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원대군

 


'''조선 목조의 왕자'''
'''안원대군
安原大君'''


'''군호'''
안원대군(安原大君)
'''시호'''
충장(忠壯)
'''본관'''
전주(全州)
'''이름'''
진(珍)
''''''
국서(國瑞)
'''부왕'''
조선 목조
'''모후'''
효공왕후 이씨 (孝恭王后 李氏)
'''부인'''
평산부부인 평산 신씨(平山府夫人)
'''자녀'''
2남
'''묘소'''
함경북도 경흥군 서쪽 복룡사(실전)
함경남도 영흥군 억기면 미양리 종가 부근(사당)[1]
'''생몰
기간
'''
'''음력'''
? ~ ?
1. 개요
2. 생애
3. 묘소
4. 가족관계
5. 후손

[clearfix]

1. 개요


안원대군은 조선 목조의 둘째 아들이다.

2. 생애


목조의 둘째 아들로 목조가 원으로 이주할 때 따라가 원나라의 현량과에 급제하여 선무장군(宣武將軍), 금주병마도총독(錦州兵馬都總督) 등을 지냈다. 이후 정주시에 정착했다. 생몰년은 미상이다.
사후 1872년 12월 3일, 고종에 의해 형인 안천대군과 동생들과 같이 대군으로 추봉되었다.
전주 이씨 안원대군파의 파시조이다.

3. 묘소


묘소는 원래 경흥군 서쪽 복룡사였으나, 실전되어 영흥군 억기면 미양리 종가 부근에 사당을 세우고, 매년 10월 중정(中丁)에 부부인과 함께 봉사(奉祀)해 왔다.

4. 가족관계


부인 : 평산부부인 평산 신씨(平山府夫人 平山申氏, ? ~ ?)
장남 : 평해군 이시(平海君 李施, ? ~ ?)
차남 : 동해군 이보하(東海君 李輔夏, ? ~ ?)
장남인 평해군은 고려에서 벼슬을 했고, 조선에선 종정경(宗正卿)에 추봉되었다. 평해군의 부인은 대원한씨(大原韓氏)로서 정부인(貞夫人)에 추봉되었다. 차남인 동해군은 안원대군 자신이 추봉된 1872년(고종 9) 가선대부 종정경에 추봉되었고, 부인은 정부인 여양전씨(驪陽田氏)이다. 동해군은 현재의 정주시에 자리 잡았다.

5. 후손


함경도 경흥, 함주, 회령, 내대, 운전, 송대, 회령, 영흥, 덕원 등지에서 살았으며 1400년 경 3대손인 증손자 동남군 춘흥은 평안북도 정주군 고덕면 일신동 신리로 이주하였다.
정주시에 자리 잡은 뒤 몇 세대 지나 서북 지역 주민에게 과거에 응시할 자격을 허가한 1650년(효종 1)부터 1894년(고종 31)까지 후손들이 과거에 응시하여 문과 23명, 무과 6명이 급제하여 종2품으로부터 종6품까지의 관직에 62명이 고관대작을 지냈다. 또 효행으로써 7명이 정려를 받았고 10명의 진사도 배출되었다.
이주한 지 7세대가 지나는 동안, 자손이 많아져 서로의 가문계통을 분간하기 어렵게 되어, 분파하여 가계를 통괄하기 쉽도록 하였다.
동해군의 후손 중 한 명인 이제마는 의서인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를 썼다. 다른 후손으론 친일반민족행위자이자 소설가인 이광수와 역시 소설가 이효석이 있다.

[1] 진짜 있는지는 미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