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렉산드리아(이집트)

 

[image]
[image]
파로스 등대 터에 세워진 카이트베이 요새
[image]
동서로 길쭉한 도시.
1. 개요
2. 역사
2.1.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2.2. 중세
3. 관광
4. 방언
5. 기후
6. 기타
7. 매체에서의 등장


1. 개요


[image]
'''الإسكندرية ''' (아랍어)
'''Αλεξάνδρεια''' (그리스어)
'''Alexandria''' (영어)
이집트 북부 알렉산드리아주의 주도도시. 흔히 알렉산드리아라는 이름으로 알려졌다. 이스칸다리야라는 명칭은 알렉산드리아의 아랍어형인데, 도시 이름의 유래가 된 건립자의 이름인 'Αλέξανδρος(알렉산드로스)'의 중기 페르시아어형 'Aleksandar'의 앞부분의 'Al-'이 아랍어의 관사 '-ال(알-)'과 혼동되고, 중간의 '-ks-'에서의 k와s가 도치되어 '''Aleksandar(알렉산다르)→Al-Iskandar(알-이스칸다르)'''가 되고(표준 아랍어에는 e발음이 없다.), 지명에 사용되는 어미 'ية-(-이야)'가 붙어 ''''알-이스칸다리야''''가 되었다. 현지 이집트 방언에서는 관사를 빼고 اسكندريه, 즉 '에스켄데레야'라고 부른다. 별명은 '''지중해진주'''. 이집트에서 카이로 다음으로 큰 제2의 대도시이며, 나일강 삼각주 서북부 지중해에 접한 항구도시이다. 인구는 2017년 현재 약 517만 명. 면적은 2679 ㎢.
이집트 해군의 제1의 군항이기도 하다. 해군본부와 주력함대가 이 곳에 주둔하며, 파로스의 등대 유적에 해군 박물관도 있다.

2. 역사


[image]
로마 시대의 극장 유적
본래 이집트인들이 세운 라케티트 (콥트어 : 라고티)가 있던 자리에 기원전 4세기[1]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자신의 이름을 붙여 처음 세운 신도시로, 주변 약 50km 이내에 사는 사람들을 이곳으로 이주시켜 인구를 채우고 건축가 디노크라테스가 설계했다. 알렉산드로스 사후 이어진 디아도코이 전쟁 결과 알렉산드로스의 부장이었던 프톨레마이오스 1세가 세운 프톨레마이오스 왕조는 전 이집트를 지배하며 이곳을 수도로 정하였고, 기원전 3-2세기에 문화적 번영을 일구었다.
다른 알렉산드리아들이 대부분 사라지거나 이름이 바뀌거나 쇠퇴했을 때에도 여기는 중요한 지역으로 계속 살아남아 현재에도 알렉산드리아(이집트 아랍어로는 '알이스칸다리야(al-iskandarīyah)')라는 이름을 쓰게 되었다. 그 명성과 이름에 걸맞게 실제로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사망하자 그 유해가 이곳에 안장되기도 하였다. 참고로 이스칸다르는 알렉산드로스의 이름을 오기(誤記)한데서 유래한 이름인데 '알'을 아랍어 정관사로 오해해서 떨어져 나간 것.

