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군
1. 小軍
말 그대로 규모가 '작은 군대' 또는 '작은 군세, 군사력'.
2. 만화 나우의 등장인물
박성우 작가의 만화 나우의 등장인물. 귀왕모의 제자로, 귀왕모의 무공인 귀모신공을 익히고 있다. 일단은 레귤러 캐릭터이지만 초반의 나름 간지넘치던 난입씬 이후로 점점 대접이 안습해진다.
노예 상인에게 잡혀 있던 걸 귀왕모가 구해주었고, 그걸 계기로 귀왕모의 제자가 되었다. 원래는 백랑자견이 될 뻔 했지만 귀모신공에 자질이 적합했던 듯하다. 참고로 여자같이 생겼지만 '''남자다.''' 귀왕모가 남자를 좋아하지 않아서 여장남자로 만든 것.[1]
자질은 있었지만 초령을 놓친 것을 아까워한 귀왕모가 계속 소군과 초령(백랑견)을 비교했고, 그것이 크게 컴플렉스로 작용한 듯하다. 임철심의 부탁으로 약재를 구하러 간 초령을 습격하지만 초령이 싸움을 거부하자 약초꾸러미를 박살내버려 전투에 돌입. 그리고 처절하게 털리고 초령이 임철심에게 물어다 준다. 이후 내상을 이유로 어쩔수 없이 비류, 아린, 초령 등과 함께 지내게 됐을 때 까칠하게 굴었지만 초령과 아린의 친절한 태도에 서로 친해지지만 모종의 이유로 모용린에게 포박을 당한채로 버려지고 무림인들이 비류를 찾으려는 일행을 마두로 오해한 나머지 위기에 처하나 귀왕모가 구해주고, 초령도 같이 끌고간다. 귀모궁에서 포박된 초령을 구해주려 하지만 과거의 악몽이 떠오른 초령이 공격하자 누가 더 위인지 끝장을 보자며 전투에 돌입하다가 이내 제압당하고 귀왕모가 초령을 다시 조련시키고자 공격하자 시랑과 함께 막아서지만 되려 떡실신. 사건이 끝나고 귀모궁으로 들어가 귀왕모 휘하에서 다시 귀모신공을 수련한다.
그 와중 자신이 죽을 날을 짐작한 귀왕모가 영약을 남겨주자 뭔가 낌새[2] 를 눈치채고 귀모궁으로 달려가지만 이미 귀왕모는 숙청당해서 마염철에게 사망. 당연히 격분하여 마염철에게 덤비지만 당연하게도 떡실신당한다. 악인인 귀왕모였지만 사부로서는 썩 나쁘지 않았던지, 귀왕모가 당한 후에는 귀왕모의 복수를 위해 귀왕모가 남겨준 영약을 섭취하고 그대로 캐릭터가 증발하여 등장하질 않다가, 명왕신교 본진에서 마염철을 상대하던 연아린을 막아세우며 자신이 상대한다고 재등장한다. 마염철과의 대결에서 그간의 설움을 폭발시키며 맹활약하나 싶더니 마염철이 일부러 소군의 초식을 허용하면서 패배.[3] 이 후 진실을 알고 라크슈미에게 달려들지만 역시 떡실신. 결국 본 작품에선 처음부터 끝까지 전패를 기록한 유일한 아군 레귤러 캐릭터로 마치 전작의 적운을 보는 듯 하다.
여담으로 설정화에 따르면 호박팬티(드로워즈)를 안에 입고 있다(…)[4]
3. 小君
고려왕조의 지위. 국왕의 서자 출신으로 태어나 출가한 왕자를 이른다.
고려 초기엔 왕자에게 군호를 봉했다. 자체적으로 제작된 군호를 수여했는데, 소군은 여기서 파생된 것이다. 임금과 첩의 자식이나 미약한 왕족을 출가시켜 승려로 만든 뒤, 이들을 소군으로 부른 것으로 공식적인 군호는 아니다. 고려는 문종 대부터 군호를 폐지하고 오등작을 봉했다. 하지만 소군 칭호는 계속 쓰였는데 명종의 소군들이 지나치게 사치스러워 비난받았다는 기록이 고려사에 남아있다.
대각국사 의천[5] 이나 원경국사 충희[6] , 총명국사[7] 같은 정통 왕가 출신 승려는 당연히 소군이 아니다.
유명한 소군으론 신혈소군[8] 이 있다.
[1] 이 때문인지 박성우작가의 어시스턴트들인 스튜디오 제로에서 만든 동인지에서 비류와 섹스하는 BL동인지도 있었다.[2] 평소와 달리 그나마 다정다감한데다 매화난죽이 영약을 설명해주는데 귀왕모가 매우 아끼는 보물이라며 아무리 제자라도 그런건 안준다고 말하자 의문이 확신으로 바뀐다.[3] 잘 보면 귀모궁에서보다 더 강해졌다고 놀라기만 하지 유효타를 허용하지 않는다.[4] 대체 어디서… 서역상인에게서 구한걸까.[5] 문종과 인예태후의 아들.[6] 인종과 공예태후의 아들.[7] 희종과 성평왕후의 아들.[8] 신혈사에 있는 소군이란 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