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공무원/계급
[image]
1. 태극 육각수
육각수 5개가 모인 태극육각수이며 소방조직 내 0.1%(50~60명/5만명)인원인 최고위급이다. 경찰로 따지면 태극 무궁화급, 군인으로 치면 장성급 장교이라고 보면 된다.56,000여명의 소방공무원 소방준감 이상의 간부는 60명이 안 된다.
1.1. 소방총감 (4개)
1명만 존재한다.
1.2. 소방정감 (3개)
4명이 존재한다.
- 대한민국 소방청 차장
- 서울소방재난본부장
- 경기도소방재난본부장
- 부산소방재난본부장
1.3. 소방감 (2개)
13명이 존재한다.
- 소방청 기획조정관
- 소방정책국장
- 119구조구급국장
- 중앙소방학교장
- 중앙119구조본부장
- 인천소방본부장
- 충남소방본부장
- 전남소방본부장
- 경북소방본부장
- 경남소방본부장
- 강원소방본부장
- 국방대학교 파견요원 1명
- 청와대 파견요원 1명
1.4. 소방준감 (1개)
40여명이 현재 소방준감 보직 하에 있다.
- 소방청 대변인
- 119종합상황실장
- 운영지원과장
- 소방정책과장
- 기획조정관실 예산담당관
- 119구조구급국 119구조과장
- 행정안전부 장관 소방정책관
- 세종연구소 연구위원 1명
- 충북소방본부장
- 대전소방본부장
- 전북소방본부장
- 광주소방안전본부장
- 대구소방안전본부장
- 울산소방본부장
- 경기북부소방재난본부장
- 제주소방안전본부장
- 세종소방본부장
- 창원소방본부장[3]
- 서울소방학교장
- 경기소방학교장
- 서울종합방재센터장
- 서울소방재난본부 과장 4명 (방면본부장)
- 경기소방재난본부 과장 6명
- 수원소방서장
- 용인소방서장
- 성남소방서장
- 고양소방서장
- 부산소방재난본부 과장 4명 등
2. 육각수
2.1. 소방정 (4개)
총원은 400명 내외이다.
- 중앙119구조본부 수도권119특수구조대장
- 중앙119구조본부 영남119특수구조대장
- 중앙119구조본부 호남119특수구조대장
- 중앙119구조본부 충청강원119특수구조대장
- 국무조정실 안전환경담당관실 실무담당자 (2명)
- 행정안전부 상황담당관실 상황담당관
- 행정안전부 소방상황센터 소방상황센터장
- 행정안전부 규제개혁법무담당관실 실무담당자
- 대한민국 소방청 소방정책과 실무담당자 (2명)
- 대한민국 소방청 소방제도과 실무담당자
- 대한민국 소방청 방호조사과 실무담당자
- 대한민국 소방청 소방산업과 실무담당자
- 대한민국 소방청 119구조과 실무담당자
- 대한민국 소방청 119구급과장
- 대한민국 소방청 119생활안전과장
- 대한민국 소방청 운영지원과 서무계장
- 대한민국 소방청 기획재정담당관실 실무담당자
- 대한민국 소방청 119종합상황실 상황담당관 3명
- 중앙소방학교 교육지원과장
- 중앙소방학교 인재개발과장
- 국립소방연구원 연구지원과장
- 창원소방본부장
- 대구/인천/광주/대전/울산/세종/강원/충북/충남/전북/전남/경북/경남/제주소방본부 과장
- 시, 군 단위 소방서장[4]
- 지방소방학교장 등
- 소방간부후보생의 일반적인 종착역, 군대로 치면 사관학교출신 대령
- 20대 초반에 임용된 소방사출신들중 손에 꼽히면 진급하는 자리
2.2. 소방령 (3개)
- 소방청 계장
- 중앙119구조본부 소속 화학구조센터장, 인명견센터장,
- 행정안전부 중앙재난상황실 담당요원
- 소방서 과장
- 소방서 현장대응단장
- 소방서 직할 항공대장
- 세종소방본부 현장대응단장 등
- 사실상 소방사 출신들의 진급 마지노선
2.3. 소방경 (2개)
2.4. 소방위 (1개)
- 119안전센터 부센터장
- 119안전센터 팀장
- 지역대장
- 안전관
- 소방서 주임 등
3. 관창 육각수
육각수를 관창과 호스가 받치고 있는 형태다. 구형 계급장은 횃불 모양이었다.
3.1. 소방장 (4개)
- 소방서 부장 등
3.2. 소방교 (3개)
- 소방서 반장
- 소방대원 등
3.3. 소방사 (2개)
- 소방대원
- 센터서무
- 내근 1호차
- 내근의 각과의 막내서무
3.4. 소방사시보 (1개)
소방사에 임용되기 전 거치는 견습 계급에 해당된다. 기간은 6개월.
