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목록

 



1. 개요
2. 태풍 명칭


1. 개요


이 문서는 2000년부터 사용되기 시작한 태풍의 이름을 모아 놓은 문서로, 각 태풍 이름 문서의 상위 문서 역할을 겸하고 있으며, 위키백과의 '열대 저기압 이름의 목록' 문서네이버 백과사전의 '태풍' 문서를 참고하였다.
1999년까지는 허리케인처럼 미국에서 붙인 (사람) 이름을 사용했지만, 2000년부터는 북서태평양의 14개 국가[1]가 각각 10개씩 제출한 이름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표에 나온 순서대로 위에서 아래로 돌아가면서 사용하며, 140개를 모두 사용하면 다시 처음으로 돌아간다. 어떤 태풍이 너무 큰 피해를 입혔거나 다른 특별한 이유[2]가 있을 경우에는 제명되어 다른 이름으로 교체된다. [3]
태풍의 발생을 알리며 정해놨던 이름을 부여하는 기관은 일본 기상청(JMA)이다.[4]
허리케인이 날짜변경선 서쪽으로 넘어왔을 때는 허리케인일 때 붙인 이름을 그대로 사용하고, 원래 사용될 예정이었던 이름은 다음 태풍이 사용한다. 예를 들면 2015년 제11호 태풍 낭카 다음에 쓰일 이름은 사우델로르여야 하지만, 허리케인 할롤라가 서쪽으로 넘어오면서 12호 태풍이 되었다. 사우델로르는 13호 태풍의 이름으로 쓰였다. 반대로 태풍이 북인도양이나 북중태평양으로 넘어갔을 때도 원래 이름을 그대로 사용한다.
한국어 명칭은 국립국어원에서 정한 외래어 표기법을 철저히 따른다. 물론 외래어 표기법이 안 정해진 크메르어나 라오어 같은 마이너한 언어는 제외.
일본에서 제출한 태풍 이름들은 별자리 이름이 대부분이다. 곳푸나 곤파스 같은 외래어[5]가 들어간 이유도 그 때문.
여담으로 대부분은 신성하게 여기는 대상이나 일상적인 물품, 별자리, 작은 동물들 이름으로 구성되어 있다. 옛날처럼 이름을 유하게 붙여서 태풍의 힘이 약하게 되길 바라는 게 아직까지는 반영되는 것 같다. 다만 뎬무처럼 폭풍을 담당하는 신의 이름을 붙이는 걸 보면 그렇지도 않다.
태풍 이름 목록은 총 140개이고, 1년에 발생하는 태풍은 적으면 14개 (2010년), 많으면 36개(1994년)가 발생한다. 대략 30개/년으로 치면 4~5년에 한번씩 이름이 재사용된다. 그래서, 제명당할 수준의 심각한 피해를 입혔다고 해도, 태풍의 이름을 즉시 제명시키는 것이 아니라, 시간을 두며 피해 집계를 하고 다른 후보 이름을 선정하는 데 2~3년 정도의 시간이 경과한다.

2. 태풍 명칭


취소선이 그어진 이름은 제명된 태풍명이며 제명후 대체된 태풍명은 그 바로 아래 이름이다. 제출한 나라 및 지역의 영어 이름 순으로 정렬되었다.
나라
태풍 이름
1조
2조
3조
4조
5조
캄보디아
담레이
(Damrey)
콩레이
(Kong-rey)
나크리
(Nakri)
크로반
(Krovanh)

트라세
(Trases)
중국

하이쿠이
(Haikui)

펑선
(Fengshen)
두쥐안
(Dujuan)

무란
(Mulan)
북한
기러기
(Kirogi)
도라지
(Toraji)
갈매기
(Kalmaegi)


수리개
(Surigae)
메아리
(Meari)
홍콩

윈욍
(Yun-yeung)
마니
(Man-yi)
풍웡
(Fung-wong)
초이완
(Choi-wan)
망온
(Ma-on)
일본

고이누
(Koinu)
우사기
(Usagi)


