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왁 왕국

 



'''사라왁 왕국'''
'''Kingdom of Sarawak'''

[image]
[image]
국기
국장
[image]
1841년 ~ 1946년
위치
말레이시아 사라왁 주
수도
쿠칭
정치체제
군주제
주요 국왕
초대 제임스 브룩 (1841년 ~ 1868년)
2대 찰스 앤서니 존스 브룩 (1868년 ~ 1917년)
3대 찰스 바이너 브룩 (1917년 ~ 1946년)
언어
영어, 말레이어, 이반어, 중국어
통화
사라왁 달러
성립 이전
브루나이 왕국
멸망 이후
사라왁 왕령식민지
1. 개요
2. 역사
2.1. 건국 배경
2.2. 건국 이후
2.3. 멸망
2.4. 멸망 후
3. 영국과의 관계

[clearfix]

1. 개요


사라왁 왕국(Raj of Sarawak, Kingdom of Sarawak)는 1841년부터 1946년까지 현재 말레이시아 사라왁주에 위치했던 왕국으로, 국왕(라자)이 영국계 백인 브룩(Brooke) 가문에서 배출되었으므로 백인 왕조라고도 불렸다.[1] 1841년에 영국의 탐험가인 제임스 브룩에 의해 건국되었다.

2. 역사



2.1. 건국 배경


16~17세기 브루나이 왕국은 그 세력을 오늘의 북부 보르네오섬 사라왁주, 사바주 지역으로 뻗어 나갔었다. 그러나 이슬람 국가였던 브루나이 왕국은 필리핀 쪽으로부터 가톨릭 세력인 에스파냐와 충돌이 생겼고 결국 1578년 브루나이 왕국의 수도는 에스파냐에 의해 점령당했다. 17세기 중반에서야 포르투갈과 동맹하여 에스파냐를 몰아내는 데 성공했지만, 이때부터 외세의 간섭이 계속되었고 영국, 네덜란드 등 식민 세력의 침략이 본격화되면서 쇠약해지기 시작했다. 나라의 힘은 약해지고 술탄은 무력했으며, 왕실 내부에서는 서로 패가 갈려 싸움을 일삼으니 지방 족장들의 세력이 커져 술탄의 권위를 무시하고 맞서곤 하였다.
1830년대, 사라왁에서 다약계 비다유인(Bidayuh, 육지 다약인Land Dayak), 이반인(Iban) 등이 술탄의 억압적인 정책에 대항해 반란을 일으켰다. 술탄은 이를 진압하지 못했고 반란은 사바 지역까지 뻗어나가게 된다. 이때 등장한 인물이 바로 영국인 제임스 브룩이다. 제임스 브룩은 원래 동인도 회사의 군인이었는데, 아버지가 물려준 재산으로 배를 구입하여 1839년 8월 반란군과 힘겹게 싸우고 있던 브루나이로 가서 브루나이 술탄의 요청으로 반란을 진압하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이때는 일시적으로 반란을 억누른 데 불과하였으며, 곧 브룩은 싱가포르로 이동해 머물렀다. 그러나 반란은 곧 다시 발발하였고, 1840년 8월 브룩은 브루나이로 돌아와 반란을 완전히 진압하는 데 성공한다. 브룩은 단순히 무력만으로 반란자들을 억누르지 않고, 그들을 사면하고 회유하여 일정한 공직을 주는 식으로 반란의 재발을 막았다. 당시 브루나이 왕국의 술탄이던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2세는 이 공로로 제임스 브룩을 1841년 9월 24일 사라왁의 군주, 라자(Raja)로 봉하였다. 이것이 바로 전체 역사에서도 해괴한 아시아의 '''백인 왕조'''가 건국된 계기이다.

