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콘느
1. 개요
바로크 시대의 춤곡 형식이다. 4소절에서 8소절의 화성모형을 반복하는 형태를 가진 곡이다. 오스티나토와는 달리 베이스를 크게 훼손하지 않는 틀에서 선율과 베이스를 변화시킬 수 있고, 박자, 조성, 성격까지도 변주 가능하다. 또한, 바로크시대 작곡가들 사이에 베껴먹기가 얼마나 성행했는지를 잘 보여주는 음악형식이기도 하다. 샤콘느란 것은 춤곡에서 유래한 형식이므로 일정한 주제가 있는데, 이 주제가 다 비슷비슷하거나 작곡가들이 똑같은 주제를 돌려썼기 때문이다.
바로크 시대 에는 파사칼리아와 잘 구분되지 않아 '''i-v6-VI(iv6)-V'''[2] 진행도 사용되었다. 둘 다 같은 화성진행을 하나 두고 멜로디를 변주하는 방식으로는 같다. 하지만 대체로 I-V-vi-IV-V (단조에서는 i-V-VI-iv-V) 화성진행으로 자주 작곡되었다.[3] 17세기 후반부터 현재의 샤콘느 작곡 형식이 정립되었다. 현재 기록된 최초의 I-V-vi-IV-V 화성진행 주제는 뒤에서 설명된 알레산드로 피치니니의 것이 맞지만 이 주제는 라 폴리아나 카나리오스와 같은 스페인 무곡 기반의 곡들과 마찬가지로 구전된 것으로 추정된다.
2. 샤콘느는 슬픈 음악이다?
달리 샤콘느는 기악곡만 있는 것이 아니며 샤콘느 형식으로 된 성악곡들도 있다. 있는 정도가 아니라 많다(...). 또 샤콘느를 흔히 슬픔과 관련지어 이해하는 경우가 많은데 '''아무 상관도 없다.''' 애초에 샤콘느는 그냥 느린 4분의 3박짜리 무곡이다. 좀 어두운 단조풍의 샤콘느들이 현대에서 자주 연주되는 것일뿐, 샤콘느 중에서도 4분의 3박을 지키며 밝은 분위기를 연출하는 곡들이 바로크 시대에 넘쳐난다는 점을 상기하자. 대표적인 반례는 미셸 리샤르 드 랄랑드의 샤콘느인 《베르사유의 분수》(Les Fontaines de Versailles).
3. 유래
유래는 남아메리카, 신대륙 발견 이후 16세기 후반에 남아메리카에서 스페인으로 들어왔다고 한다. 이 형식은 변주곡 형식으로 작곡되었으며, 후기 바로크 시대에 가서는 여러가지 주제형태가 생겨난다.
국내에서는 인지도가 없다시피 하지만 마우리치오 카자티 (Maurizio Cazzati, 1616~1678)의 샤콘느도 인기가 고음악/클래식 팬들 중에서 급상승 중. 함축된 형태의 머니코드이기에 듣기에 꽤 좋고, 다른 샤콘느들보다 경쾌하다. (!) 듣기. 연주는 L'Arpieggiata.[4]
4. 대표적 작품들
4.1. 바흐의 샤콘느(Partita No.02 BWV.1004)
샤콘느(바흐) 문서 참조.
4.2. 비탈리의 샤콘느
샤콘느(비탈리) 문서 참조.
4.3. 이루마의 샤콘느
기타편곡도 있다.
4.4. 기타 샤콘느 작품목록
- 알레산드로 피치니니(Alessandro Piccinini; 1566–1638경)
- 차코나 사장조(1623) - 아래에 소개하는 곡들과 함께 들어 보면 '어?' 소리가 절로 나올 것이다(...).
- Mariona alla vera spagnola(1639)
- 안니발레 그레고리(Annibale Gregori; ?–1633.)
- (1635) - 동영상에서는 코르넷으로 연주하고 있으나, 원곡은 성악곡이라 한다.
-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
- Zefiro torna, e di soavi accenti(1632) - 성악곡이다. 몬테베르디의 작품들을 이야기할 때 빼 놓으면 섭섭한 곡. 밝은 곡이지만, 잘 들어보면(게다가 가사까지 알고 들으면) 마냥 신나는 노래는 아님을 알 수 있다.
- 엔느몽 골티에(Ennemond Gaultier; 1575–1651.)
- 조반니 지롤라모 캅스베르거(Giovanni Girolamo Kapsberger; 1580–1651)
- 니콜라 발레(Nicolas Vallet; 1583경–1642경.)
- 후안 아라녜스(Juan Arañés; ?-1649경.)
- (1624) - 성악곡이다.
- 하인리히 쉿츠(Heinrich Schütz; 1585–1672.)
- Es steh Gott auf(SWV 356)(1647) - 성악곡이다.
- 안드레아 팔코니에리(Andrea Falconieri; 1585/86–1656)
- 프란체스카 카치니(Francesca Caccini; 1587–1641)
- 타르퀴니오 메룰라(Tarquinio Merula; 1594/95–1665)
- Su la cetra amorosa(1633) - 성악곡이다.
- Chi prend'amor a gioco(1635) - 성악곡이다.