고구마
(Koguma)[6]
도카게
(Tokage)
라오스
볼라벤
(Bolaven)
파북
(Pabuk)


참피
(Champi)

힌남노
(Hinnamnor)
마카오

산바
(Sanba)
우딥
(Wutip)


인파
(In-fa)
무이파
(Muifa)
말레이시아
즐라왓
(Jelawat)
스팟(태풍)
(Sepat)

누리
(Nuri)

츰파카
(Cempaka)
므르복
(Merbok)
미크로네시아
에위니아
(Ewiniar)


(Mun)
실라코
(Sinlaku)
네파탁
(Nepartak)
난마돌
(Nanmadol)
필리핀

말릭시
(Maliksi)
다나스
(Danas)
하구핏
(Hagupit)
루핏
(Lupit)
탈라스
(Talas)
대한민국
개미
(Gaemi)
나리
(Nari)
장미
(Jangmi)

미리내
(Mirinae)
노루
(Noru)
태국
프라피룬
(Prapiroon)
위파
(Wipha)
메칼라
(Mekkhala)
니다
(Nida)
꿀랍
(Kulap)
미국
마리아
(Maria)
프란시스코
(Francisco)
히고스
(Higos)
오마이스
(Omais)
로키
(Roke)
베트남

손띤
(Son-Tinh)

바비
(Bavi)
꼰선
(Conson)
선까
(Sonca)
캄보디아

암필
(Ampil)
크로사
(Krosa)
마이삭
(Maysak)
찬투
(Chanthu)
네삿
(Nesat)
중국
우쿵
(Wukong)

바이루
(Bailu)
하이선
(Haishen)
뎬무
(Dianmu)
하이탕
(Haitang)
북한

종다리
(Jongdari)
버들
(Podul)

노을
(Noul)
민들레
(Mindulle)
날개
(Nalgae)
홍콩
산산
(Shanshan)
링링
(Lingling)

돌핀
(Dolphin)

라이언록
(Lionrock)
바냔
(Banyan)
일본
야기
(Yagi)
가지키
(Kajiki)
구지라
(Kujira)
곤파스
(Kompasu)


야마네코
(Yamaneko)
라오스

리피
(Leepi)

찬홈
(Chan-hom)
남테운
(Namtheun)

파카르
(Pakhar)
마카오
버빙카
(Bebinca)

페이파
(Peipah)

말로
(Malou)
상우
(Sanvu)
말레이시아

풀라산
(pulasan)
타파
(Tapah)
낭카
(Nangka)

냐토
(Nyatoh)
마와르
(Mawar)
미크로네시아
솔릭
(Soulik)
미탁
(Mitag)

사우델
(Saudel)


라이
(Rai)
구촐
(Guchol)
필리핀
시마론
(Cimaron)



말라카스
(Malakas)
탈림
(Talim)
대한민국
제비
(Jebi)
너구리
(Neoguri)

메기
(Megi)

독수리
(Doksuri)
태국


크라톤
(Krathon)

부알로이
(Bualoi)
[7]
앗사니
(Atsani)
차바
(Chaba)
카눈
(Khanun)
미국

바리자트
(Barijat)

마트모
(Matmo)
아타우
(Etau)
[8]
에어리
(Aere)


(Lan)
베트남
짜미
(Trami)
할롱
(Halong)

