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물교환

 

1. 개요
2. 예외
3. 국제 무기시장 에서의 예
4. 기타


1. 개요


'''물물교환'''()이란, 화폐 같은 수단을 통하지 않고 물건이나 서비스를 상호간에 직접적으로 교환하는 거래 방식을 말한다. 물물교환이라고 하면 흔히 물건끼리 바꾸는 것만을 생각하기 쉽지만, 일을 도와주고 밥을 얻어먹는다거나, 서로간에 노동력을 빌려주는 품앗이 같은 것도 형태는 없지만 가치있는 용역(서비스)를 교환 대상으로 삼는다는 점에서 물물교환의 일종으로 분류할 수 있다.
아마 인류가 문명을 세우기 전부터 사용되었을 유서깊은 방식이지만, 여러가지 문제점 때문에 점차 사라졌다.
  1. 원하는 가치로 구입하기 쉽지 않다.
자신이 가지고 있는 물건의 가치를 상대방이 낮게 책정한다거나 그 반대일 경우 자연히 거래는 성사되기 어렵다.[1]
  1. 상대방이 자신이 원하는 물건을 그대로 가지고 있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초등학교 교재에서 예를 든 경우 중에 1마리를 팔아 4섬과 무명 2필을 구하려는 농부가 나오는데, 이 농부가 만나는 사람들 중에 쌀과 무명을 다 가지고 있는 사람이 없어 마지막엔 그나마 가볍고 쌀로 교환하기 쉬운 무명 6필로 교환하는 장면이 나온다.
  1. 운송 및 보관이 어렵다.
위의 일화의 중반부에서 농부가 쌀 10섬을 제시한 사람의 거래를 거절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쌀로 무명을 사는 것도 가능하지만 소도 없는 상황에서 쌀을 무명으로 바꾸는데 많은 힘이 들기 때문이다. 비슷한 이유로 고급 식재료를 물물교환으로 제시했지만 거절당하는 사례가 있는데 식재료의 경우 보관하기 힘들기 때문에 물물교환으로 쓰기에는 무리가 있던 것이다.
  1. 물건의 품질의 일관성이 없다
자연 부산물, 또는 고대 기술로 인위적으로 만든 물건의 경우 품질의 차이가 나게 되어 있어서 원하는 상품을 찾더라도 원하던 질이 아닐 수도 있다.

2. 예외


사회가 불안정하거나 인플레이션 등으로 기존의 화폐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경우, 물물교환이나 기존 화폐를 대체하는 대체통용화폐가 등장하는 경우가 있다. 온라인 게임의 경우 골드 인플레가 심해 일반 게임머니가 의미가 없는 경우, 특정 아이템을 거래 기준으로 삼는 대체통용화폐를 쓰거나 직접 물건끼리 교환하는 경우가 많다. 이 분야의 전설 아닌 레전드는 단연 '''디아블로 2조던링'''.

3. 국제 무기시장 에서의 예



국가간의 거래에 물물교환이 사용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 때는 구상 / 바터 무역(barter trade)이라고 불린다. 당연히 거래주체간에도 현금의 교환을 우선시하지만, 현물/신용장 으로 교환을 하게 되는 경우는 거래 주체간에 경제적 문제가 발생하여 정상적인 현금결제가 어려울 때 발생한다. 특히나 거래 일방에게만 문제가 있을 경우, 결제할 현물이 환금성이 좋은 원자재(원유 등)가 아닌 보관이 힘든 물품(육류)나 사용이 어려운 물품(서방국가에 공산권무기)일 경우는 다른 주체가 거절할 경우가 많으므로 잘 실행되기 어렵지만, 의외로 가끔 발생하기도 한다.
태국은 2004년 당시 세계 4번째 닭고기 수출국이었는데, 조류독감으로 인해 수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또한 중국의 영향력 확장에 대비하여 노후 전투기의 교체 필요성도 대두되었다. 이에 러시아에 Su-30 전투기의 구입대금의 일부를 ''''''으로 지불하겠다는 제안을 하게 된다.[2] 당시 석유수출로 잘나가던 러시아 정부는 당연히 거절했다. 태국은 미국, 프랑스에도 같은 제안을 하고 또 거절당하고, 결국 스웨덴과 계약체결에 성공하였다. JAS-39 그리펜 12기를 도입하면서 6기값으로 냉동 닭고기 '''8만톤'''과 쌀, 천연고무 등을 지불했다. 닭 1마리 무게를 1kg으로 치면 전투기 1대당 닭 '''1,333만 마리'''인 셈이다.
위에서 태국닭고기를 거절했던 러시아는 2014년에는 또 반대로, 아르헨티나Su-24 전폭기 12기를 임대하면서 임대료를 소고기로 받았다. 이 경우는 포클랜드 전쟁이후 경제력과 국방력이 박살난 아르헨티나는 새 전투기를 도입할 필요성은 있지만, 거듭된 경제위기로 전투기대금을 현금으로 지불하기 외환보유고가 바닥을 기는 상태인데 반해, 농산물분야에서 만큼은 세계적인 수출국이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사태로 서방측에서 가한 경제제재와 유가하락으로 인한 외화부족과 경제불안으로 농축산물 수입을 못하게 된 상태이고, Su-24 전폭기는 노후장비로 도태시킬 예정이었다. 이렇듯 양측의 상황이 절묘하게 맞아떨어져 윈-윈 계약이 체결되었다.
핀란드의 경우에는 미국한테서 F/A-18 호넷을 구매할 때 대금의 일부를 순록고기를 미국 시장에 판매하는 것을 요구했고, 판매를 맡았던 더글러스 사는 이에 긍정적이었는데..... 순록고기는 미국 시장에서 안 팔렸고 결국 그 고기들은 '''더글러스 사의 구내식당에서 사용되었다.(...)'''

4. 기타


동화에서는 이와 관련된 이야기가 몇 개씩은 보이며, 대표적으로 좁쌀 한 톨짚대 장자가 있다. 또한 가끔씩 예능프로그램에서도 이 형식을 사용하곤 한다.
[1] 게다가 바꾸는 사람들 사정과 마음에 따라 변한다. 가령 먹을것의 경우엔 그것의 보존할 수 있는 기간이나 먹고 싶은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집에 옷이 충분하면 옷에 대한 수요가 떨어진다.[2] 그러면서 태국 총리께서는 "이거나 저거나 둘 다 날개 달렸고 나는 거 아니냐"(They both have wings and they can both fly) 라는 개드립을 치셨다. 사실 무턱대고 개드립 친 건 아니고, "닭을 시장에 팔 수 없다면 물물교환이라도 해서 시장에 진입해야지, 언제까지고 닭을 태국에 썩혀둘 수 없다" 라는, "안 팔리면 썩혀서 버리지 말고 어떻게든 팔려고 노력해라"라는 의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