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틴 가문

 

'''Haus Wettin'''
1. 개요
2. 역사
3. 에른스트 계통
4. 알베르트 계통
5. 현재


1. 개요


독일의 유서 깊은 귀족 가문. 현재 영국, 벨기에 왕실의 뿌리다. 1918년 당시에는 독일 제국의 틀 내에서 1왕국, 1대공국, 3공국을 통치하고 있었다.
또한 19세기 들어 작센코부르크고타 왕조에서 영국, 벨기에, 불가리아, 포르투갈 왕들이 나왔다.

2. 역사


베틴 가문 출신 중 역사에 기록된 가장 오래된 인물은 테오도릭 1세(Theodoric I, 916 – 976)이다.
1089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하인리히 4세가 베틴 가문을 마이센 변경백으로 임명했다. 1263년에는 튀링겐 변경백을 획득한다.
1422년 작센의 공작 알베르트 3세가 자녀 없이 죽으면서 마이센 변경백 프리드리히 2세가 작센의 공작위를 상속받는다. 1428년 프리드리히 2세가 사망하면서 두아들인 에른스트와 알브레히트의 재산 문제로 인해 결국 영토가 동서로 갈라졌다. 장남인 에른스트가 작센 선제후와 작센 서부인 비텐베르크와 남부 튀링겐을 상속받아 '''에른스트 계통'''의 시조가 되고, 알브레히트가 작센 공작위와 작센 동부인 마이센 변경백령과 북부 튀링겐를 상속받아 '''알베르트 계통'''의 시조가 된다.

3. 에른스트 계통


튀링겐 공국들을 다스리고 있던 계통으로 1918년 당시 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 대공국, 작센코부르크고타 공국, 작센마이닝겐 공국, 작센알텐부르크 공국을 통치하고 있었다. 이들 계통은 루터파 개신교 신자다.
이 중 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 대공 가문이 모든 베틴가문의 종가에 해당한다. 16세기 종교혁명이 일어나며 에른스트 쪽 베틴 가문 방계는 개신교로 개종하고 신교도들을 보호하기 시작한다. 작센 왕국의 알브레히트(알베르트)계열이 원래 방계집안이었으나 1547년 슈말칼덴 전쟁에서 본가에 배신을 때리고 카를 5세에 줄선 대가로 본가의 영토 대부분과 선제후 직위를 뺏었다.
그후 본가 에른스트 계열은 튀링겐 지방 영토만 남은 상태에서 분할 상속해왔고, 후계가 끊어짐에 따라 이리 붙이고 저리 떼이고 하는통에 안그래도 난장판인 영토가 사분오열된 것. 에른스트가 상속받은 남부 튀링겐은 4대를 거친 1554년, 요한 프리드리히의 세 아들이 분할 상속하여 에른스트 대공국들(Ernestine duchies) 또는 '''작센 공작령'''들의 시초가 되었다. 이들 영토의 경계는 1572년에 '에어푸르트 분할'로 재조정되었고, 그 이후의 변화상은 한 공작령의 제후의 대가 끊기면 그 영토를 다른 공작령들이 나눠먹는 과정이 되풀이되면서 영토가 이합집산을 거듭한다. 1826년에 작센-고타-알텐부르크 공작령의 대가 끊기면서 영토 재조정을 한 것을 마지막으로 1개 대공국, 3개 공국으로 확정되었는데, 1991년에 공국 한 개가 멸망했고 2018년에 대공국의 멸망이 확정되었다.

4. 알베르트 계통


1918년 당시 작센 왕국을 통치하는 가문이었다. 이 계통은 가톨릭 신자인데 정작 작센 왕국 신민의 95%는 프로테스탄트였다. 1697년에 작센 선제후 아우구스트 2세가 가톨릭 국가인 폴란드-리투아니아 왕에 선출되기 위해 개종했기 때문. 개종과정에서 호엔촐레른 가문 아내가 평생 별거를 선언하고 신하들이 선제후직을 퇴위하라고 반발한 흑역사도 있었다. 당시 신성로마제국 제국의회에서 개신교 대표를 작센 선제후가 맡고 있었는데, 이 개종 때문에 신성로마제국이 해체할 때까지 개신교 대표를 가톨릭 신자가 역임하게 되었다.

