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남인

 




1. 개요


조선붕당 중 하나.
선조동인에서 갈라져 나온 남인 중 영남 지역의 정통파 남인이다.

2. 상세


홈그라운드였던 영남 지역에서 거주하고 서울·경기 지역으로 안 올라오는 남인을 영남(嶺南)이라고 불렀다.[1] 이른바 정통파 남인이자 주로 경상북도 지역에서 활동했다.
초기 근기남인과 영남남인의 차이는 거주지의 차이였을 뿐, 학문적으로 견해가 거의 일치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고 영남 지역 남인과 서울·경기 지역 남인 간에 경향에서 많은 차이를 보이기도 했다. 영남남인들은 이황의 학문을 계승하고 발전시키는 방향인 주자학을 기반으로 학문의 방향을 설정하고 있었다. 강경 퇴계학파였던 것. 심성론과 예론 등 정통 주자학(성리학)에 대해서 연구했고, 이황의 사상이 이언적의 회재학과 자신의 생각을 넣어 만들어진 것으로 보면, 정통 성리학에 가깝다.
이 현상에는 인조반정 이후 대다수 원조 남인들이 중앙 정계 참여를 거부하고 귀향/낙향한 것과 그 빈자리를 성리학 중심의 퇴계학파보단 상대적으로 실용적 성향의 소북 내지 청소북이 메꿨다는 점이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2]
영남 지역의 남인들은 조선 후기로 갈수록 중앙 정계에서 소외되었다. 그러나 이들은 지역(향촌)사회의 중심이 되고 퇴계학을 계승하며 그 문제의식을 확장해 나갔다. 다만 가끔씩은 정계에 진출했는데, 영남남인의 본산인 양동마을이언적 후손들 출신 4명이 2품 이상의 고위 관직자가 된다.
아래 여담에서도 볼 수 있겠지만 다른 지역에서 유림들이 사라지는 상황에서도 대경권은 유림들이 많이 남아있었고 아직도 경상북도대구광역시 일부는 그 영향을 받고 있다. 조선 최후의 붕당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3. 주요 인물


  • 진성 이씨[3]
  • 양동마을[4]
  • 이현일
  • 이재(李裁)
  • 김성탁(金聖鐸)
  • 이상정(李象靖)
  • 이광정(李光靖)
  • 이진상(李震相) (19세기)

4. 여담



[1] 지금의 단어 영남은 대체적으로 경상도 전역을 가리켜서 문서명은 영남남인이다.[2] 이들이 남인으로 편입되면서 이 부류는 근기남인으로 불려지게 된다. 정약용, 이익 등이 대표적인 인물이다.[3] 이황의 후손이다.[4] 이언적의 후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