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바(2012년 태풍)

 


1. 개요
2. 경과
3. 기록
4. 피해
5. 기타
6. 관련 문서


1. 개요



'''2012년 태풍'''
제15호 볼라벤 → '''제16호 산바''' → 제17호 즐라왓#s-4
'''2012년 제16호 태풍 산바'''
위성사진
[image]
진로도
[image]
활동 기간
2012년 9월 11일 9시 ~ 2012년 9월 18일 9시
영향 지역
필리핀, 대만, 중국, 일본, '''대한민국''', 북한, 러시아
태풍 등급
'''5등급'''[JTWC]
10분 등급
'''맹렬한 태풍'''[JMA]
태풍 크기
'''대형(직경 1,200 km)'''
최저 기압
'''900 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80 m/s'''
10분 평균
'''57 m/s'''
2012년 9월 11일 9시 필리핀 마닐라 동남동쪽 부근 해상(10.0N, 134.1E)에서 열대폭풍(TS)으로 발달하면서 태풍 '산바'로 명명되었다.
9월 17일 11시 경상남도 사천시 일대에 상륙하였다.

2. 경과


#
한국 기상청이 9월 11일 11시에 발표한 태풍 예상 진로도.
#
JTWC(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에서 11일 17시 기준의 태풍 예상 진로도.
#
한국 기상청 발표 9월 13일 10시 예상 진로도. [1]
#
JTWC에서 14일 6시 기준 발표된 예상 진로도. 일단 이 태풍은 볼라벤 이상급으로 발달했음을 단편적으로 볼수있는것이 JTWC에서 기준으로 하고 있는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 (SSHS) 등급으로 기준했을 때 5등급 Super Typhoon 으로 발달했다고 발표했다.
#
한국 기상청 발표 9월 14일 10시 예상 진로도.
#
결국 중심기압 963 hPa, 최대 풍속 35 m/s(126 km/h)로 약화된 태풍이 제주 동북방향을 거쳐 11시경 남해안 경상남도 사천시 일대에 상륙하였다.
#
제주도에서는 바다 높이가 높아지는 사리 시기와, 시간당 40~50 mm 안팎의 폭우가 맞물려 정전과 물에 잠기는 피해가 속출.# 제주와 남해안 지역에서는 이 때까지 이미 차량 1천여 대가 침수 피해를 보았다고.#
부산, 울산 등 남해안 지역에 태풍 경보가 발효되었다.# 일부 지역은 200mm 이상의 폭우가 내릴 것으로도 우려되었다.
제주는 휴교령을 내렸고, 서울시교육청 역시 14시 전에 하교시킬 것을 권고하였다.#[2] 예비군 동원훈련 역시 산바로 인해 연기되었다.#
#
최종 태풍 이동 경로. 한반도 남해안에 상륙해 동해안 방향으로 빠져나갔고, 지난 두 태풍과는 달리 한반도 남해안과 동부 지역에 강한 영향을 미쳤다. 물론 수도권은 이번에도 유유자적(…).

