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사르기

 

[image]
기술 이름
타입
분류
위력
명중
PP
한국어
일본어
영어


130
100
5
불사르기
もえつきる
Burn Up
기술 효과
특수 분류
부가 효과
확률
사용자의 불꽃 타입을 없앤다.
사용자가 이미 불꽃 타입이 아니면 실패한다.
-
-
-
1. 개요
2. 사용례


1. 개요


포켓몬스터기술.

7세대에 추가된 기술로, 썬문부터 윈디, 블레이범, 파이어가, 울트라썬문부터 칠색조[1]염무왕이 배우는 기술. 이 중에서 윈디와 염무왕은 블레이범과의 교배로 익혀야 한다.
8세대에서는 다태우지네석탄산이 자력기로 배우며, 상술한 배우는 포켓몬들은 윈디, 칠색조 말고는 다 삭제되었기 때문에[2] 이 기술을 사용할 수 있는 포켓몬은 윈디와 칠색조, 다태우지네, 석탄산 단 넷 뿐이다.

2. 사용례


첫 시전시에는 오버히트와 같은 위력에다 명중률 100까지 흠잡을 곳 없는 기술. 다만, 기술을 사용한 후에는 불꽃 타입 포켓몬의 불꽃 타입을 없앤다는 효과가 있다. 단일 불꽃 타입 포켓몬이 이 상태가 되면 '''??? 타입'''이 되어[3] 받는 모든 기술의 위력이 1배가 된다.[4] 타입변화 실험 영상 또, 불꽃 타입 기술에 자속 보정이 사라지고 화상 상태이상에 노출된다. 자속 보정이 사라지는 건 안타깝지만, 적절한 타이밍에 쓰면 약점을 커버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파이어의 경우, 이 기술을 쓰면 순수 비행 타입이 되므로 바위에 4배 피해를 입지 않게 되고, 약점에 물이 사라지게 되므로 비바라기 밑에서 폭풍을 더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단, 비 밑에서는 불사르기의 위력이 반쪽이 된다는 건 유의해야 한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불꽃 타입이 사라져서 ??? 타입이 된다'가 아니라 ''''불꽃 타입이 ??? 타입으로 바뀐다''''라는 점이다. 실제로 불꽃/비행 타입 포켓몬이 불사르기를 쓰면 단일 비행이 아닌 '''???/비행 타입'''이 되어 이후 날개쉬기를 쓰면 노말 타입이 아닌 ??? 타입으로 판정되어 격투 혹은 고스트 기술의 상성이 적용되지 않는다.
첫 시전 시에는 자속 보정을 받아 미칠 듯한 대미지를 보여주며, 오버히트 같은 기술처럼 자속 이외의 기술을 쓰는 데에는 페널티를 주지 않는다. 하지만 불사르기를 한 번 사용한 다음에 불꽃 타입이 없어지면 실패하기 때문에, 연속으로 지를 수는 없다. 하지만 상대가 프레셔 같은 게 아닌 이상 큰 문제는 아니며, 첫 시전시 특공 감소 등의 큰 페널티 없이 자속을 포함해 실질 위력 195짜리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은 좋은 점. 다시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도 교체시 해결된다. ??? 타입이 된다는 점을 역으로 이용하는 방법도 생각해 볼 수 있을지도. 단, 역으로 말하면 반감도 사라진다는 이야기이므로, 오히려 반감으로 받던 다른 기술에 더 아프게 맞을 수 있다.
불사르기 이후 자속을 받을 수는 없지만 불사르기 기반의 다이내믹풀플레임이나 다이번은 사용이 가능하다. 실전에서 써먹기는 힘들겠지만, 만약 스킬스웹으로 변환자재나 리베로 특성을 얻었을 경우, 다른 불꽃 타입 기술을 사용해 불꽃 타입을 회복한 후 다시 불사르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5]

[1] 울트라썬의 울트라스페이스산 한정 특전기였다가 8세대 익스펜션 패스부터는 자력기 목록에 추가되었다.[2] 파이어는 익스펜션 패스로 복귀하지만, 타입이 악/비행인 가라르 리전폼 파이어는 이 기술을 사용할 수 없다. 하지만 원종도 복귀하므로 큰 상관은 없다.[3] 4세대까지 저주 기술과 더미 데이터로만 남아 있던 무속성 아르세우스가 가지고 있던 타입으로, 노멀 타입이 아니라 '''진짜배기 무속성 타입'''이다. 노말 타입이 되면 이 다음 턴부터 윈디가 자속으로 신속을 날려댈 수 있어서 밸런스 붕괴로 이어질 수도 있기 때문인 듯하다. 하지만 날개쉬기의 전례를 볼 때 추후에 노말 타입이 되도록 변경될 가능성이 있다.[4] 예외적으로, 불꽃 타입 아르세우스실버디는 치트를 이용해 불사르기를 사용하더라도 ??? 타입이 되지 않고 불꽃 타입이 유지된다. ??? 타입에 해당하는 스프라이트가 없기 때문. 본래 아르세우스는 있었지만, 삭제되었다.[5] 불사르기 자체로 불꽃 타입을 복구한다는 아이디어는 그럴 듯해 보이나, 변환자재 특성이 발동하지 못한 채 기술이 실패해버려 불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