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

 

1. 개요
2. 분류
2.1. 자연재난
2.2. 사회재난
2.3. 종합적인 국가 단위의 재난
4. 관련 문서
5. 역대재난순위
5.1. 인재
6. 조선시대 이후 한반도 각종 재난 상황


1. 개요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서는 "재난"을 국민의 생명·신체·재산과 국가 전체에 피해를 주거나 줄 수 있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단, 피해 규모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예상되거나 이미 발생한 경우에만 재난으로 정의한다. 비슷한 의미로 재해라는 용어도 사용하나 일반적으로 재난에 의한 피해를 더 강조하며, 자연재해와 같이 자연 현상으로 인한 경우에 자주 쓰인다. 반면에 사람으로 인한 재난은 인재라고 말하기도 한다.

2. 분류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서 재난을 3가지로 분류하다가 최근 인적 재난과 사회적 재난을 사회재난으로 통합하였다.

2.1. 자연재난


자연 현상으로 인하여 피해가 발생하거나 예상되는 경우를 자연재난이라 한다. 홍수·호우·강풍·태풍·풍랑·해일·대설·낙뢰·가뭄·지진·황사·적조가 이에 해당된다. 자세한 내용은 자연재해 문서로.

2.2. 사회재난


인간이 일으킨 대형 사고와 국가 인프라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전염병 확산도 사회재난에 해당한다. 전자를 인적 재난, 후자를 사회적 재난으로 정의하였으나 최근 구분이 어려워지며 사회재난으로 통합하였다. 인적 재난에는 화재·붕괴·폭발·교통사고·화생방 오염 사고·환경오염 사고 등이 포함되며, 대표적인 사례로 태안 앞바다 일대에서 터졌던 삼성 1호-허베이 스피릿 호 원유 유출 사고모리셔스에서 터진 와카시오 호 기름유출 사고가 있다. 사회적 재난에 해당하던 것은 에너지·통신·교통·금융·의료·수도 등 인프라의 마비나 전염병이다. 전자의 대표적 사례가 9.15 정전사태이고, 후자의 대표적인 사례가 구제역, 사스, 신종플루,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다.

2.3. 종합적인 국가 단위의 재난


국가 막장 테크 문서로.

3. 재난방송


재난이 발생했거나 발생할 예상이 될때 종합적으로 시청자들에게 고지를 하고 방재를 하기 위해 방송사들은 재난방송을 실시한다.

4. 관련 문서



5. 역대재난순위


인명 피해 규모에 따라 정리하며, 전투 행위로 인한 사망 또는 의도적인 테러나 학살에 의한 사망이 아닌 '사고'에 해당하는 것들을 기록한다.

5.1. 인재


년도
재해명
발생국(지역)
종류
사망
부상, 장애, 후유증
비고
1986.4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
소련
산업재해
42명[1]
20만 이상

1984.12
보팔 가스 누출 사고
인도
산업재해
3,787~
16,000명
50만 이상

1952.12
1952년 런던 그레이트스모그[2]
영국
환경재해
12,000명


1987.12
도냐 파즈호 침몰 사고
필리핀
해상사고
4,375명
26명[3]
비전시 해상사고 중 최대
2013.4
라나 플라자 붕괴사고
방글라데시
건물붕괴
1,129명
2,500명
건물 붕괴 사고 중 최대
1977.3
테네리페 참사
스페인령 카나리아 제도
항공사고
583명
60명
항공사고 중 최대

6. 조선시대 이후 한반도 각종 재난 상황


조선시대~대한민국 (1392~2020)의 재난 상황표[4]
지도자
재난 종류
비고
왕권란
민란
외침
기근/위기
참사
합계
태조
1




1
위화도 회군[5]
정종







태종
1
1


3
5
왕자의 난, 조사의의 난
세종




10
10
한양 대화재
문종




3
3

단종

1




이징옥의 난
세조
1
1


2
4
계유정난, 이시애의 난
예종

1


1
2

성종




9
9

연산군

1


5
6
홍길동의 난
중종
1


1
16
18
중종반정
인종







명종

1


13
14
임꺽정의 난
선조

2
3

22
27
임진왜란, 정유재란, 니탕개의 난, 이몽학의 난, 정여립의 난
광해군




14
14

인조
1
1
2

9
13
인조반정, 병자호란, 정묘호란, 이괄의 난
효종




4
4

현종



2
25
27
경신대기근
숙종

1

5
19
25
을병대기근, 장길산의 난
경종







영조

1


19
20
임오화변, 이인좌의 난
정조




7
7

순조

1


5
6
홍경래의 난
헌종







철종

1


1
1
임술농민봉기
고종

4
3

4
11
병인양요, 신미양요, 을사조약, 동학농민운동, 갑신정변, 임오군란, 신축민란
순종


1


1
경술국치
정권주체
내부 권력 투쟁
소요, 항쟁
외침
기근/위기
참사
합 계
비 고
일제강점기

2
2

14
19
일제시대, 3.1운동, 제암리 학살사건, 3693호 태풍, 2353호 태풍, 2560호 태풍
미군정




4
4
4.3 사건
이승만

1
1

10
12
한국전쟁, 국민방위군, 한강교 폭파, 태풍 사라
윤보선







박정희
1
1

2
9
13
5.16 군사정변, 오일쇼크, 대연각호텔 화재, 해군YTL선 침몰, 태풍 베티
최규하

1



1
광주민주화운동
전두환
1
1


4
6
12.12 사태, 6월항쟁, KAL기 폭파 사건, 삼청교육대, 부산형제복지원, 태풍 셀마
노태우




1
1

김영삼



1
5
6
IMF, 삼풍백화점, 대구가스폭발, 서해 훼리호 침몰사고, 대한항공 801편 추락
김대중



1
4
5
카드 대란, 태풍 루사, 대구 지하철 참사
노무현





1
태풍 매미
이명박





1
대침체
박근혜



1
1
2
세월호 참사,메르스 사태
문재인



1


2018년 폭염/대한민국,2020년 한반도 폭우 사태,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총 계
8
24
12
14
243
294
왕명
왕권란
민란
외침
기근/위기
참사
합 계
비 고
  • 출처 - 조선왕조실록, 네이버 뉴스 아카이브에서 인용함.

[1] 사고 특성상 피해 규모 추정이 극과 극을 오간다. 사고 당시 현장에서 사망한 인원은 수십 명 수준이지만, 피폭에 따른 장기적인 사망자(암 발병 등)는 적게는 1만 단위에서 많게는 20만을 이야기하기도 한다.[2] 4~50년대 런던에서 발생한 여러 스모그 중 가장 심각했던 스모그.[3] 사고를 당한 사람 중 99% 이상이 죽었다는 뜻이다. 자세한 것은 해당 문서로.[4] 참사의 경우 한 번에 100명 이상의 사망자를 낸 사건을 의미한다.[5] 다만 이건 태조가 조선 왕조를 열기 전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