3. 기록


순간최대풍속(m/s)
제주
고산 35.8 제주 30.4 성산 27.7 서귀포 24.3
경남 서부
'''통영 39.4''' 의령 24.8 진주 21.1 거창 20.0 합천 18.9 산청 18.4 남해 15.4 함양 14.5
경남 동부
김해 27.7 부산 26.0 거제 25.3 산청 24.1 북창원 23.4 창원 22.9 밀양 21.8 울산 20.2
전남 서해안/내륙
흑산도 29.6 진도(첨찰산) 27.8 목포 27.7 영광 22.8 해남 20.1 광주 18.3
전남 남해안
여수 38.8 광양 32.3 보령 30.0 고흥, 강진 24.6 완도 21.1 순천 18.3 장흥 17.8
경북 서부
문경 17.5 영주 16.8 대구 16.3 의성 12.8 상주 12.1 안동 11.9 구미 10.8
경북 동부
울진 30.2 영덕 26.7 봉화 25.2 울릉 20.6 포항 19.9 경주 21.9 영천 18.4
전북
순창 23.9 고창(무) 20.6 고창(구) 18.6 남원 18.1 군산 16.1 장수 15.9 임실 14.6 전주 14.3 정읍 13.2 부안 11.7
강원 내륙 평지
철원 17.6 정선 15.3 영월 14.6 홍천 13.5 인제 12.7 원주 11.4 춘천 11.0
강원 동해안/산지
대관령 27.5 동해 25.1 강릉 20.2 속초 19.6 북강릉 18.3 태백 15.1
충남
보령 18.2 부여 16.7 대전 14.8 서산 14.5 천안 13.2 금산 11.1
충북
추풍령 21.4 보은 16.2 청주, 충주 14.6 제천 11.8
경기
서울 20.4 수원 17.0 양평 16.0 동두천 15.9 파주 14.2 강화 13.8 인천 12.8 백령도 11.5
최대풍속(m/s)[3]
제주
'''고산 29.3''' 성산 19.0 제주 17.8 서귀포 13.4
경남 서부
통영 26.6 의령 14.5 합천 12.8 거창 12.3 산청 10.9
경남 동부
김해 19.9 창원 18.2 부산 17.8 거제 13.3 울산 12.7 밀양 12.1 양산 10.8 북창원 10.6
전남 서해안/내륙
흑산도 21.3 목포 19.2 진도(첨찰산) 16.0 영광 12.8 해남 11.9
전남 남해안
여수 27.7 보성 23.1 강진 16.9 광양 14.5 완도 12.8 고흥 12.6 순천 10.4
경북
울진 18.4 영덕 16.4 울릉 13.9 포항, 경주 12.7 봉화 11.5 영주 11.3
전북/충청
고창(무) 15.0 순창 13.3 추풍령 13.2 남원 11.5 보령 11.2 군산 11.0 고창(구) 10.9
경기/강원
대관령 17.7 동해 14.6 서울, 속초 11.5 철원 10.7 강릉 10.4
강수량(mm)[4]
제주
'''제주 399.2''' 성산 187.4 서귀포 95.0 고산 92.5
경남 서부
산청 303.5 남해 300.0 합천 295.0 거창 256.0 진주 230.0 함양 212.5 의령 209.5 통영 133.0
경남 동부
북창원 323.0 양산 226.5 울산 208.5 거제 192.0 김해 124.5 창원, 밀양 121.5 부산 112.0
전남 서해안/내륙
진도(첨찰산) 273.0 영광 183.0 목포 164.8 해남 154.0 완도 137.5 광주 124.0
전남 남해안
광양 262.5 여수 230.7 고흥 191.5 순천 159.5 완도 137.5 보성 123.0 강진 121.0 장흥 115.5
경북 서부
구미 249.5 상주 179.0 대구 161.4 영주 109.5 문경 108.5 의성 101.5 안동 87.0
경북 동부
포항 239.0 울진 210.0 경주 207.0 영천 168.5 영덕 159.0 울릉 116.0 청송 95.5 봉화 68.5
강원 내륙 평지
영월 113.5 정선 65.5 춘천 63.5 철원, 인제 58.0 홍천 52.5
강원 동해안/산지
강릉 235.0 북강릉 209.0 속초 203.5 태백 199.0 동해 160.5 대관령 100.5
충남
보령 116.0 서산 108.9 천안 107.0 부여 106.0 금산 90.5 대전 72.9
충북
추풍령 164.5 충주 81.0 보은 65.5 청주 62.0 제천 59.0
경기
수원 90.0 서울 88.0 동두천 84.0 이천 60.5 인천 59.6 양평 58.5 파주 57.5