3.5. 의무소방대
소방사시보 계급장과 육군 병 계급장을 합치면 의무소방 계급장이다.
의무소방원의 계급은 이방, 일방, 상방, 수방, 특방 등이 있으며, 전역 후 소방공무원으로서의 특별채용의 기회가 주어지게 된다.[5] 특방[6] 은 1994년에 폐지된 일반하사와 동일한 개념으로, 소정의 교육과정을 이수해야 하며 창설 이래 적용된 적은 한번도 없었다는 사실. 사실 계급이나 체계를 의경체계를 그대로 들여왔기때문에 특방이 만들어졌다.
2013년부터 계급별 복무기간이 이방 3개월, 일방 7개월, 상방 7개월, 수방 나머지 기간으로 변경되었다. #
2019년부터 계급별 복무기간이 이방 2개월, 일방 6개월, 상방 6개월, 수방 나머지 기간으로 변경되었다.
4. 역사
- 1949년 복제 개정 : 소방감은 무궁화 2개, 소방사는 1개, 그리고 소방사보는 잎사귀 1개, 소방원은 계급장이 없었다.
- 1958년 복제 개정 : 소방원은 잎사귀 1개를 가로로, 소방사보는 잎사귀 1개를 세로로 붙히는 것으로 바뀌었다.
- 1960년 복제 개정 : 소방령, 소방감, 소방사는 무궁화 3~1개로 바뀌었다.
- 1969년 복제 개정 : 소방총경, 소방경정, 소방경감, 소방위는 무궁화 4~1개, 소방사, 소방장, 소방원은 잎사귀 3~1개로 바뀌었다.
- 1978년 복제 개정 : 소방정감, 소방감은 관창 3개가 교차하는 정육각형 2~1개, 소방정, 소방령, 소방경, 소방위는 관창 2개가 교차하는 정육각형 4~1개, 소방장, 소방교, 소방사는 관창 2개가 교차하는 삼각형 3~1개로 바뀌었다.
- 1982년 복제 개정 : 소방정감, 소방감은 태극 중심으로 월계수로 감싼 터빈무늬가 배치된 큰 정육각형 2~1개, 소방정, 소방령, 소방경, 소방위는 태극 중심으로 터빈무늬가 배치된 정육각형 4~1개, 소방장, 소방교, 소방사는 관창이 받치는 불꽃 모양 3~1개로 바뀌었다.
- 1985년 복제 개정 : 소방장, 소방교, 소방사, 소방사시보의 계급장이 관창이 받치는 불꽃 모양 4~1개로 바뀌었다.
- 1996년 복제 개정 : 소방총감이 신설되어 소방감 계급장을 3개 배열한 형태를 사용했다.
- 2001년 복제 개정 : 소방총감, 소방정감, 소방감은 태극육각수 3~1개, 소방정, 소방령, 소방경, 소방위는 육각수 4~1개, 소방장, 소방교, 소방사, 소방사시보는 관창이 받치는 횃불 모양 4~1개로 바뀌었다.
- 2002년 복제 개정 : 의무소방이 발족되어 소방사시보 계급장 아래에 국군 병 계급장을 달도록 하였다.
- 2005년 복제 개정 : 소방준감 계급이 신설되어 소방총감, 소방정감, 소방감, 소방준감의 계급장이 태극육각수 4~1개로 조정되었다.
- 2009년 복제 개정 : 소장, 소방교, 소방사, 소방사시보 계급장이 관창육각수 4~1개로 바뀌었고 이에 따라 의무소방 계급장도 횃불에서 관창육각수로 바뀌었다.
5. 일본의 소방 계급
- 소방청장관 消防庁長官(しょうぼうちょうちょうかん) Commissioner of the Fire and Disaster Management Agency
[image]
- 소방총감 消防総監(しょうぼうそうかん) Fire Chief
[image]
- 소방사감 消防司監(しょうぼうしかん) Deputy Chief
[image]
- 소방정감 消防正監(しょうぼうせいかん) First Assistant Chief
[image]
- 소방감 消防監(しょうぼうかん) Assistant Chief
[image]
- 소방사령장 消防司令長(しょうぼうしれいちょう) Battalion Chief
[image]
- 소방사령 消防司令(しょうぼうしれい) Fire Captain
[image]
- 소방사령보 消防司令補(しょうぼうしれいほ) Fire Lieutenant
[image]
- 소방사장 消防士長(しょうぼうしちょう) Fire Sergeant
- 소방부사장 消防副士長(しょうぼうふくしちょう) Assistant Fire Sergeant
- 소방사 消防士(しょうぼうし) Fire Figh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