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의 인물/1940년대

 



1. 1940년
2. 1941년
3. 1942년
4. 1943년
5. 1944년
6. 1945년
7. 1946년
8. 1947년
9. 1948년
10. 1949년


1. 1940년


'''< 1940년 타임지 선정 올해의 인물 >'''
[image]
윈스턴 처칠 영국 총리
1940년 5월 10일 수상에 취임한후 영국 본토 항공전등을 지휘하였고 독일에게 뼈아픈 패배를 안겨주었으며, 전시 내각의 수반으로 대독 항쟁의 상징적인 인물이었기에 올해의 인물로 선정.

2. 1941년


'''< 1941년 타임지 선정 올해의 인물 >'''
[image]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미국 대통령
1941년 12월 7일, 진주만 공습을 당하자 일본에 대한 선전포고를 선언, 미국은 국가가 전시태세로 전환되면서 제2차 세계대전에 본격적으로 개입하게 되었다. 이 때문에 올해의 인물에 선정.
사실, 이때 진주만 폭격등으로 미국이 개입하지 않았다면 올해의 인물로는 모스크바를 지켜내며 동부전선을 막아낸 이오시프 스탈린이 선정될 확률이 높았다.

3. 1942년


'''< 1942년 타임지 선정 올해의 인물 >'''
[image]
이오시프 스탈린 소련 서기장
동부전선에서 독일의 대대적인 공격을 막아내고, 오히려 소련군의 대대적인 반격으로 동부전선을 지켜내자 3년 전의 비아냥을 뒤집고 칭찬의 의미로 올해의 인물로 선정.

4. 1943년


'''< 1943년 타임지 선정 올해의 인물 >'''
[image]
조지 C. 마셜 미국 육군참모총장
조지 마셜은 이후 한번 더 선정이 되나 이때 선정을 했던 당시엔 국무장관이 아닌 육군참모총장직에 있었다. 전쟁을 수행함에 있어서 가장 큰 역할을 담당했기에 올해의 인물로 선정.

5. 1944년


'''< 1944년 타임지 선정 올해의 인물 >'''
[image]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연합군 최고사령관
노르망디 상륙작전을 성공적으로 마친 연합군 최고사령관의 드와이트 아이젠하워가 선정. 더군다나 12월엔 별이 다섯개로 진급까지 했기에 전쟁영웅으로 언급되기 적절한 시기였다.

6. 1945년


'''< 1945년 타임지 선정 올해의 인물 >'''
[image]
해리 S. 트루먼 미국 대통령
프랭클린 D. 루스벨트의 급사 이후 미국 부통령이었던 해리 S. 트루먼은 독일의 항복을 받아내고 일본의 항복을 위해 원자폭탄 사용을 허가하는 등 정확하고 중요한 결정을 내려 전쟁을 승리로 이끌어냈기 때문에 올해의 인물로 선정.

7. 1946년


'''< 1946년 타임지 선정 올해의 인물 >'''
[image]
제임스 번스 미국 국무장관
전쟁이 종식되고 미국소련간의 냉전의 분위기가 감돌기 시작했던 1946년에 국무장관으로 있던 번스는 대소련 강경책을 강력하게 주장했었고 독일에게 과도한 제제보다는 빠른 시일내에 재건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던 것을 높게 평가받아 올해의 인물로 선정.

8. 1947년


'''< 1947년 타임지 선정 올해의 인물 >'''
[image]
조지 C. 마셜 미국 국무장관
흔히 아는 마셜 플랜을 제안, 유럽의 전후복구를 도모해 소련의 서진을 막아야 된다는 제안을 한 조지 마셜이 올해의 인물을 수상.

9. 1948년


'''< 1948년 타임지 선정 올해의 인물 >'''
[image]
해리 S. 트루먼 미국 대통령
대통령 선거에서 떡실신 당할 것으로 생각된 트루먼[1]여론조사 결과를 뒤집고 승리하면서 올해의 인물로 선정.

10. 1949년


'''< 1949년 타임지 선정 올해의 인물 >'''
[image]
윈스턴 처칠 영국 보수당 당수
올해의 인물이자 반세기의 인물로 선정. 공산주의 확산을 막기 위해 노력한 공로로 선정되었다. 철의 장막이란 말도 이때 처칠이 유행시켰다
[1] 이때 일찌감치 포기하고 선거 결과 보고도 안 기다리고 그냥 자버렸다는 일화는 유명하다. 참고로 이날 시카고 일보는 공화당 후보 토머스 E. 듀이가 이겼다는 역사적인 오보를 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