2.1.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알렉산드로스의 후계자인 프톨레마이오스 1세는 알렉산드리아를 수도로 삼고 대대적으로 확장, 그 유명한 도서관을 세우고 많은 유대인들을 시가지 동부로 이주시켰다. 또한 그는 그리스의 죽음의 신 하데스를 이집트에 토착화시켜 세라피스란 이름으로 받아들였는데, 토착 이집트인들과 그리스인이 공통으로 숭배하여 양 민족의 화합을 이끌어내었다. 다음대인 프톨레마이오스 2세 때부터 알렉산드리아는 대도시로 성장하였다. 또한 무세이온 (연구소)과 그 부속 도서관, 천문대, 해부학 연구소, 동물원 등을 세웠다. 그 중에서도 단연 손꼽히는 것은 세계 7대 불가사의에도 들어가는 알렉산드리아의 등대, 헬레니즘 시대의 가장 큰 도서관 알렉산드리아 도서관[2]이었다. 대도서관은 장서가 무려 70만 권에 이르는, 당시로선 세계에서 책(두루마리)가 가장 많은 시설이었다.
이들은 애석하게도 나중에 불타버리고 파괴되었다. 이 파괴의 원인에 대해서는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침략 때 로마군이 이 도시에 진주하면서 도서관과 박물관을 불살라버렸다는 설, 아우렐리아누스의 침략으로 불탔다는 설, 콥트 정교회 주교가 원인이라는 설, 무슬림의 침략[3] 때문이라는 설 등등이 있다. 물론 각각의 설 중 무엇이 맞는지, 특히 완전한 파괴를 야기한 것이 무엇인지는 학계에서 정설이 없다 보니 진범은 아직도 미스테리다(...)[4]이 고대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을 기리는 의미로 새로운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을 2002년에 (이집트의 재정 문제로) UNESCO가 개관했다. 알렉산드리아 동쪽 해안의 샤트비(El Shatby) 거리에 있으며, 현존 장서는 대략 100만 권 수준이다.[5]
그외에 알렉산드리아는 무역과 유리공업이 발달하며 지중해권 최대급 도시로 번영하였다.
로마 제국이 이집트를 지배하면서 알렉산드리아는 수도 로마의 뒤를 이은 제국 제2의 도시이자 이집트 통치의 중심지가 되었다. 그리스계인 알렉산드리아 주민들은 알렉산드리아 시민권이라는 로마 시민권과 유사한 권리를 보장받았고 그들은 자신들이 로마시민보다 더 낫다고 생각했다고 한다. 알렉산드리아는 이집트 일대의 그리스도교 중심지기도 했다. 전하는 이야기에 따르면 서기 69년 성 마르코가 그리스도교를 알렉산드리아에 전파했고, 이후 알렉산드리아의 주교가 성 마르코의 뒤를 이었다고 한다. 그리하여 그리스도교권의 중심도시로서 로마 등과 함께 알렉산드리아의 주교는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로 인정받았다. 이는 초기 그리스도교의 5대 총대주교좌에 속한다. 하지만 3-4세기 들어 도시는 쇠퇴하였고 365년 7월 21일 해일이 일어나 수천 명이 사망하기도 하였다.

2.2. 중세


이후 동로마 제국이 계속 지배했는데 기독교도와 이교도 (다신교도와 유대교도)간의 싸움으로 계속 쇠락해갔고, 619년 사산조 페르시아가 이집트에 침입해 10년간 지배하기도 했다. 629년 동로마 황제 헤라클리우스가 탈환했지만 이슬람 제국의 등장으로 아랍인이 차지했고, 이집트의 정치 중심이 현 카이로 인근 푸스타트로 옮겨가면서 행정중심지 기능은 잃고 항구도시로 남았다. 641년 아랍군대가 이곳을 점령했을 때 당시 사령관 아므르 이븐 알 아스에 의하면 궁전 4천 채, 목욕탕 4천 곳, 기름상점 1만 2천 곳, 정원사 1만 2천 명, 유대인 4만 명, 극장 4백 곳이 있었다. 구체적 수치의 정확성은 차치하고 대단히 번영한 도시였음은 분명하다.
[image]
파로스의 등대 터에 지어진 카이트베이 요새
7세기에 동로마 제국정통 칼리파 / 우마이야 왕조, 12세기에 예루살렘 왕국파티마 왕조 / 장기 왕조 간의 공방전이 벌어진 도시이다. 12세기의 전쟁은 결국 살라흐 앗 딘의 승리였다. 이후 맘루크 왕조 시대에는 기존에 허물어진 파로스 등대의 잔해를 수습하여 해안 요새를 지었다.
그러나 대항해시대가 열리면서 새로운 인도항로가 개척되고 알렉산드리아의 중요성은 떨어지고 한동안 쇠퇴했다가 무하마드 알리가 알렉산드리아와 나일강을 연결하는 마흐무디야 운하를 개설하는 등 도시 개조를 통해 확고한 이집트 제2의 도시로 자리잡았다.