- (1637)
- (1637, A=440hz 버전)
- 제르맹 피넬(Germain Pinel;1600경-1661)
- 조반니 펠리체 산체스(Giovanni Felice Sances; 1600-1679경)
- Accenti queruli spiegate all'aure(1633) - 성악곡이다.
- Lagrimosa beltà(1633) - 성악곡이다.
- 자크 샹피옹 드 샹보니에르(Jacques Champion de Chambonnières; 1601–1672)
- 베네데토 페라리(Benedetto Ferrari; 1603/4–1681)
- Voglio di vita uscir(1637) - 성악곡이다.
- Amanti, io vi sò dire(1641) - 성악곡이다.
- 미셸 드 베튄(Michel de Béthune; 1607-?)
- 샤코네트 - 로베르 드 비제의 사단조 곡(첫번째 것)과 비교하여 들어 보자.
- 안젤로 미켈레 바르톨로티(Angelo Michele Bartolotti; 생몰년 미상)
- 마시(Le Sieur de Machy; 17세기 전반에 활동)
- 프란체스코 코르베타(Francesco Corbetta; 1615경-1681)
- 자크 드 생뤽(Jacques de Saint-Luc; 1616-1710)
- 요한 하인리히 슈멜처(Johann Heinrich Schmelzer; 1623경–1680)
- 자크 갈로(Jacques Gallot; 1625경–1690 이후)
- 루카스 루이스 데 리바야스(Lucas Ruiz de Ribayaz; 1626 – 1677 이후.)
- 샤를 무통(Charles Mouton; 1626경–1710)
- 샤콘느 가단조(1680경)
- La belle espagnole(1680경) - 로베르 드 비제의 라단조 곡과 비교하여 들어 보자.
- 요한 카스파르 케를(Johann Caspar Kerll; 1627–1693)
- 장-앙리 당글베르(Jean-Henri d'Anglebert; 1629–1691)
- 조반니 바티스타 비탈리 (Giovanni Battista Vitali; 1632–1692)
- 장 바티스트 륄리
- Chaconne des Scaramouches(1670) - 이 곡은 로베르 드 비제가 테오르보 곡으로 편곡한 바 있다.#
- 오페라 '파에톤' 중에서(1683)
- Qu'une injuste fierté(1686) - 성악곡이다.
- 장-니콜라 조프루아(Jean-Nicolas Geoffroy; 1633–1694)
- 에자이아스 로이스너(Esaias Reusner; 1636-1679)
- 필리프 야콥 리틀러(Philipp Jacob Rittler; 1637경-1690)
- 베르나르도 스토라체(Bernardo Storace; 1637경 -1707경) - Ciaccona in C 1664
- 요한 크리스토프 페첼(Johann Christoph Pezel; 1639–1694)
- 가스파르 산스(Gaspar Sanz; 1640–1710)
- 하인리히 이그나츠 폰 비버(Heinrich Ignaz Franz Biber; 1644–1704)
- 앙트완 포르크레(Antoine Forqueray; 1647-1745)
- 존 블로(John Blow; 1649-1748)
- 니콜라 마티스(Nicola Matteis; 1650경–1714경.)
- 요한 크리거(Johann Krieger; 1651-1735)
- 게오르크 무파트(Georg Muffat; 1653–1604)
- 요한 파헬벨
- 차코나 다장조(1690년대)
- 차코나 다장조(1699)
- 차코나 라장조(1699)
- 차코나 라단조(연도미상)
- 차코나 바장조(연도미상)
- 차코나 바단조(연도미상) 바얀(악기)으로 한 연주도 있다. 원곡대로 파이프오르간으로 연주했을 때보다도 비감하다. #
- 아고스티노 스테파니(Agostino Steffani; 1654–1728)
- Ogni core può sperar(1686) - 성악곡이다.
- 필립 하인리히 에를레바흐(Philipp Heinrich Erlebach; 1657–1714)
- 가스파르 르 루(Gaspard Le Roux; 1660경-1707)
- 엘리자베스 자케 드 라 게르(Élisabeth Jacquet de la Guerre; 1665–1729)
- 안토니오 비발디
- 현을 위한 협주곡 C장조 3악장 - RV 114
- 요한 야코프 드 뇌빌(Johann Jacob de Neufville; 1684-1712)
- 조지 프레드릭 헨델
- 샤콘느 사장조 - HWV 435
[1] [ʃakɔn\], 마지막 'e'는 비모음화를 방지하기 위한 묵음자이다.[2] 화성학을 잘 모르는 위키러들을 위해 설명하자면, 예를 들어 샤콘느가 a단조라고 가정하면, '''i''', 기본음 1도, 즉 라, '''v6''', 기본음의 5도(미)의 1전위(6도), 즉 솔, '''VI''', 기본음의 6도 즉 파, '''V''', 기본음의 5도 즉 미. 그러므로 라→솔→파→미의 하행진행이 형성된다. 비탈리의 샤콘느가 대표적.[3] 다만, 바흐의 샤콘느는 제외.[4] 이 양반들은 현대인들이 듣기에 좋게 고음악들을 재해석해 연주하는 것으로 유명하다.[5] 프랑수아 쿠프랭의 큰아버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