5. 현재


독일의 본가 계통은 그리 번성하고 있지 않다.
에른스트 계통 네 가문 중 작센알텐부르크는 1991년에 단절되어버렸고, 다른 가문들도 일단은 존속하고는 있지만 앞으로가 불투명하다. 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는 2018년에 자녀를 생산할 유일한 남자인 콘스탄틴이 낙마사고로 요절해 단절될 가능성이 매우 높고, 작센마이닝겐은 후계자가 '될 만한' 공족은 있지만 아버지가 귀천상혼으로 태어난데다가 자신 또한 귀천상혼으로 후계자를 낳아서 정통성 논란이 있고, 그나마 작센코부르크고타는 후계구도가 잡혀 있지만 여기도 아슬아슬하게 외아들로만 이어지는 수준이다. 물론 벨기에, 불가리아로 분가해 나간 가문이 있으므로 만약 계보가 끊어질 경우 벨기에 또는 불가리아의 국왕이 작센-코부르크-고타 공위를 요구할 수도 있다. 영국은 엘리자베스 2세 사후 글뤽스부르크 왕조로 바뀌므로 논외.
알베르트 계통도 가문 수장인 마리아 에마누엘[1]이 2012년 사망하면서 직계가 끊겼고, 살리카법을 접고 그의 누이의 후손인 작센-게사페 가문[2]의 알렉산더와 귀천상혼으로 태어난 육촌 형제 뤼디거[3]가 계승해야 할지를 놓고 분쟁이 일어났다. 일단 구 작센 왕국 헌법과 1997년 마리아 엠마누엘에 의해 정해진 계승법에 의하면 여계 후손이 귀천상혼 후손보다 우선하기 때문에 작센-게사페의 알렉산더가 앞서지만 일부 친족들이 반발하여 뤼디거를 옹립한 상황이다. 또 알베르트 계통의 여계 후손 인정을 적용할 경우에는 귀천상혼 계열인 뤼디거를 건너뛰고 또 다른 육촌인 호엔촐레른-지크마링겐[4] 수장 카를 프리드리히가 왕위요구자가 된다.
독일의 다른 왕조들은 엄밀히 말해 알베르트 계통이 단절된 것으로 보는데 알렉산더는 여계 후손인데다 아버지가 레바논계 멕시코인이고 뤼디거는 아버지인 티모 왕자가 귀천상혼때문에 작센 왕조에서 제명되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두 후보 모두 정통성에 결함이 있어 독일 귀족연감에 등록되지 못하고 있다. 이 때문에 계승권 분쟁에 에른스트 계통도 끼어드는데 작센 왕국 이전 베틴 가문의 구 상속법이 준살리카법[5]에 엄격한 귀천상혼 원칙을 적용하는 것을 구실로 삼아 알렉산더와 뤼디거를 모두 부정하고 에른스트 계통의 수장인 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가 작센의 왕위계승권을 주장하고 있다. 물론 상술했듯 여기도 단절되는 것은 기정사실.

[1] 마리아라는 이름이 세컨드네임도 아니고 당당히 첫머리에 나왔지만 당연히 남자다.[2] 1997년에 마리아 에마누엘이 양자로 들여 후계자로 선언했다. 게사페 가문은 레바논마론파 출신으로 멕시코로 이민한 성공한 사업가 가문이다.[3] 어머니가 평민으로 정육점 딸이었다.[4] 호엔촐레른 왕조의 가톨릭 분파이다.[5] 모든 남성 후손이 단절됐을 때만 여성에게 계승권이 돌아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