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신버스

 





정식명칭
영신버스 주식회사
대표자명
김윤선
설립일
1979년 12월 28일
업종명
운수업
상장유무
비상장
기업규모

[image]
[image]
창녕군 순환버스.
합천군 청덕면 적교리에서 창녕군 영신버스터미널까지 가는 노선. 창녕의 대다수 노선이 영신버스터미널을 기종점으로 삼는다.
1. 개요
2. 노선
3. 현재 보유 차량
4. 과거 보유 차량


1. 개요


경상남도 창녕군 및 창원시 일부구간(북면온천)을 운영하는 버스 회사. 1979년에 설립되었으며 부산버스회사 영신여객(부산)와 서울버스회사 영신여객(서울)와 다르다[1]
차고지는 창녕읍 영신버스터미널과 남지에 남지시외버스정류장, 영산에 영산 영신버스터미널 등이 있다. (단, 시외버스 터미널과는 위치가 다르다.)[2]
2013년 이후부터 교통카드 사용이 가능한 지역이다. 그리고 경상남도 공용 버스도색을 안쓰는 지역중 하나이다.[3] 현재 쓰는 도색은 대우버스 BM090의 기본도색이다.[4]
1970년대까지는 창녕군 지역에 농어촌버스가 없어, 시외버스[5]에 의존하다가, 70년대말 '우리버스'[6]라는 이름의 회사가 창녕군내 농어촌버스 사업을 개시하여 이후 영신버스[7]로 이름이 바뀌어 현재까지 이르고 있다.
90년대 초까지는 신차출고 없이 부산, 마산 등지의 중고차로만 운영이 되었다.[8] 당시 도색은 부산, 마산의 구 도색을 그대로 썼다.[9] 창녕읍 영신버스터미널이 아닌 시외버스터미널 옆 현 CU 창녕에이스점 앞에서 출발하는 창녕읍내버스(25인승급)를 운행하기도 하였다.[10] 당시까지만 해도 창녕군 내 거주인구가 많았던 시절로, 아침/저녁차의 경우 통학/통근 수요로 만차가 되는 일이 많았으나, 이후 군내 인구감소에 따른 영업악화로 현재는 지원금으로 운영이 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단. 이 시점부터 차량을 자체 출고하고, 자체 도색을 운용하기 시작하여 현재는 과거의 모습을 찾아보기 힘들다.
군 지역 업체답게 중형차가 많지만 대형차도 적지 않게 보유하고 있다.
참고로 경남 군 지역 '''업체''' 중에서 유일하게 저상버스 1대를 운행중이다.[11]
대구권에서 영진교통, 대가야여객과 더불어 현대 개선형이 아직 없다.[12] 다만 자일대우상용차 베트남 이전 문제로 인한 울산공장 조업 중단으로 개선형을 첫 출고할 가능성이 있다.

