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손녕
蕭遜寧
(?~997)
1. 개요
거란(요나라)의 장군으로 본명은 소항덕(蕭恒徳) 또는 소긍덕(蕭恆德)이다. 한국에서 부르는 소손녕의 손녕(遜寧)은 소항덕의 자로, 고려사에서 본명이 아닌 소손녕으로 나오기에 이 이름으로 더 잘 알려졌다.[1] 가족 중에 형으로 3차 여요전쟁에 요나라군 사령관이었던 소배압이 있다.
2. 황실의 사위
983년 황실의 공주인 월국공주를 아내로 맞아 황실의 부마를 했으며 이후 동경유수에 올랐다. 그래서 소배압과 소손녕은 형제이자 동서이기도 한 셈. 월국공주는 경종과 승천황태후 사이의 딸이다. 따라서 성종의 누이이다.
3. 군사 활동
소손녕도 형 소배압처럼 송나라와의 전쟁에서 경력을 쌓았다. 연운 16주를 둔 986년 송과의 전쟁에서 부대의 선봉에 서서 성을 함락도 했으나 화살에 맞아 부상을 입었다고 한다. 당시 요성종의 어머니로 섭정이었던 소태후는[2] 직접 소손녕을 문병하고 약까지 직접 내려주었다. 회복한 뒤에도 송과의 전쟁에서 계속 선봉에 서 전공을 세워 소태후의 총애를 받았다.
993년 여요전쟁이 시작되면서 군대를 이끌고 고려에 쳐들어왔다. 봉산에서 고려군을 격파하고 남하하다가 안융진에서 대도수 등의 분전으로 패하고 서희의 담판으로 철군했다. 이 때 소손녕은 자신의 부대가 '''80만'''이라고 허풍을 쳤지만 사실 거란의 군 편제상 소손녕의 부대가 그 정도의 대군이었을 리는 없다. 정확한 병력은 사서에 없지만 거란군은 원정을 하면 총사령관급인 '도통'을 두는데 소손녕은 이 당시 도통이 아니었고 도통이 없는 거란군은 대개 기병 6만 미만이니 많아야 6만 내외로 추정한다고.[3][4]
사실 이 당시 거란군은 이렇다 할 영토나 요충지도 점령하지 않고서 다짜고짜 "항복하라"는 공갈포를 쳤지만 이때 소손녕의 이 말이 허풍임을 서희 혼자만 간파했고 고려 조정은 대부분 서경(평양) 이북의 땅을 떼어 주고 항복하자는 쪽으로 기울고 있었다. 그러나 때마침 안융진에서 고려군이 승전을 거두자 분위기가 바뀌게 되었고, 마침내 서희와 소손녕 사이에서 담판이 지어지게 되었다. 그 결과 서희 항목이나 여요전쟁 항목에 나온 것처럼 강동 6주라는 요새지를 고려에 넘겨주어 이후의 전쟁에서 거란군이 고전하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서희의 담판에 납득해 목적을 이뤘다고 생각해서 서희에게 이레 동안 잔치를 베풀며 낙타 10두, 말 100필, 양 1천 마리, 비단 5백 필이라는 엄청난 선물을 줬다니, 아무래도 문무를 겸비한 형과는 달리 나름 무용은 있었으나 정치, 전략을 생각하는 머리가 모자랐던 듯하다.[5] 이 당시의 상황을 <요사>에서는 '고려 왕 왕치가 항복하므로 땅을 떼어 주었다'고 기록되지만 현실은 시궁창.
4. 뒷이야기와 몰락
이 고려 원정을 공적으로 평가했는지 조정으로부터 994년에 계성갈력공신(啟聖竭力功臣)의 칭호를 받았고, 그 뒤 화삭노(和朔奴)라는 장군 휘하에서 옛 발해 유민들의 세력인 올야(兀惹)정권 원정에 참전했다. 이 당시 이들은 거란군과 싸우기 전에 항복했으나 소손녕이 '''항복한 올야인들을 포로로 취급하고 함부로 다뤄서''' 올야인들의 거센 저항을 받았다. 화삭노는 퇴각을 생각했으나 소손녕은 공을 세우기 전에는 퇴각할 수 없다며 강력히 반발했다. 화삭노는 동남 방향으로 진격해서 고려와의 북쪽 경계에 이르렀으나 식량 보급도 끊기고 많은 사상자를 낸 채 원정은 실패로 끝났고 이 책임을 물어 작위를 빼앗겼다. 그래도 996년 행군도부서(行軍都部署)에 올라 포로모타부(蒲盧毛朵部)를 공략했다.
997년 아내 월국공주가 병에 걸리자 소태후가 현석(賢釋)이라는 궁녀를 보내 간병을 시켰는데, 소손녕은 '''이 궁녀와 간통했다'''. 월국공주는 이를 알고 분에 못 이겨 끝내 회복하지 못한 채 죽었다. 이 사실을 듣고 격노한 소태후는 소손녕을 잡아서 처형했다. [6]
사후에는 난릉군왕(蘭陵郡王)에 추봉받았고, 아들 소필적(匹敵)은 소손녕의 뒤를 이어 난릉왕 작위를 받았으며 그 역시 공주와 결혼했다.
이 비참한 최후 때문인지 한국에서는 회군후에 80만 끌고 갔다가 땅만 떼주고 왔다고 요성종에게 맞아 죽었다고 잘못 알려져 있기도 하다.
[1] 비슷한 예로 신라의 통일전쟁 때 한반도로 온 당나라 장군 소정방(蘇定方)도 있다. 정방(定方)은 자(字)이고, 본래 이름은 '소열(蘇烈)'이다. 덧붙이자면 당시 거란의 최고 명장인 야율휴가(?~998)라는 사람의 자도 손녕. 한자까지 遜寧으로 같다.[2] 소배압, 소손녕 형제의 고모이기도 하다.[3] 안주섭, <고려 거란 전쟁>에서 발췌.[4] 토크멘터리 전쟁사에서도 0하나는 빼야 할 것이라고 언급함.[5] 전쟁은 기본적으로 국가 간 정치/외교 현안을 '''무력으로''' 해결하기 위해 동원되는 '''수단'''일 뿐이다. 사령관급의 사람이 정세판단을 잘못하면 무의미한 전투에 휘하 장병들만 갈아넣는 상황이 된다. 소손녕은 확실히 무력은 강했으나 대국적인 정치관이 딸렸던 듯.[6] 천일야사 149회에서 이런 이야기가 나오는데 이상하게도 소손녕이 너무 젊게 나왔던 데다 본명인 소항덕이라는 이름 그대로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