3. 관광


역사적 도시로 유적지와 박물관이 많다. 로마시대의 폼페이 석주, 원형극장, 카타콤(지하묘지), 파로스의 등대터(해군 박물관), 알렉산드리아 박물관 왕궁정원 문타자흐 등.

4. 방언


기본적으로 이집트 방언을 쓰기는 하나, 카이로의 이집트 방언과는 발음, 억양, 단어 등에서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아랍어 단어 مشروع(마쉬루아)는 표준 아랍어와 카이로의 이집트 방언에서는 '계획'이라는 뜻이나, 알렉산드리아에서는 '마이크로 버스(봉고차 버스)'라는 뜻이다.

5. 기후


또한 지중해에 접하다 보니 아랫동네에 비해서는 비가 상대적으로 많이 내리는 편이지만 지중해 지역도 건조한 편이기 때문에 강수량이 적은 편이다. 특히 이집트는 겨울(11월~1월)이 우기인데, 비가 내리더라도 5~10분 정도로 짧게 내리는 카이로와 달리 여기는 30분~1시간 단위로 내린다. 그러나 강수량에 비해 낙후된 배수시설로 인하여 홍수가 번번히 일어난다. 2015년에는 홍수로 인하여 길거리에 오리가 뜨는 사진이 인터넷에 떠돌기도 했다. https://twitter.com/saudinews50/status/658276602476892160

6. 기타


인천광역시와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파워 메탈 밴드 카멜롯#s-2의 노래 Alexandria는 이 알렉산드리아를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입을 빌려 찬양하고 있다.
마르코 폴로의 발자취에서는 여행 가능한 대도시 중 하나로 등장하는데, 대다수 캐릭터의 출발위치인 베네치아에서 이동력 한 칸만 소모하여 바로 이동할 수 있는 곳으로 묘사되어 있다. 때문에 알렉산드리아를 거쳐 아다나-코치 해로를 타는 루트도 사랑받는 편이다. 항해 게임이나 지중해 관련 게임에는 어김없이 나오는 주요 도시다.
알렉산드로스 대왕 본인의 무덤이 있을 것이라 가장 강하게 추측되는 곳이다. 수십 년 동안 발굴이 진행중이고 과거의 역사기록들도 알렉산드리아를 무덤의 위치라 비정하기 때문. 최근에도 발굴 성과는 나오고 있고 고대 알렉산드리아의 발굴도 진행 중이다. 문제는 무덤이 '''수몰'''되었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2019년의 발굴 성과. 직접 보자. 알렉산더 시절 이후 해수면 상승, 지진 등으로 알렉산드리아의 지형도 상당히 변한 상태라 바닷속에 잠들어 있는 유적도 많다고 한다.

7. 매체에서의 등장



[1] 주로 추정되는 연도는 기원전 332년.[2] 무제이온이라는 전문 연구기관에 소속된 도서관이었다.[3] 18세기 유럽에서는 정설로 나왔으나 에드워드 기번이나 볼테르가 확실한 증거도 없으면서 다른 종교 탓하지 말라고 하면서, 그리 따지자면 그리스도교 근본주의도 용의자라고 깠다. 실제로 그리스도교도 이집트 고대 유적에 대하여 테러나 방화를 가했던 기록이 있기 때문이다.[4] 그렇기에 학계에서도 도서관은 한 번에 파괴된 것이 아니라 세월이 흐르며 서서히 허물어졌고, 위의 사건들은 그런 과정의 일부였다고 본다.[5] 건물을 짓는 데 돈이 너무 많이 들어서 프랑스 국립도서관으로부터 50만 권을 기증받은 뒤에야 체면치레를 했다. 프랑스 국립도서관은 장서가 1400만 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