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메온 2세

 



[image]
'''이름'''
시메온 보리소프 삭스코부르고츠키
(Симеон Борисов Саксен-Кобург-Готский)
'''출생'''
1937년 6월 16일 (86세)
불가리아 왕국 소피아
'''재위'''
불가리아 왕국의 차르
1943년 8월 28일 ~ 1946년 9월 15일
'''재임'''
불가리아의 총리
2001년 7월 24일 ~ 2005년 8월 17일
'''배우자'''
마르가리타 고메스아세보 (1962년 결혼)
'''자녀'''
카르담[1], 키릴, 쿠브라트, 콘스탄틴아센, 카리나
'''손자'''
보리스[2]
'''아버지'''
보리스 3세
'''어머니'''
이탈리아의 조반나
'''형제'''
마리 루이세
'''서명'''
[image]
1. 개요
2. 폐위와 망명
3. 귀국과 정치활동
4. 가족관계
5. 둘러보기


1. 개요


시메온 2세는 불가리아 왕국의 마지막 차르이자 현 불가리아 공화국의 정치인이다.
제대로 꼬인 불가리아의 현대사를 지나오며 특이한 이력을 많이 남긴 인물이기도 한데, '''세계 역사상 차르 칭호를 사용한 마지막 군주'''[3]이자 그리스의 요르요스 2세가 1947년, 구 유고슬라비아의 페타르 2세가 1970년, 루마니아의 미하이 1세가 2017년에 붕어한 현재,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발칸반도 국가들의 전 군주들 중 현재까지 살아있는 '''유일한 인물'''이며, [4] 또한 세계 역사상 유일무이하게 '''혁명으로 인해 퇴위한 군주로서 민주화된 공화국의 정부수반이 된''' 인물이기도 하다.[5]

2. 폐위와 망명


부왕 보리스 3세유대인들을 잡아들이라는 히틀러의 명령을 거부한 뒤 의문사하고, 시메온 2세는 1943년, 6세라는 어린 나이에 아버지의 뒤를 이어 불가리아의 차르로 즉위했다. 재위 3년째인 1946년, 공산혁명이 일어나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이 건국되고 시메온 2세는 왕위에서 쫓겨난다. 왕의 나이가 어리다보니 왕국의 실권은 섭정이었던 숙부 키릴 왕자, 보그단 필로프 수상, 니콜라 미코프 장군 등 섭정단에게 있었는데, 1944년부터 불가리아의 공산화가 진행되면서 키릴 왕자는 처형당했다.[6] 한편 어린 탓에 아무런 실권이 없었던 시메온 2세는 모후 조반나와 함께 망명이 허락됐다. 시메온 2세는 이집트 알렉산드리아로 망명했으며[7], 이어서 1951년 스페인으로 망명하고 1962년 마르가리타와 결혼해 4남 1녀를 뒀다. 스페인과 미국 군사학교에서 대학을 졸업했으며, 스페인에서 경영 컨설턴트 직업을 갖고 일하고 있었다.

3. 귀국과 정치활동


1990년,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이 무너지고 불가리아가 민주화된지 6년뒤인 1996년 불가리아의 젤류 젤레프 전 대통령은 공산화 직후 국외로 추방된 시메온 전 국왕 등 불가리아 구 왕가 사람들의 불가리아 귀국을 허용했다.[8] 불가리아의 민주 신정권은 그의 귀국을 허용하되 과거 군주제의 상징인 시메온에 정치적 관심이 쏠리는 것을 막으려고 쉬쉬했으나, 50년만에 귀국한 차르에 불가리아 국민들은 환호했다. 여러 차례 불가리아에 방문하던 시메온은 결국 공화제의 정치에 뛰어들어 '시메온 2세 국민운동연합' 창당에 참여하고, 선거에서 승리해 2001년 '''불가리아 총리가 된다'''. 그러나 4년의 총리 임기를 마친 이후에는 지지율이 반토막났으며, 결국에는 의회 내에 의석을 하나도 얻지 못하는 원외 군소정당이 되었다.

4. 가족관계


본인
부모
조부모
증조부모
시메온 2세
(Simeon II)
보리스 3세
(Boris III)
페르디난트 1세
(Ferdinand I)
작센코부르크고타의 공자 아우구스트
(August of Saxe-Coburg and Gotha)
오를레앙의 클레멘틴
(Clémentine of Orléans)
부르봉-파르마의 공녀 마리 루이즈
(Marie Louise of Bourbon-Parma)
파르마 공작 로베르토 1세
(Robert I, Duke of Parma)
부르봉-양시칠리아의 공녀 마리아 피아
(Maria Pia of Bourbon-Two Sicilies)
이탈리아의 조반나
(Giovanna of Italy)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
(Victor Emmanuel III)
움베르토 1세
(Umberto I)
사보이아의 마르게리타
(Margherita of Savoy)
몬테네그로의 옐레나
(Elena of Montenegro)
니콜라 1세
(Nicholas I)
밀레나 부코티치
(Milena Vukotić)
1962년 스페인 후작의 손녀 마르가리타 고메스아세보(Margarita Gómez-Acebo y Cejuela, 1935-)와 결혼해 4남 1녀를 두었다. 그러나 장남 카르담이 2008년 교통사고로 혼수상태에 빠져 2015년 먼저 사망하는 아픔을 겪기도 했다. 이 때문에 시메온 2세 사후에는 카르담의 장남이자 시메온 2세의 장손인 보리스가 명목상의 차르 '보리스 4세' 가 될 예정이다.

5. 둘러보기



[1] 2008년 교통사고로 혼수상태에 있다가 2015년 사망.[2] 시메온 2세 사후에는 명목상의 불가리아 차르 보리스 4세가 될 예정이다.[3] 공교롭게도 '''최초로 차르 칭호를 사용한 군주'''는 그와 이름이 같은 불가리아 제1제국의 '''시메온 1세'''이다. [4] 물론 그 역시 인간이므로 언제 세상을 떠나도 이상하지 않을 연세다.[5] 군주가 아닌 왕족까지 따지면 라오스 왕국의 왕자 쑤파누웡(또는 수파누봉)이 공산화된 라오스의 초대 국가원수에 취임한 사례가 있다.[6] 사실 키릴 왕자는 나치의 손아귀를 벗어나 소련 등 연합국 측과 접선하려고 했었다. 아무튼 공산당은 키릴 왕자를 포함한 섭정단뿐 아니라 국회의원 67명도 처형했다.[7] 시메온 2세의 모후 조반나는 이탈리아 왕국의 공주로서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의 셋째딸이다. 아버지가 망명해있던 알렉산드리아로 간 것.[8] 그래서인지 시메온 본인도 대통령 재임 시절 자신의 귀국을 허용해준 젤레프 전 대통령에게 고마움을 표하고 있다고 한다. 젤레프 전 대통령이 퇴임 후인 2015년 노환으로 사망했을 때도 애도를 표했을 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