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674
1. 노선 정보
2. 개요
신길운수과 보광교통에서 공동 배차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28km다.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2017년 2월 10일부터 17일까지 163번이 다니던 '연세대학교 - 연희104고지 - 성산2교 - 성산대교 - 신목동역 - 한신청구아파트 - 목동YMCA → 목동2단지 → 목동파라곤 → 목동5단지 → 이대목동병원 → 목동YMCA' 구간을 분리, 신설하는 안건에 대해 의견 조회를 받았다. 관련 공문 관련 게시물
- 안건이 확정되어 2017년 3월 25일에 신설하였다. 관련 공지사항 신길운수는 기존 8663번 운행분[3] 을, 보광교통은 8001번 운행분을 가지고 왔다. 노선 신설안에서는 신월동 방향이 목동3단지에서 바로 곰달래로로 빠질 예정이었으나, 실제로는 목동파라곤과 목동5단지C상가를 들른 후 곰달래로로 가는 걸로 바뀌어 신설됐다. 그 덕에 목동파라곤과 화곡동을 오가기 훨씬 쉬워졌다. 관련 공지사항
- 2017년 4월 17일에 막차가 22:30에서 23:00로 늦춰졌다. 관련 공문
- 2020년 9월 1일을 기해 평일/토요일 각각의 배차간격이 10~19분/13~16분에서 10~15분/12~18분으로 조정되었다.(단, 전일에 걸쳐 1일 총 운행횟수는 변동 없음)관련 공문
4. 특징
- 일반버스 11대, 저상버스 1대를 투입하여 운행한다. 저상버스는 보광교통 소속.
- 곰달래로를 거의 완주하다시피 하는 노선인데(곰달래로의 신월동 부분을 제외한 전 구간 운행), 이는 2004년 개편 이전에 있었던 구 325번과 구 328-1번 이후 상당히 오랜만에 등장한 경우다.[4] 덤으로 2004년 개편 당시 현 노선과 비슷한 6713번이라는 노선을 개통하려다 보류됐는데, 이를 대체한다고 볼 수 있다.
- 보광교통은 2004년 7월 1일 개편 후 처음으로 운행하게 된 간선버스 노선이다. 물론 은평구 구간은 영업운행하지 않으며[5] 운행 종료 후 은평공영차고지로 공차회송한다. 신길운수는 운행 시작 전, 종료 후 부천 차고지로 가스 충전을 하러 간다.[6] 그래서인지 막차 시간대는 주로 보광교통에서 운행한다. 왜냐하면 신월1동 ~ 상동 공차회송[7] 보다 신월1동 ~ 은평공영차고지 공차회송[8] 이 더 짧기 때문이다.
- 신월1동 본사 기점 노선이지만, 신길운수 소속 차량들의 관리는 부천 영업소에서 한다. 즉, 양사 모두 공차회송한다. 본사에서는 단순 중간 휴식만 한다.
- 신월1동 기점에서 운행을 시작하지만, 강서한방병원 정류장부터 승객을 받기 때문에 인가상 기점은 이쪽으로 되어 있다.
- 최초로 BLU에 DIN체 글꼴을 적용한 노선이다. 전/후면 모두 동일하며, 같은 날에 번호가 바뀐 173번은 BLU는 기존 글자체 그대로, 도로 쪽 측면 노선번호 스티커만 DIN체로 변경됐다.[9]
- 주말에 연세로 차없는 거리 시간대이거나 행사를 할 때에는 봉원고가 하단에서 회차한 후 연세대학교 정문으로 간다. 단, 연세대학교정문, 세브란스병원 정류장은 이대후문 방향으로 갈 땐 원래 가로변 정류장에 정차하므로, 우회운행 시간대에도 똑같이 이 곳에서 하차시킨 뒤 이대후문까지 사실상 공차로 운행한다. 이후 구간은 임시 정류소로 공식적으로 지정되지도 않아 승하차 가능여부는 알 수 없다. 실제로 다른 노선들과 달리 우회 안내문에 임시 정류소 표시 자체가 없다.
- 목동4단지.목동종합운동장과 목동파라곤, 목동5단지C상가.목동운동장북문 정류장에서는 신월동방향과 연세대 방향을 잘 보고 타야 한다.
- 목동종합운동장에 가려면 목동파라곤 정류장이 더 가깝다.
- 신월동 방향 차량을 타고 신목동역으로 간다면 절대 신목동역에서 내리지 말고 신목동역 1번 출구에서 내릴 것.
- 신길운수는 모든 노선들과 만나는데, 보광교통은 7017번만 서로 만난다.
4.1. 일평균 승차인원
- 2017년 자료는 개통일인 3월 25일부터 12월 31일까지 282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출처: 서울 열린데이터 광장
4.2. 노선
5. 연계 철도역
- [image]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촌역[10]
- [image] 서울 지하철 6호선: 마포구청역
- [image] 서울 지하철 9호선: 신목동역
- [image]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신촌역
[1] 운수사별로 절반씩 인가[2] 토요일 10대(신길운수 6대 / 보광교통 4대) / 공휴일 8대(신길운수 5대 / 보광교통 3대) 운행[3] 정확히는 기존 노선의 예비차로 정규 운행 차량이 없었으며, 실제로는 604번에 있던 현대 신차들을 가져오고 대신에 604번에는 구 8663번 출신 차량이 들어갔었다.[4] 곰달래길을 완주하려면 서서울호수공원에서부터 들어와야만 되는데 이 노선은 신길운수 차고지에서 출발하므로 완주는 아니다. 실제 남은 구간에 653번이 정차하는 보람쉬움아파트 정류장도 있다.[5] 보광교통 소속 아웃 은평 노선으로는 2번째다.(첫 번째는 용산구로 다니는 0017번)[6] 양천공영차고지는 신길운수가 오후 시간에만 충전하며, 이 시간 외에는 모두 10km 넘게 떨어져 있는 부천으로 간다. 반면 신월1동~은평차고지는 9km 남짓 떨어져 있다.[7] 예전에 다녔던 604번 저상도 그러했다. 약 16km정도로, 무려 동성교통의 공차거리(15km)보다도 길다! 차이라면 낮에 가스를 넣느냐의 차이다.[8] 10km 살짝 안된다.[9] 현재 아진교통에서 기존 BLU를 DIN체로 개조중이다. 그리고 신차 출고시 기본 BLU로 전향한 회사들도 DIN체를 많이 사용하는 편.[10] 신촌아트레온 및 연세로.문학의거리 하차.(두 정류장 모두 연세로 차량통제가 없는 경우. 연세로 차량통제 시에는 2호선 신촌역을 가지 않으니 주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