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태풍)
[1]
1. 설명
위는 중앙일보에서 유튜브 공식 채널에 올린 당시 사라호 관련 보도영상. 이 영상에서는 당시 사라호로 인한 피해가 '''600억 환 = 당시 가치로 60억 원'''이라고 말하고 있다.
1904년부터 시작된 한반도의 '''기상 관측 사상 최악의 태풍''' 중 하나. 통칭 '사라호'.[5]
1959년 제14호 태풍으로, 1959년 9월 12일에 발생하여 9월 17일 3등급 세력으로 한반도를 관통하였다.[6] 아직도 노인들, 특히 경상도나 제주도 지역 노인들에게는 역대 최악의 태풍으로 기억된다고 한다. 특히 9월 17일은 '''1959년 추석'''이어서 일기예보 같은 것도 없던 시절에 아무 것도 모르고 차례 지내다가 휩쓸려버린 집도 많다고 한다. 한국에 큰 피해를 준 태풍 중엔 9월에 찾아온 것들이 많다. 차례상이고 뭐고 내버려두고 허겁지겁 도망쳐서[7] 집이 휩쓸리고 마을이 무너져 버린 후에야 태풍인 줄 알았다고. 경상도 지방의 노인들에게는 큰 트라우마로 남아서 수십 년이 지난 지금도 '사라호'라고 하면 어제 일처럼 생생하게 기억한다.[8]
당시 1분 평균 최대풍속 '''85 m/s''', 최저 기압 '''905 hPa'''로 오키나와 일대에서 전성기를 맞이한 태풍 사라는 북상하면서 서서히 약화 과정에 있었는데, 한반도 남해상에 진입하자마자 '''재발달'''경향을 보이면서 '''1분 평균 최대풍속 59 m/s의 SSHS 기준 4등급 태풍으로 발달하였고, 이후 미군은 통영 일대에 상륙하기 바로 직전 군용 비행기로 942 hPa를 실측하였다.''' 결국 SSHS 기준 3등급 태풍이라는 무시무시한 위력으로 한반도 남부[9] 를 휩쓸고 지나갔다. 게다가 일본 기상청의 자료에 따르면 10분 평균 최대풍속이 '''70 m/s'''라는 미친 수준의 풍속을 기록했다.
당시 부산에서의 최저 해면 기압으로 '''951.5 hPa'''가 실측되었다. 이 최저 기압 기록은 한반도에 영향을 미친 태풍으로 한정한다면, '''현재까지 깨지지 않았다.'''[10]
그 위력답게 어마어마한 피해를 남기고 갔다. 전국에 '''사망 849명''', 부상 2533명, 실종 206명으로 이재민 총 37만 3459명이 발생했다. 또한 선박 11,704척과 피해 주택 1만여 동, 침수 농경지 20만여ha 등의 피해를 입었고, 도로 10,226개소, 제방 1,618개소, 축대 152개소, 교량 2개소가 유실되거나 파손되었다. 이로 말미암아 생긴 재산 피해는 당시 화폐 단위로 약 1662억 원(4천 5백만 달러)이라고 하며, 2019년 1월 가치로는 '''3640억여 원'''이다.
또한 한반도에 영향을 준 태풍 중 전반적인 강도로 치면 사라가 역대 최강에 꼽히며 덕분에 옆동네인 일본도 굉장한 피해를 입었다고 한다. 당시 일본 기록에서도 최저 기압으로 2위[11] 를 기록하였다 하며 당시 99명이 사망하고 509명이 부상을 입었다. 특히 오키나와 미야코섬의 피해가 막심하여 일본에서는 미야코섬 태풍(宮古島台風)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당시 미야코 섬의 최저 해면 기압은 908.1 hPa였다 한다.