4. 피해


9월 17일 11시경 한반도 남해안에 상륙한 산바는 강풍과 폭우를 동반하며 경상도를 중심으로 상당한 피해를 냈다. 2명 사망, 2명 부상, 200여 명의 이재민 발생, 차량 3천여 대가 물에 잠기고, 50만여 가구가 정전되고, 1만 2천여 세대에 물이 끊기는 피해를 발생시켰다. #
이미 2차례의 태풍으로 지반이 약화된 상태에서 산바가 결정타를 날려 지반이 무너진 곳이 많았다. 도로 240곳이 유실, 112곳에서 산사태가 발생했다. 강풍으로 날린 쓰레기나 물에 잠기는 피해 따위는 말할 것도 없다.#
한국 남쪽 지방 농어민의 피해도 엄청났는데, 양식장이 태풍에 쓸려나갔거나# 긴급히 방류한 저수지 물과, 고장난 배수갑문으로 바닷물이 거꾸로 흘러 농경지가 물에 잠겼다.#
당시 부산 해운대구 우동 마린시티에서의 영상.
남해고속도로 김해 장유면 인근에서 60 km/h로 주행 중이던 800 cc 경차올뉴마티즈 승용차가 초속 27m 강풍에 의해 옆으로 넘어져서 전복되는 사고가 일어났다. 다행히 운전자는 큰 부상이 없었다. #
총 재산 피해는 3,657억 원으로 대한민국에서 역대 태풍으로 인한 재산 피해 순위 7위에 해당된다.

5. 기타


2등급이라는 엄청난 세력으로 상륙했음에도, 다행히 피해가 크지 않았다. 대한민국에서 이제까지 내습한 태풍 중 몇 손가락 안에 꼽히는 강력한 태풍으로 언론에서 떠들었다. 허나 '''볼라벤의 부진한 실적(…) 이후 양치기 소년 효과 탓에 볼라벤 때보다 관심을 끌지는 못했다.''' 실제로 제주도와 남해안을 제외하면 와 평소보다 조금 강한 비와 바람 밖에 특별한 것이 없었으며, 태풍의 직접 영향에 들었던 제주와 남부지방에서 관측된 풍속은 생각보다 그렇게 높지 않았다. 풍속이 가장 높게 관측된 지역과 그 값은 전남 여수의 43.9 m/s로 태풍의 직접 영향권에 들었던 볼라벤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낮은 편. 대부분의 지역은 10~30 m/s 안팎의 풍속을 보였다. 그러나 이미 덴빈과 볼라벤에 의해 심각한 피해가 발생하였던 상황이었기에 이 태풍을 마지막으로 결정타에 기여했다.
특히 2010년의 곤파스를 겪고 태풍 피해에 내성이 생긴 수도권 주민들은, 볼라벤덴빈에 이은 3번째 공격에도 역시 '곤파스 시절에 비하면 별 것 없군'이라며 무덤덤해했다. 선명하게 뚫린 태풍의 눈으로도 맹렬한 위력을 볼수있으며, 산바는 곤파스 '''따위'''와 차원이 다른 태풍이다. 중심기압이 21세기 이후 5개도 되지않는 '''900hPa'''대 태풍이며 [5] 최전성기 최대 풍속으로 봤을때도 매미가 확실히 밀린다. 영남 지역은 덴빈 때까지 큰 탈이 없다가 이 태풍에 의해 적지 않은 타격을 입었다.[* 물론 상륙 당시 세기로 따지면 매미가 더 강하다. 산바는 제주도 부근을 945hPa로 지나가고 상륙직후 열대폭풍으로
약해진 방면 매미는 제주도 최근접 당시 935hPa 상륙직후에도 2등급을 유지했다.]
참고로 이 태풍이 상륙한 9월 17일은 1959년에 사라가 상륙해서 대한민국에 큰 피해를 준 날과 같은 날짜이다.

6. 관련 문서




[JTWC] [JMA] [1] 엄밀히 따지면 상륙 순서는 15호, 14호, 16호 순서이다.[2] 사실 지난 볼라벤 때도 그렇고 서울시교육청이 민감하게 잘 반응한다.[3] 10분 평균 풍속[4] 9월 16일~17일 누적[5] 매미조차 910hPa로 더 약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