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곡
五穀
각 나라에서 가장 비중이 높은 다섯 곡식을 가리키는 말. 굳이 사곡도 칠곡도 아닌 왜 굳이 오곡이 꼽히냐면 오행으로 인해 다섯 요소를 함께 먹음으로써 장수와 건강을 바랐던 것 같다. 대체적으로는 이 오곡은 기장, 수수, 피, 조, 팥, 메기장, 보리, 벼, 밀, 콩, 깨 등 중에서 들어간다.
쌀, 보리, 조, 콩, 기장
단 대보름에 먹는 오곡밥은 보통 이 조합으로는 짓지 않는다. 어느 레시피를 찾아봐도 팥과 찹쌀은 반드시 들어간다. 시대에 따라 변천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세종실록지리지에는 조 대신 '직稷'이라는 곡식이 들어가 있다. 이 직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수수라는 설도 있고 피라는 설도 있다. 그냥 조가 맞다는 설도 있다. 현대의 오곡밥도 꼭 저 다섯 곡식으로 짓는 것은 아니며 밤이나 대추 같은 걸 넣고 대충 잡곡 섞어서 짓는 경우도 많다.
보리, 콩, 피에 지방과 시대에 따라 쌀, 수수, 참깨가 번갈아가며 들어간다.
쌀, 보리, 조, 팥, 콩(대두). 팥 대신 기장이 들어가기도 하는데 이렇게 하면 상술한 현대 한국의 오곡과 똑같다.
해바라기씨, 아마씨, 호박씨, 양귀비씨, 잡곡[1]
멀티 시드라는 명칭으로 건강식으로 꼽히고 있다. 역사성이 깊은 건 아니고 오곡처럼 이렇게 꼽아서 빵에 넣어 먹는다.[2] 물론 빵 자체는 밀, 혹은 호밀로 만든다. 잡곡에는 기장이나 조가 주로 들어간다.
1. 설명
각 나라에서 가장 비중이 높은 다섯 곡식을 가리키는 말. 굳이 사곡도 칠곡도 아닌 왜 굳이 오곡이 꼽히냐면 오행으로 인해 다섯 요소를 함께 먹음으로써 장수와 건강을 바랐던 것 같다. 대체적으로는 이 오곡은 기장, 수수, 피, 조, 팥, 메기장, 보리, 벼, 밀, 콩, 깨 등 중에서 들어간다.
2. 각 국가에서의 오곡
2.1. 한국
쌀, 보리, 조, 콩, 기장
단 대보름에 먹는 오곡밥은 보통 이 조합으로는 짓지 않는다. 어느 레시피를 찾아봐도 팥과 찹쌀은 반드시 들어간다. 시대에 따라 변천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세종실록지리지에는 조 대신 '직稷'이라는 곡식이 들어가 있다. 이 직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수수라는 설도 있고 피라는 설도 있다. 그냥 조가 맞다는 설도 있다. 현대의 오곡밥도 꼭 저 다섯 곡식으로 짓는 것은 아니며 밤이나 대추 같은 걸 넣고 대충 잡곡 섞어서 짓는 경우도 많다.
2.2. 중국
보리, 콩, 피에 지방과 시대에 따라 쌀, 수수, 참깨가 번갈아가며 들어간다.
2.3. 일본
쌀, 보리, 조, 팥, 콩(대두). 팥 대신 기장이 들어가기도 하는데 이렇게 하면 상술한 현대 한국의 오곡과 똑같다.
2.4. 영국
해바라기씨, 아마씨, 호박씨, 양귀비씨, 잡곡[1]
멀티 시드라는 명칭으로 건강식으로 꼽히고 있다. 역사성이 깊은 건 아니고 오곡처럼 이렇게 꼽아서 빵에 넣어 먹는다.[2] 물론 빵 자체는 밀, 혹은 호밀로 만든다. 잡곡에는 기장이나 조가 주로 들어간다.
[1] millet이라고 한다.[2] 대한민국 제과점에서는 '크라프트콘'이란 재료를 투입하고 주로 식빵 형태로 생산하는데 오곡이란 이름과 합성해서 오곡식빵이라고도 불린다. 참고로 크라프트콘에는 호밀가루,대두,맥아밀,해바라기씨,아마씨 등이 함유되어 있다. 그런데 부르는 명칭이 곡물식빵,잡곡식빵 등 제과점마다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