거라고 한다. 그리고 예수를 보필하는 천사들도 이걸 따라한다. 가령 고추냉이를 잘못 먹고 예수가 뻗자 우리엘이 뛰쳐나와선 '저주 받을지어다! 고추냉이는 앞으로 영원히 열매 맺지 못하리라!'라고 말한다. 하지만 곧 예수가 고추냉이의 참맛을 알게 되자 '열매를 맺어도 좋다'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