2.2. 건국 이후


백인 왕조의 초대 국왕 제임스 브룩은 국가의 체제를 정비하고 다약인들을 사라왁 왕국의 군대에 복무시키며 30여 년간 계속해서 브루나이 왕국과 보르네오 내륙 다약인들의 영토를 잠식하여 위의 지도에 보이는 영역을 만들었다. 제임스 브룩은 군사 원정을 위해 간혹 영국 해군의 함선을 양해를 구해 참가시키기도 했다. 또한 1846년 사라왁 왕국의 종신 지배권까지 인정받아 백인 왕조의 기틀을 확실히 다졌다. 사라왁 왕국이 개창된 이후로 제임스 브룩의 통치가 순탄치만은 않았는데, 사라왁 왕국은 말레이인, 이반인(Iban, 다약계), 비다유인(Bidayuh, 다약계), 그리고 화인 주민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제임스 브룩은 안정적인 통치를 위해 이들을 화합시켜야 했다. 그러나 제임스 브룩의 통치에 반발하는 세력은 사라왁 지역에 1860년대까지 존속하였다.
1857년 2월 18일, 제임스 브룩이 광업에 과중한 세금을 부과한 데 불만을 품은 유선방(劉善邦, Liu Shan Bang, 1800–1857)이 이끄는 600명가량의 화인 광부들이 반란을 일으켜 쿠칭의 제임스 브룩 저택을 공격했다. 라자는 황급히 저택을 떠나 인근의 강을 헤엄쳐 건너 도망갔다. 반란자들은 브룩 저택을 불태우고 인근 지역에서 유럽인 다섯 명을 죽였는데 그 가운데 반란자들이 제임스 브룩으로 오해한 자도 있었다. 유선방은 왕국을 접수하려는 생각은 없었고, 브룩의 왕좌에 앉아 보는 정도로 만족하고 영국의 보르네오 회사(Borneo Company Limited)에 왕국을 접수하라고 제의하며 철수했다. 그러나 분노한 제임스 브룩은 살아 있었고, 군대를 모아 화인들의 징벌에 나섰다. 제임스 브룩의 이반인 군대는 유선방을 포함한 3천 명가량의 반란 가담자 및 여자와 어린이를 포함한 그 가족들까지 죽여 반란을 진압하였다.
화인들보다 라자에게 장기적이고 심각한 위협이 된 것은 토착 이반인들의 대항 세력이었다. 특히 른탑(Rentap)이라는 이반 전사가 이끄는 세력은 1844년부터 1863년까지 20년에 걸쳐 라자의 팽창 정책을 수없이 제동을 걸어 지연시키기도 했다. 그러나 팽창 정책은 느렸지만 궁극적으로는 성공하였고, 백인 라자는 토착민들의 '비문명적인' 노예제나 다약 특유의 머리 사냥(headhunting)을 금지하는 정책을 지속적으로 펼쳤다.
지역에서 상선들을 습격하는 해적도 사라왁의 골칫거리였다. 라자는 사라왁 인근 해역에서 지속적으로 포함을 동원해 해적 소탕 작전을 벌였다. 특히 1862년 무카(Mukah) 근해에서 제임스 브룩의 조카 존 브룩(John Brooke)이 이끄는 2척의 경비선이 모로 해적선단과 맞서 싸워 대승을 거두고(무카 해전), 해적선에 납치당한 많은 사람들을 구출한 일은 국제적 찬사를 받았다.
제임스 브룩은 말년인 1868년 자신의 모국인 영국으로 돌아갔고, 조카였던 찰스 앤서니 존스 브룩에게 왕위를 양위하였다. 그해 제임스 브룩은 데본 주에 있는 자신의 저택에서 사망했다. 2대 라자 찰스 브룩은 제임스의 정책을 이어받아 노예제와 머리 사냥 근절에 힘썼으며, 특히 2대 찰스의 치세에 1891년 보르네오 최초의 박물관인 사라왁 박물관(Sarawak Museum, 나중에 Sarawak State Museum으로 개칭)이 쿠칭에 개관하였다. 사라왁 박물관은 당시 영국에서 복고 취미로 인기를 끌던 아담한 앤 여왕 양식으로 건축되었다. 박물관은 사라왁 및 보르네오의 자연사와 민족지에 관한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고 전시하며 오늘날까지도 유력한 박물관으로 남아 있다.

