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대대장
1. 개요
副大隊長, battalion executive officer
대대장 밑에서 지휘를 보좌하고, 유사시 대대를 대리 지휘하는 부지휘관.
2. 상세
전시 및 적습에 노출된 최전방 부대에서는 상시편제 보직이나 그 외의 부대에서는 완편되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대대 같은 경우엔 대위인 참모 등 대대장을 보좌할 다른 장교들이 많고 사단이나 여단급 부대에 비해 규모가 작고 숫자가 많아서 일일히 부대대장을 보임하면 소령의 소요가 늘기 때문이다. 결국은 인건비 문제. 그래서 평시에는 대대 내의 중대장(본부중대장 제외)들이 돌아가며 부대대장을 겸직하기도 한다. 지휘자에다 간부가 적은 소대나 분대급에선 부소대장이나 부분대장을 보임하는 것과 달리 더 규모가 큰 부대들은 고급장교를 보임해야 하기 때문에 부중대장, 부대대장, 부연대장을 보기가 드물다. 하지만 장성급 장교가 지휘관으로 보임되는 부대인 사단에서는 부사단장을 두기도 한다.[1]
부대대장이 없는 경우 일반적으로 정작과장 또는 작전과장이 부대대장 역할을 한다.[2]
예비군 편제에는 남아있는 보직인데 주로 예비역 소령이 들어가는 게 원칙이지만 인원이 부족할 경우 예비역 중위까지도 가능하다. 단, 부대대장은 무조건 장교보직이기 때문에 부중대장과는 달리 예비역 부사관은 못하며 장교가 아무도 없으면 공석으로 놔둔다. 보통 예비군 훈련 입소나 퇴소를 할 때 입소자 대표로서 선서를 하는 인원이 있다면 그 인원은 100% 예비역 장교이며 보직은 부대대장 확정이다.
상기했듯 GOP 경계부대에서는 상시편제되는 보직이며 대대 책임구역 순찰 및 대대장 대리 임무 등을 수행한다. 보통은 중령 진급을 앞둔 소령이 맡아서 대대장 임무에 대한 준비를 하는 보직이지만, 가끔 대대장보다 윗 기수인 소령이 부임하는 경우가 있다. 즉 진급이 밀려서 마지막으로 맡은 임무인지라 본인이 나서 봐야 대대장에게 부담만 된다는걸 알고 부대대장실에 틀어박혀서 조용히 전역날만 기다리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물론 그래도 군복무 맛을 조금이라도 더 보고 싶다면 대대장에게 졸라서 당직사령 근무에 투입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