사라는 1950년대 말 이미 미국의 원조가 줄어들면서 어려움을 겪던 한국 경제에 결정타를 날린 태풍이기도 하다. 직접 태풍을 맞았던 대구와 마산 등지가 4.19 혁명에 앞서서 가담한 점, 4.19 혁명 직후 1960년 장면 국무총리의 시정 수습안에도 태풍으로 인한 경제 침체에 대한 대안이 언급되었음을 생각해보면 '''한국 현대사에도 영향을 미친 태풍'''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2. 한국(남한) 태풍계의 전투력 측정기
현재까지 대한민국에 최악의 피해를 입힌 태풍은 2002년, 자신의 모든 것을 쏟아부어 대한민국에 5조 원대 재산피해를 안긴 루사(강수량 1위)로 친다. 그러나 21세기와는 비교도 할 수 없을 정도로 좋지 않았던 경제 사정이나 열악했던 복구·지원대책 등 여러 환경 차이를 감안하면, 재산피해는 적었을지언정 그곳을 살아간 사람들에게 사라는 최악의 태풍으로 꼽기에 손색이 없다. 사실 루사보다 재산 피해가 적은 이유는 '''날아갈 재산이 없을 정도로 가난했기 때문[12] '''이고, 인명피해만 본다면 더블 스코어는커녕 트리플 스코어를 웃도니 그 끔찍함을 알 수 있다. 재해대책능력이 상승한 현대에는 저보다 더 큰 인명 피해가 날 일은 없을것이고, 있어서는 안된다. 하지만 그 때문에 '''신생태풍의 위협'''을 알리기에 가장 적절한 이름이 되다보니 태풍철에 '사라호' 키워드로 검색하면 신생 태풍과 사라를 비교하는 기사가 나온다.
2012년 8월 말 접근하던 볼라벤이 관측 초기 사라보다 더할지도 모른다고 예측되어 한반도 전체를 긴장 상태로 몰기도 했다. 하지만 한반도로 접근하면서 기세가 한풀 꺾인 데다, 태풍이 한반도에서 좀 멀었던 거도 있었고,[13] 단단히 준비한 것도 겹쳐 수도권이나 영동, 영남 쪽은 큰 피해는 없었다. 다만 기세가 꺾이기 전, 태풍의 영향권에 들어간 전라, 제주권은 그야말로 초토화된 탓에 사라보다 약한 태풍이었다고 하기가 뭐하다.[14][15]
3. 기록
위력에 비해 측정된 값이 낮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 당시에는 관측소가 현재에 비해 매우 부족했음을 감안해야 한다. 극값 자체는 낮더라도, 순간최대풍속 46 m/s 이상을 기록한 관측소가 3곳이나 있고, 부산의 42.7 m/s는 태풍 매미 때와 같은 값이다. 강수량도 상대적으로 적어 보일 수 있으나, 150 mm 이상 내린 관측소의 수를 생각하면 적다고 할 정도도 아니다. 또한 최저해면기압 '''역대 1위'''가 기록된 것을 보면 해일 피해가 상당히 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4. 여담
태풍 사라로 피해를 입었을 때, 다른 곳도 아니고 무려 '''북한'''에서 '''원조'''를 제의한 적이 있다.[22] 당시 외무부[23] 에서는 '논평할 가치도 없다'며 즉각 거절했다.#
거제 해금강의 촛대 바위가 2개가 있었는데, 하나가 이때의 강풍으로 인해 부서졌다고.
