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정주의

 

1. 개요
2. 역사수정주의
3.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修正主義
revisionism
수정주의는 기존 사상을 해당 사상의 전과는 다른 방향으로 개량, 변질, 수정하는 행위나 이념을 나타낸다. 비슷한 말로 재평가가 있다.

2. 역사수정주의


그 중 역사수정주의란 한 역사적 사건을 둘러싼 기존의 시각을 재해석하는 역사학의 한 분야다.
수정주의는 종종 반동#s-2을 정당화하는 형태로 이용된다. 가령 홀로코스트를 수정주의적 시각으로 바라보며 반유대주의자 및 네오 나치들의 주장을 합리화하는 형태로 이용되는게 그 예. 이러한 역사적 사실을 부인하려는 사상은 '부인주의(否認主義, negationism)'라고도 불린다. 그렇기에 나치 독일의 행보나 파시즘, 나치즘 등을 재평가하는 것을 법으로 금지한 독일이나, 르완다 내전 당시의 투치족 학살을 부정하는 것을 법으로 금지하는 르완다 등, 명명백백하게 폐해를 불러온 사상이나 사건을 수정주의적 시각으로 바라보는 것이 불법인 국가들이 존재한다. 또한 명백히 파시즘의 팽창주의로 인해 시작된 제2차 세계 대전의 경우 그 선악이 뚜렷히 갈린다는 점에서 사실관계 규명같은 기본적인 것을 제외하고 근본적으로 추축국이 옳았느니 뭐니 하는 수정주의는 금기시되고 있다.[1] 그렇기에 역사를 담론할 때, 특히나 2차대전과 같은 민감한 현대사를 다룰 때 '수정주의적', '수정주의자'라는 표현은 비하적, 공격적인 표현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역사학에서 수정주의란 어쩔 수 없이 요구된다. 어떤 학설도 완전한 것은 없으며, 결국 이는 후학들의 새로운 연구로 극복되기 마련이다. 결국, 현재의 정설도 처음에는 수정주의였다는 것이다. 어떤 학문도 마찬가지지만, 역사학에서 정설은 맹종의 대상이 아니다. 일례로 서구학계에서 프랑스 혁명에 대한 수정주의적 관점은 격렬한 논쟁을 불러일으켰고, 수정주의의 주장에도 허점이 있었지만, 기존 정설의 체계를 상당부분 허물었으며, 결과적으로 혁명사에 대한 보다 풍부한 연구성과를 촉진했다. 결국 이러한 철학적 딜레마 앞에서 더욱 입체적인 관점을 찾아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역사학자들의 임무라고 할 수 있다.

3. 관련 문서



[1] 다만 추축국이 악이라는 것은 거의 이견이 없지만, 영국프랑스 등의 식민제국의 제국주의적 횡포, 연합군에 의해 벌어진 독일 민간인들을 향한 성범죄, 이오시프 스탈린을 위시한 소련의 소수 민족 박대, 그리고 미국일본계 자국민들을 향한 인종차별적 강제수용이나 원폭 투하의 정당성 등 연합국이 '정의'였냐에 대해서는 상당한 비판이 제기되는 것은 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