2. 노선



1 창녕 ↔ 안심 창서, 왕산, 모전, 장기, 무솔, 십이리, 성산, 이천, 운봉, 연당, 성곡, 월곡 왕복 2~3회 안심 방면 2회
창녕 방면 3회
2 창녕 ↔ 가복 창서, 왕산, 모전, 장기, 무솔, 십이리, 성산, 이천, 운봉, 원동, 방리, 덕곡 왕복 2~3회 가복 방면 2회
창녕 방면 3회
3 창녕 ↔ 이방(옥야) 창서, 왕산, 모전, 장기, 무솔, 십이리, 신안, 평지, 퇴산, 옥산, 울기, 계동, 대곡, 구미 왕복 3회
4 창녕 ↔ 안심.가복 창서, 십이리, 이천, 운봉, 안심, 연화, 운봉, 방리, 덕곡 1회 가복 방면 편도 운행
5 창녕 ↔ 목단 창서, 왕산, 모전, 장기, 무솔, 십이리, 신안, 평지, 퇴산, 옥산, 용산, 유산, 용호 왕복 1회
6 창녕 ↔ 목단,월포 창서, 왕산, 모전, 장기, 무솔, 십이리, 신안, 평지, 퇴산, 옥산, 용산, 유산, 용호 왕복 2회
7 창녕 ↔ 월포 창서, 왕산, 모전, 장기, 무솔, 십이리, 대견, 월포, 합리, 신안 왕복 2회
8 창녕 ↔ 감리 도야, 고암(중대), 계팔, 신기 왕복 10회
9 감리 ↔ 청간 왕복 5회
10 창녕 ↔ 간적 도야, 고암(중대), 대암, 간상 왕복 3회
11 창녕 ↔ 원촌 도야, 하리 왕복 1~2회 원촌 방면 공휴일 1회 미운행
12 창녕 ↔ 상월 도야, 하리, 만촌, 원촌, 고암, 월미 왕복 3회
13 창녕 ↔ 이방(옥야) 대지, 월계(모전), 신당, 주매, 소목, 장재(우포늪), 우만, 내동, 옥야(죽전) 왕복 12~13회 상월 방면 12회
창녕 방면 13회
14 이방(옥야) ↔ 율원 장천, 우산, 율지, 학리, 병배, 장리 왕복 4회
15 이방(옥야) ↔ 적교 내동, 동산, 석리, 문방, 현창 왕복 2회
16 창녕 ↔ 적교 직신, 구미, 대대(우포늪), 마수원, 팔락정, 등대 왕복 10~11회 2회 우포늪 경유
적교 방면 막차 모곡까지 운행
17 창녕 ↔ 옥천(이방) 직신, 구미, 대대(우포늪), 마수원, 팔락정, 등대, 호포, 모곡 왕복 3~4회 옥천 방면 막차 적교까지 운행
18 창녕 ↔ 세진 귀동, 효정, 관동, 한터, 우포늪 왕복 3회
19 창녕 ↔ 창녕 용소, 세거리, 선소, 거마, 진창, 광산, 신구, 미구, 동정, 화영, 산지, 장가, 월명, 초곡, 석현, 화전, 퇴천 왕복 1~2회 용소 방면 1회
퇴천 방면 2회
20 창녕 ↔ 동정 용소, 세거리, 선소, 거마, 진창, 광산, 신구, 미구 왕복 1~2회 동정 방면 2회
창녕 방면 1회
21 창녕 ↔ 작달 축협 ,읍파, 청소년문화의집, 창성주유소, 석현,외부, 풍조, 신전 왕복 5~6회 작달 방면 공휴일 1회 미운행
22 창녕 ↔ 영산 퇴천, 화전, 석현, 장가, 산지, 화영, 장마, 관동 왕복 1회 장가 경유
23 창녕 ↔ 창녕 여초, 계성, 계전, 절산, 산지, 장가, 석현, 화전, 퇴천 1회
24 창녕 ↔ 옥천 퇴천, 여초, 신당, 계성(계교), 사리, 전평(노단이) 왕복 6회
25 창녕 ↔ 영산 여초, 계성, 계전, 광계, 절산, 장가, 산지, 화영, 장마, 관동 왕복 1회 절산 경유
26 창녕 ↔ 부곡 한성병원, 읍파, 경찰서, 청소년문화의집, 창녕중학교, 창성주유소, 퇴천, 여초, 화곡, 계교, 명리, 영산, 죽사2구, 덕곡 왕복 9~11회 부곡 방면 11회
창녕 방면 9회
27 창녕 ↔ 노리 퇴천, 여초, 계성, 명리, 영산, 덕곡, 부곡, 인교, 비봉, 구산, 학포 왕복 2회
28 창녕 ↔ 부곡 퇴천, 여초, 신당, 계교, 명리, 영산, 예리, 덕곡 왕복 1~2회 예리 경유
부곡 방면 1회
창녕 방면 2회
29 영산 ↔ 노리 덕곡, 부곡, 인교, 비봉, 구산, 학포 왕복 1~2회 노리 방면 1회[13]
영산 방면 2회
30 부곡 ↔ 부곡 덕곡 ,부곡, 인교, 비봉, 학포, 노리 왕복 1회 노리 경유
31 부곡 ↔ 북면온천 수다, 인교, 수성, 비봉, 구산, 유산, 본포, 월계, 연동, 북면사무소 왕복 3회
32 영산 ↔ 부곡 예리, 덕곡, 부곡, 인교, 비봉, 구산, 학포, 노리, 본포, 인교 1회 바로 회차 후 부곡까지 운행
33 창녕 ↔ 상길 계성, 영산, 덕곡, 부곡, 온정, 임해진, 증산, 중길 왕복 1회 [14]
34 영산 ↔ 창녕 예리, 덕곡, 부곡, 임해진, 길곡, 상길, 덕곡, 예리, 영산 1회 창녕 방면 편도 운행
35 창녕 ↔ 영산 계성, 명리, 영산, 논리, 우강, 증산, 임해진, 온정, 부곡, 덕곡 왕복 2~3회 길곡 경유
영산 방면 3회
창녕 방면 2회
36 창녕 ↔ 창녕 계성, 명리, 영산, 논리, 우강, 신촌, 길곡, 청암, 온정, 부곡, 덕곡, 영산, 계성, 여초, 퇴천 1회 길곡 경유
창녕 방면 편도 운행
37 영산 ↔ 박진 관동, 장마, 동정, 고곡, 반포 왕복 4~5회 영산 방면 공휴일 1회 미운행
38 박진 ↔ 창녕 반포, 고곡, 동정, 장마, 관동, 영산, 계성, 여초, 퇴천 1회 영산 경유
창녕 방면 편도 운행
39 영산 ↔ 청단 관동, 장마, 동정, 고곡, 수개 왕복 3회
40 창녕 ↔ 남지 퇴천, 여초, 계성, 명리, 영산, 도천, 신제1,2구, 십자둑, 송진1,2구 왕복 7~8회 남지 방면 7회
창녕 방면 8회
41 영산 ↔ 남지 도천, 십자둑, 송진1,2구 왕복 1~2회 남지 방면 2회
영산 방면 1회
42 영산 ↔ 남지 봉산, 연포, 작포, 월령1구, 월령2구, 십자둑, 송진2구, 송진1구 왕복 3회 월령 경유
43 영산 ↔ 남지 신제3구, 1구, 2구, 상대포 왕복 1회
44 남지 ↔ 박진 상대포, 성사, 아지, 고곡, 청단, 반포 왕복 4회 박진 방면 1회 운행
나머지 청단까지만 운행
45 남지 ↔ 부곡 송진1구, 송진2구, 우강, 오호, 증산, 임해진, 온정 왕복 2~3회 부곡 방면 2회
남지 방면 3회
46 남지 ↔ 영산 송진2구, 우강, 길곡, 온정, 부곡, 덕곡 1회 길곡 경유
영산 방면 편도 운행
47 창녕 ↔ 환곡 신창여중, 창녕농협, 탐하 왕복 2회 길곡 경유
영산 방면 편도 운행
48 영산 ↔ 구계 왕복 3회
49 남지 ↔ 장마 상대포, 신전, 매전, 도동, 유리 왕복 3회
50 영산 ↔ 광계 월평 왕복 3회
51 이방 ↔ 죽전 왕복 3회