한 가지 기막힌 점은 미야코 섬 태풍이라 불릴 정도로 큰 피해를 주었던 이 태풍이 일본 입장에는 예고편에 불과했다는 것. 사라가 사라진지 이틀 뒤에 발생한 15호 태풍 '베라'는[24] 공교롭게도 일본에서 기상 관측 사상 최악의 태풍으로 꼽히는 태풍이다. [25] 파괴력이나 피해 정도로나 여러모로 사라보다 압도적으로 강력했던 태풍. 최저 기압 '''895 hPa'''[26] (일본 상륙 당시 최저 기압 929.2 hPa), 최대 순간 풍속 71.5 m/s에 4,580명이 사망하였다. 게다가 내습 경로가 하필이면 나고야 - 노토 반도 - 도호쿠(후쿠시마 - 센다이).[27] 게다가 이 지역을 자기 힘의 거의 대부분을 그대로 유지하며 정확하게 직격했다. 이 때문에 리더스 다이제스트에서 발간한 'The Great Disasters"에도 떡하니 올라가 있을 정도. 이 태풍 이후 일본은 적극적으로 태풍에 대한 대응 체계를 마련하기 시작해 1960년대 무렵부터는 어지간한 태풍에도 인명 피해를 크게 줄이는데 성공해 대 태풍 대응 능력에 있어 선진국으로 자리잡았다.[28]
게다가 1959년은 SSHS 5등급 슈퍼태풍이 사라와 베라를 포함해 무려 '''6개'''나 발생했던 해다. 특히 이들 중 9호 태풍 조앤은 이 해에 발생했던 태풍들 중 가장 강력한 위력인 '''885hPa'''를 기록했는데[29] , 이는 2020년 현재까지도 대만 기상 관측 사상 최악의 태풍으로 꼽히고 있으며, 대만을 넘어 태평양에서 발생했던 태풍들 중 가장 강력한 태풍 10위권 내에 당당히 들어가 있다.[30] 그리고 12월에는 23호 가일다(925hPa)가 필리핀을 덮쳤다.
한편 한국은 2000년대 초반 루사와 매미로 연타를 맞은 이후 대응 체계를 확립한 끝에 2010년 곤파스나 2012년 볼라벤 등의 대규모 태풍에도 큰 피해 없이 대응할 수 있었다.
당시 큰 피해를 입은 강원도 울진군[31] 피해주민에게 강원도지사가 넉넉한 지원 약속과 함께 민북지역인 김화군 근남면 마현리[32] 이주를 제안했다. 이들은 많은 시련을 딛고 지뢰밭 분지를 옥토로 만들었다. 현재 이 마을은 근남면 마현1리 재건촌으로 남아있다.[33] 뉴스
5. 사라호를 소재로 한 작품
1959년 사라호 태풍이 한반도를 휩쓸고 지나가면서 경기만 북서부에 위치한, 우리에게는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로 유명한 연평도에도 엄청난 피해를 입혔다. 당시 연평도는 조기가 굉장히 많이 잡혀서 어선 수천 척이 연평도로 몰려 들었는데, 전라도와 연평도 지역의 어부들이 조기잡이를 하러 나갔다가 그만 태풍에 휩쓸려 세상을 떠난 것이다. 지금이야 풍랑주의보, 풍랑경보 같은 경보 시스템이 잘 되었지만, 당시에는 그런 기술이 없던 터라 기상을 불안하게 여기면서도 생업을 위해 바다로 나갔다. 그러다가 예고 없이 불어 닥친 풍랑에 사망한 어부들도 많았다고 한다.
연평도 조기잡이 도중 사라호 태풍으로 순직한 어부들을 기리면서 5년 뒤 1964년 <눈물의 연평도>라는 노래가 나왔다. 노래가 나올 당시에 연평도에서 가족을 잃은 많은 사람들이 듣고 울었고, 아직도 연평도의 할머니 또는 중년층들 중 당시 가족을 잃은 사람들이 기쁠 때나 슬플 때 이 노래를 애창한다고 한다.
아래 영상은 사라호 태풍 30주기를 맞은 1989년 9월 가요무대에서 회자된 영상을 이 노래를 부른 가수 최숙자가 2012년 세상을 떠나자 추모영상으로 가요무대에서 자료 화면으로 내보낸 영상이다.