송다
(Songda)
사올라
(Saola)
제명된 전체목록은 영문 위키피디아 에 잘 정리되어있다.
태풍은 일주일 이상 지속될 수 있어 같은 지역에 여러 개의 태풍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이때 발표되는 태풍 예보가 혼동되지 않도록 태풍 이름을 붙이게 되었다.
태풍에 처음으로 이름을 붙인 것은 호주의 예보관들이었다. 그 당시 호주 예보관들은 자신이 싫어하는 정치가의 이름을 붙였는데, 예를 들어 싫어하는 정치가의 이름이 앤더슨이라면 “현재 앤더슨이 태평양 해상에서 헤매고 있는 중입니다” 또는 “앤더슨이 엄청난 재난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습니다.” 라고 태풍 예보를 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 공군과 해군에서 공식적으로 태풍 이름을 붙이기 시작했는데, 이때 예보관들은 자신의 아내나 애인의 이름을 사용했다. 이러한 전통에 따라 1978년까지는 태풍 이름이 여성이었다가 이후부터는 남자와 여자 이름을 번갈아 사용하였다.
북서태평양에서의 태풍 이름은 1999년까지 괌에 위치한 미국 태풍합동경보센터에서 정한 이름을 사용했다. 그러나 2000년부터는 태풍위원회에서 아시아-태평양지역 국민들의 태풍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태풍 경계를 강화하기 위해서 태풍 이름을 서양식에서 태풍위원회 회원국의 고유한 이름으로 변경하여 사용하고 있다.
태풍 이름은 각 국가별로 10개씩 제출한 총 140개가 각 조 28개씩 5개조로 구성되고, 1조부터 5조까지 순차적으로 사용한다. 140개를 모두 사용하고 나면 1번부터 다시 사용하기로 정했다. 태풍이 보통 연간 약 30여 개쯤 발생하므로 전체의 이름이 다 사용되려면 약 4∼5년이 소요된다.
태풍위원회 회원국에는 북한도 포함되어 있어 한국어로 된 태풍 이름은 20개이다. 또한, 중국, 홍콩, 마카오는 모두 중국어 기반이므로, 중국어 기반의 이름은 30개 가까이 된다. [9]

[1] 여기에는 홍콩마카오도 포함되고, 러시아싱가포르, 인도네시아, 미얀마, 대만은 제외된다. 그 이유는 홍콩과 마카오는 중국으로부터 일국양제를 인정받아 국제기구 참여 등의 독자적인 국제관계가 가능하지만 대만은 그렇지 않고 하나의 중국 원칙에 의해 중국으로부터 압력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러시아는 태풍의 영향권이 블라디보스토크, 사할린 섬 등으로 러시아 국토 전체로 보면 미미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싱가포르와 인도네시아, 미얀마는 태풍위원회의 일원국(싱가포르와 인도네시아는 말레이시아, 미얀마는 태국, 라오스, 중국)에 인접한 나라임에도(즉 태풍 피해를 입는 나라임에도) 어째선지 태풍 이름을 짓지 않는다.[2] 2001년 26호 태풍 와메이는 '태풍' 등급까지 올라가지도 못하고 사라졌지만, 가장 낮은 위도(북위 1.5도, 적도로부터 156km)에서 형성된 열대성 저기압이라는 특이한 기록 때문에 제명되었다.[3] 실제로도 영구결번이랑 비슷한 기능을 한다. 양키즈의 2번이라고 하면 이전의 2번을 단 선수가 아니라, 이제는 데릭 지터라고 한명을 지칭는 것처럼, 매미 같은 경우 수많은 매미의 태풍이 있었지만, 일반적으로 매미라고 하면 2003년의 매미를 지칭하게 된다.[4] 일본 기상청이 북서태평양 태풍 구역의 RSMC(지역특별기상센터)로, 해당 임무를 맡고 있다.[5] 각각 , 컴퍼스를 의미한다.[6] 한국어 단어 고구마가 아니라 작은곰자리(コグマ)이다.[7] 이름으로 사용되기 전에 제명되었다. 그 이유는 인도의 신인 하누만과 이름이 똑같아서 인도 측에서 이의를 제기한 것이다.[8] 하누만과 마찬가지로 이름으로 사용되기 전에 제명되었다.[9] 다만 홍콩이 제출한 돌핀, 라이언록, 바냔은 영어에서 유래했고 마카오가 제출한 버빙카는 포르투갈어에서 유래했기에 30개 모두는 아니다. 덧붙여 홍콩과 마카오가 제출한 중국어 기반 이름은 마카오가 제출한 산바를 제외하고는 로마자 표기가 표준중국어가 아닌 광둥어 발음을 따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