3. 현재 보유 차량



3.1. 현대자동차



3.2. 자일대우상용차



4. 과거 보유 차량



4.1. 현대자동차



4.2. 자일대우상용차


[1] 한자가 다르다... 부산 영신은(榮信)이고 서울 영신은(株式)이며 창녕 영신은(靈信)이다.[2] 창녕, 영산, 남지, 부곡에는 천일여객의 시외버스터미널이 별도로 존재한다.[3] 경상남도 공용 버스도색을 안쓰는 다른 지역으로는 창원시, 김해시(일부노선에 한해 신도색적용), 밀양시, 고성군, 남해군, 산청군이 있다.[4] 이 도색은 울진여객도 일반버스 도색으로 사용중이다.[5] 천일고속(천일여객)이 최초로 개업한 지역이 의외로 창녕이다. 93XX, 94XX가 현재도 창녕군 차적이다. 당시에 대구 서부정류장 출발, 현풍, 창녕, 영산, 수산, 진영, 김해 경유 부산 서부정류장(지금 자유시장 자리에 있었다)까지 비포장도로를 달리는 "장거리 완행버스"가 다녔다. 천일여객의 사위가 창녕군 영산면 사람이다. 그래서 창녕에서 최초로 개업했을 수도 있다.[6] 현재 영신버스 전신으로 추정[7] 의외로 회사명칭이 창녕이 아닌 영산靈山의 영자를 가져 왔다. 창녕昌寧의 녕자와 다르다.[8] 80년대엔 부산(혹은 마산)시내에서 터미널까지 14번, 107번(마산은 별도 표기가 없었으니)을 타고 간 뒤, 천일여객 타고 창녕가서 영신버스 탔는데, 14번, 107번 출신 중고차를 다시 타는 일도 많았다고 한다.[9] 그래서 당시 경상남도의 하늘색, 파란색 도색 이외에도 부산의 녹색도색까지 혼재해서 다녔다.[10] 마을버스 방식으로 정류장 수가 많았다. 명덕로~종로 방면으로 운행하였다.[11] 군 지역으로는 창원시내버스가 들어가는 함안군이 최초이다.[12] 영진교통은 현대차와 마찰이 있어 2015년 초를 끝으로 현대차 도입을 중단했으며, 대가야여객은 중고 위주로 도입하고 개선형 가니쉬로 개조된 차량이 1대 있다.[13] 영산에서 이 노선의 막차를 타고 학포리에 하차 후 본포마을회관까지 3km 가량을 도보해서 창원시 시내버스를 이용하는 식으로 서울-부산 간 당일치기 시내버스 여행이 가능해졌다. 빼재터널 개통 후 거창으로 넘어가는 시간이 단축되었기 때문이다.[14] 원래 이 노선은 80년대 말 중길/상길지역 민원으로 인한 학생 통학용으로 특별히 만들어 진 노선이다. 당시는 상길이 길이 끝나는 산골 오지였으며(지금은 부곡으로 넘어가는 고갯길이 생겼다) 버스가 들어 오지 않는 지역이라, 부곡/영산으로 통학해야 하는 중/고등학생들이 한시간 넘게 걸어 나가 버스를 타거나 산을 넘어 다녀야 했었다. 오후 6시반이면 막차가 끊기는 창녕지역에서 달리 막차가 된 게 아닌 것이(영산 오후 7시, 부곡에서 오후 7시 30분 출발), 저녁막차로 버스가 들어간 뒤 기사가 종점에서(도착하면 오후 8시 30분) 하룻밤을 자고 다음날 아침 6시 30분에 첫차로 나오는 형태로 운영되었다(처음 개통때 집집마다 기사를 재워준다고 줄을 섰다고...). 길곡면 지역이 당시엔 비포장도로여서 지금 20분 거리가 1시간 걸렸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