[1] 참고로, 피해 규모는 역대 최악이었지만 이 당시에는 아직 특별 재난 제도가 도입되기 전이었다.[JTWC] [2] '''대한민국 849명''', 일본 47명[3] 한국 한정 '''약 1,662억 원'''에 달하는 재산 피해를 입었다. 소비자물가지수 웹에서 제일 과거로 환산할 수 있는 시기가 '''1965년 1월'''이기에 1965년 가치로 간주하여 환산했다. 2020년 5월 가치로는 약 '''6조 6,620억 원'''이라는 엄청난 거액으로 환산이 된다.[4] 당시 대한민국 정부 1년 예산이 3900억 환='''390억 원'''이었으니 무려 1년 예산의 '''426.15 %'''에 해당하는 금액이었다.[a] 한국 한정.[5] 20세기 후반까지만 해도 태풍명 뒤에 '호'(號)를 붙이는 게 자연스러웠다.[6] 일본 기상청에서는 대한 해협 통과로 기록, JTWC에서는 통영 상륙으로 기록.[7] 차례 지낸다고 절하는데 초가집 지붕이 날아가버린 집도 있다고 한다.[8] 경남 지방 노인들에게 생애 가장 기억에 남는 추석을 꼽으라고 하면 대부분 1959년 추석을 꼽을 정도.[9] 경상도 일대[10] 그 중에 태풍 매미가 954 hPa로 거의 근접했다.[11] 일본 1위는 1977년 9호 베이브, 일본명 오키노에라부 태풍, 907.3 hPa.[12] 6.25 전쟁이 끝난지 6년밖에 되지 않아서 전쟁 피해 수복도 제대로 못한 열악한 상황이었으니... 어찌보면 당연한 결과.[13] 경로를 봐보면 역대 강력했던 태풍들과는 달리 한반도 지면에 상륙은 커녕 서해안 근처만 돌다갔다.[14] 제주도는 사라의 가항반원이었지만 볼라벤에게는 위험반원이었다.[15] 참고로 볼라벤 + 덴빈의 피해 규모는 역대 4위, 둘로 나누어도 역대 7위급에 육박했다. 그나마 다행인 점은 막대한 피해를 주고 간 볼라벤이었지만 사라의 기록은 깨지 못했다는 것.[16] 당시 풍속 '''역대 1위'''였다. 지금은 순위가 많이 떨어졌지만, 여전히 매우 강한 바람이다.[17] 10분 평균 풍속[18] 제주, 전라, 충청, 경기[19] 경상, 강원[20] 9월 15일~18일 누적[21] 최저해면기압 '''역대 1위'''이다.[22] 물론 당시 북한이 상대적으로 더 잘 살았음은 부정할 수 없는 불편한 진실이긴 하다.[23] 당시에는 통일부가 없었기 때문이다.[24] 이세만 태풍은 일본에서 붙인 이름이다.[25] 이 해는 기해년이었는데 똑같이 기해년인 2019년은 대한민국은 영향 태풍 '''7개'''로 1959년과 '''공동 1위''', 일본은 60년 만에 1년에 별도로 이름이 붙은 태풍이 '''2개'''(1959년은 사라•베라#s-6, 2019년은 파사이#s-3, 하기비스#s-5)인 해였다. 게다가 본문에도 서술되어 있듯 1959년은 5등급 슈퍼태풍이 무려 '''6개'''나 발생했다.[26] 허리케인 카트리나나 태풍 매미도 관광 보낼 수준의 위력이었다. 만약 이 태풍이 사라의 경로 그대로 북상했다면 대한민국은 국가 막장 테크를 탔을지도 모른다.[27] 일본 최대의 인구 밀집 지역인 간토 지구를 비롯한 도카이도 벨트가 통째로 포함된다.[28] 참고로 이것도 어느날 뚝딱 이루어진 게 아니다. 1960년대 내내 일본은 이상기후에 시달렸고 토네가와(강)의 철둑이 홍수로 막혀버려서 간토 일대가 물바다가 된 것도 이 무렵이다. 일본은 베라호 태풍으로부터 10여 년을 더 시달리고 나서야 겨우 치수 안정기에 접어든다.[29] 대만 상륙 당시에도 '''900hPa'''였다. 물론 인명피해는 사망 11명, 부상 74명으로 그쳤지만 3,308채의 가옥이 파괴되었다.[30] 1위는 1979년 태풍 팁이다.[31] 당시엔 강원도, 1963년 경상북도 편입[32] 현재의 철원군 근남면 마현리로, 김화군은 철원군과 1963년 임시로 통합되었다. 지금의 와수리와 산양리 사이에 있는 큰 분지 안 마을이며, 재건촌이라고 불린다. 이때 이주한 마을은 마현1리[33] 이후 마현리에는 마현2리에 1966년 전역군인 가족이 입주, 마현1리에 1980년 군인가족이 입주하며 꽤 큰 민북마을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