2.3. 멸망


2대 찰스 브룩의 아들 3대 찰스 바이너 브룩이 통치하던 기간 중 사라왁은 1941년 제2차 세계대전이 벌어져 일본의 침공을 받게 된다. 결국 사라왁 왕국은 일본의 점령 하에 놓이게 되고, 국왕 찰스 바이너 브룩을 비롯한 왕가의 일원들은 오스트레일리아로 망명하게 된다. 라자는 세계대전이 끝나 일본이 물러간 1945년 다시 돌아와 복위했지만, 1년 뒤인 1946년 영국에 지역 통치권을 이양하게 되어 사라왁 왕국은 사라왁 왕령식민지(Crown Colony of Sarawak, 1946–1963. 총독을 두는 영국 식민지)로 바뀌었다.

2.4. 멸망 후


사라왁 왕령식민지는 영국 및 말레이시아와 협상을 거쳐 영국의 치하에서 1963년 7월 22일 독립하였고, 이어 1963년 9월 16일 사바, 싱가포르와 함께 오늘날의 서말레이시아에 해당하는 말라야 연방(Federation of Malaya)과 연합하여 신생국 말레이시아(Malaysia)를 형성하였다. 이후 사라왁은 말레이시아 사라왁주로 승계되었다.
찰스 바이너 브룩 사후에는 그의 조카인 앤서니 월터 데이렐 브룩이 명목상의 사라왁 라자위를 이어받았고, 앤서니 사후에는 앤서니의 장남 제임스 버트럴 리오넬 브룩이 그 뒤를 이었으며, 제임스가 사망한 현재는 제임스의 아들이자 앤서니의 손자인 제이슨 데즈먼드 앤서니 브룩이 사라왁 왕국의 라자위를 요구했다. 하지만 바이너 브룩이 계속해서 왕좌를 차지했다면 모를까, 말레이시아가 독립하기 전에 왕위를 포기하고 영국으로 사라왁을 넘겼으니 왕위 요구는 별로 설득력이 강하지 않다.

3. 영국과의 관계


제임스 브룩이 사라왁에서 왕으로 봉해지자, 영국 내에선 핫 이슈로 다루어졌고 브룩의 모험을 동경하는 이들도 생겨났으며, 이를 이용하여 동남아시아에서의 세력을 확고히 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영국 정부는 브룩을 간혹 지원하기는 했으나, 본격적으로 사라왁의 팽창 정책이 결실을 맺은 1860년대 이전에는 사라왁 왕국에 근본적으로 큰 관심을 두지 않았다. 1850년대까지만 해도 사라왁 왕국을 단순히 브루나이의 봉신국 정도로 생각하는 이들도 있었다. 공식적으로 영국이 사라왁 왕국을 국가로 인정하고 영사를 파견한 것은 1864년의 일이다. 이후 사라왁은 영국 영향권으로 편입되었으며, 2대 라자 찰스 브룩의 치세인 1888년에는 공식적으로 인접한 북보르네오 회사 관할의 영국령 북보르네오와 함께 영국의 보호령이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진 것은 아니다. 1850년대에는 위기도 있었는데, 이때 사라왁에서 화인과 이반인 반대 세력에 의한 여러 차례의 내란이 발생하였고, 안 그래도 경제적으로도 힘겨운 상태였던 제임스 브룩의 사라왁 정부는 부채로 허덕이게 되었다. 제임스 브룩은 이에 아예 영국으로 사라왁 왕국을 양도하려고 계획했으며 여러 영국 의원들도 호감을 보였지만, 당시 영국 총리 에드워드 스미스스탠리(Earl of Derby, Edward George Geoffrey Smith-Stanley)는 영국식 조세 체계가 사라왁에 가져올 혼란을 고려하여 사라왁 양도를 거절하였다. 라자는 절망에 빠져 당시 사라왁을 위협하던 네덜란드를 제외한 다른 아무 유럽 식민 세력(프랑스, 러시아 등)으로 사라왁을 넘기는 것까지 고려했지만 결국 단념하고 내치의 안정에 힘을 기울였다.
[1] 이는 동남아 역사상 최초의 유럽계 왕조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