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미안 석불

 

'''유네스코 세계유산'''
[image]
이름
한국어
바미안 계곡의
문화 경관과 고고 유적†[1]
영어
Cultural Landscape and
Archaeological Remains of
the Bamiyan Valley
프랑스어
Paysage culture et
vestiges archéologiques de
la vallée de Bamiyan
국가·위치
아프가니스탄 바미안 주

등재유형
문화유산
등재연도
2003년
등재기준
(i)[2], (ii)[3], (iii)[4], (iv)[5], (vi)[6]
지정번호
208
[image]
다리어: مجسمه‌های بودا در بامیان (Mojassamehā-ye Budā dar Bāmiyān)
1. 개요
2. 특징
2.1. 파괴
3. 복원
4. 창작물에서의 등장
5. 같이보기


1. 개요


고대 아프가니스탄석굴사원이었고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기도 했지만 결국 탈레반이 박살내버렸다. 탈레반의 만행들 중에서도 가장 악명높은 사례 중 하나.

2. 특징


바미안 석불은 아프가니스탄 바미안 주의 힌두쿠시 산맥의 절벽을 파서 만들었다. 6세기 아프가니스탄이 불교를 믿던 시점[7]에 만들어진 불상이며 그리스 조형미술의 영향을 받은 간다라 양식이다. 혜초스님의 왕오천축국전에도 간략히 언급이된다. 이렇게만 본다면 유서깊고 위대한 세계문화유산 중 하나일 뿐이지만...

2.1. 파괴


[image]
2001년 3월 탈레반 최고 지도자 '''모하마드 오마르'''의 지시로 수 일에 걸쳐 대대적으로 불상을 박살내버렸다. 다만 파괴 전 사진을 봐도 불상의 얼굴이 없고, 몸 여기저기 구멍이 뚫려있는데 사실 바미안 석불은 탈레반 이전에도 오랜 세월 이슬람 광신도에 의해 조금씩 조금씩 훼손되어오고 있었다.[8] 전 세계 심지어 파키스탄과 이란 같은 이슬람 국가들에서도 아무리 그래도 이건 아니라면서 정말 극렬하게 말렸음에도 불구하고, '''귓구멍을 틀어막은 탈레반 귀'''에 그런 소리가 들릴 리가 없었다. 사실 쿠란에서도 이슬람교가 등장하기 전의 타 종교 건축물들은 파괴하지 말고 그냥 두라고 하는데 이놈들은 답이 없다.[9]
모하마드 오마르의 변명에 의하면 사실 어차피 아프가니스탄에 불교도가 남아있는 것도 아니니 처음부터 파괴할 생각은 없었는데 서양인들이 민중보다 석불에 더 신경쓰는 것 같아서 파괴했다고 한다. 어차피 그는 같은 무슬림들에게도 엄청나게 냉혹했으니 믿을 만한 말은 아니지만...

3. 복원


최근에 아프가니스탄 정부에서 바미안 석불을 복원한다는 말이 있다.

4. 창작물에서의 등장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2의 캠페인에서 80년대 아프가니스탄을 배경을 한 ‘오래된 상처’ 미션의 출발지로 등장한다. 물론 이때는 아직 완전히 파괴가 되지 않았으니 고증에 맞기는 하지만 문제는 그 이후 2025년 배경으로 같은 장소에서 아프간 반군을 격퇴하는 미션에서도 바미안 석굴이 파괴되지 않은 채 그대로 있다(...) 아마도 미래의 기술(?)로 복원해낸 듯하다.
60년대 당시 유고슬라비아와 여러 나라 합작으로 만들어진 영화 징기스칸에서도 나온다. 아프가니스탄 등지에서 직접 촬영하다보니 드물게 그 당시 모습이 그대로 나오며 극중 테무진과 몽골군이 이 불상을 지나간다.

5. 같이보기



[1] 위험에 처한 세계유산[2] 인간의 창의성으로 빚어진 걸작을 대표할 것[3] 오랜 세월에 걸쳐 또는 세계의 일정 문화권 내에서 건축이나 기술 발전, 기념물 제작, 도시 계획이나 조경 디자인에 있어 인간 가치의 중요한 교환을 반영[4] 현존하거나 이미 사라진 문화적 전통이나 문명의 독보적 또는 적어도 특출한 증거일 것[5] 인류 역사에 있어 중요 단계를 예증하는 건물, 건축이나 기술의 총체, 경관 유형의 대표적 사례일 것[6] 사건이나 실존하는 전통, 사상이나 신조, 보편적 중요성이 탁월한 예술 및 문학작품과 직접 또는 가시적으로 연관될 것[7] 지금 들으면 '오잉?' 할 소리지만 7세기 이슬람에 정복 당하기 전까지 아프가니스탄은 불교국가였다. 페르시아와 인도의 경계라는 걸 생각하면 그나마 이해가 될 것이다.[8] 대표적으로 '''무굴 제국아우랑제브 황제'''. 타지마할을 지은 아버지 샤 자한을 내쫓고 왕위를 찬탈한 그 아우랑제브 맞다. 이슬람은 그림, 조각, 상징물 같은 우상숭배를 금지하기 때문에 원래 다른 종교 지역이었다가 이슬람이 장악한 곳에서는 이런 것들을 덧칠해 지우거나 파괴하거나, 좀 온건한 경우는 얼굴 부분만 훼손해 우상숭배 대상이 아님을 표시한다. 터키 이스탄불이나 중국 위구르 등 다른 지역에서도 이런 처리를 볼 수 있다. 물론 탈레반처럼 이렇게 크고 오래된 유산을 아예 없애버리는 발상은 전례가 거의 없다. 그 동안 바미안 석불을 보호해 온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시아파 이슬람교를 믿는 소수민족인 하자라족이었다. 그런데 하자라족은 호라즘 왕조를 무너뜨리고 페르시아권(아프가니스탄 포함)을 지배한 몽골 제국 군인의 후손인 점과 시아파 신도인 것 때문에 아프가니스탄의 다수민족이며 수니파를 믿는 파슈툰족에게 탄압을 받았으므로, 파슈툰족으로 구성된 수니파 극단주의 집단인 탈레반의 입장에선 더더욱 바미안 불상을 파괴할 명분이 생겨버린 셈이다.[9] 이집트에서 고대 이집트 유적을, 이란에서 고대 페르시아 유적을, 이라크에서 고대 메소포타미아 유적을 보호하는 건 어찌보면 너무나도 당연한 일이다. 쿠란마저 어긴 셈이어서 여타 이슬람 국가들도 답이 없다고 여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