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도

 

1. 王道
2. 王都
3. 동진의 재상
4. 삼국지의 인물들
6. 홍콩 영화 액션배우 왕도


1. 王道


맹자가 주장한 이상적인 정치형태. 구체적으로 '이러저러하게 한다'는 식이 아니라 말 그대로[1] (당시로서는) 상상할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정치형태이다. 굳이 현대적으로 풀이하자면 '인(仁)과 덕(德)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백성을 이롭게 하는 통치'이다. 간혹 왕도를 단순히 인과 덕에만 치중하는 것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있는데, 맹자는 '산 사람을 봉양하고 죽은이를 장사지내는 데 유감이 없게 하는 것이 왕도의 시작'이라고 하였다. 즉 제 아무리 정의로운 정치를 펼친다 하더라도 민생을 피폐하게 하면 왕도로 보지 않는다. 하지만 그렇다고 하더라도 맹자의 사상 중에서 '왕도'가 당대뿐만 아니라 후대의 사상들과 비교하더라도 통치자의 정의로움을 굉장히 강조한 것은 사실이다. 양나라 혜왕에게 초빙받고 왕이 자신의 나라에 이익이 되는 말을 해 달라고 하자, "왕께서는 오직 어짊과 의로움만을 말씀하실 것이지, 하필 이익을 말씀하시나이까"라고 대답하고 민심을 저버리는 왕은 갈아치워야 한다고 주장한 것이 맹자다.
왕도에 대비되는 것은 패도(覇道)이다. 단순하게 설명하면 이 둘의 차이는 힘(권력)을 보는 시선에서 온다고 할 수 있는데, 왕도적 가치관에서 정치권력을 인간 덕성의 산물로 보는 반면 패도는 힘을 인간 사회를 규정하고 바꾸는 원천으로 본다. 즉 왕도정치가 사람을 감동시켜서 순종을 이끌어 내어 거기서 자연적으로 발생한 권위에서 권력이 우러나온다고 보는 반면,[2] 패도정치는 권력을 가진 자가 권위를 가지게 되며 그 권위가 인간의 복종심을 일으킨다고 보았다. 즉 '권위'의 기저를 이루는 심리가 존경심이면 왕도, 공포면 패도가 되는 것이다. 넓게 보면 성선설성악설, 유가법가의 정치철학의 차이와도 그 맥이 닿아있다고 할 수 있다.
패도정치를 한 대표적 인물들로 전국시대 국가의 군주들이 있다. 왕도와 패도를 필요에 따라 동시에 구사하는 군주들도 존재했는데 이런 정치술을 왕패병용(王覇併用)이라고 한다. 대표적인 인물로 초장왕이나 당태종을 들 수 있다. 한국사에서 가장 왕도와 패도적 태도가 극명하게 대비됐던 사례로 927년 견훤신라 약탈 직후 견훤과 왕건이 주고받은 서신이 있다. 조선태종 역시 패도적 성향을 보여준 대표적 사례이다.[3]
위의 개념과는 별개로, 왕도에는 '어떤 어려운 일을 해 나가기 위한 쉬운 방법이나 지름길'이라는 뜻도 있다. 이는 프톨레마이오스 왕이 그리스의 학자 에우클레이데스(유클리드)에게 기하학을 좀 더 쉽게 배울 수 있는 방법이 없냐고 묻자 유클리드가 "기하학에는 왕도가 없다"라고 대답했다는 서양 고사에서 유래한 것이다. 여기서 유클리드가 언급한 왕도(Royal Road)는 아케메네스 왕조 페르시아 제국이 만든 도로를 가리키는 것이다. 페르시아는 제국의 서쪽 끝에 있는 리디아 속주의 수도 사르디스에서 바빌로니아 속주의 수도이자 제국 1의 도시인 바빌론을 거쳐 수도이자 2의 도시인 수사에 이르는 일종의 고속도로를 만들었고, 요소마다 역참과 수비대를 갖추어 당시 도보 여행으로 90일 걸리던 거리를 파발마로 7일만에 주파할 수 있었다고 한다. 유클리드는 학문을 하는 데에는 이처럼 빠르게 갈 수 있는 길을 만들 수 없다고 말한 것이다.[4]
창작물에서 '왕도'라는 말을 쓸 때는 '정석적인', '정통적인', '뻔하고 식상하지만 무난하게 널리 쓰이는' 등을 의미한다.
ex) 왕도 스토리, 왕도 판타지, 왕도 주인공 등등.

1.1. 로얄로드




1.2. 프로레슬링 스타일의 일종


'''王道 プロレス'''
미사와 미츠하루 생전 전일본 프로레슬링프로레슬링 NOAH가 주창한 프로레슬링의 철학.[5] 해당 항목 참조.

2. 王都



왕도(王都). 즉 왕이 있는 도읍을 말한다. 수도(首都)와는 거의 의미적으로 상통하지만 미묘한 차이가 존재한다.
자체적으로 신분제적 의미를 포함하고 있는데다, 군주들이 별다른 힘을 가지지 못하는 현대에 들어선 그다지 쓰이지 않는 말이지만 서브컬처, 특히 일본에서 유래한 작품들에서 이따금 등장하기도 한다.

3. 동진의 재상




4. 삼국지의 인물들




5. KBS 대하드라마



[image]
1991년에 방영된 KBS의 전 대하사극. 김영철, 강석우의 주연작이다.

6. 홍콩 영화 액션배우 왕도


왕도(王道, Don Wong Tao).


[1] 가장 좋은(王) 도(道)[2] 맹자에 따르면 힘으로써 사람을 복종시키는 것이 아니라 마음 속에서 참되게 복종시키는 것이 바로 임금된 자의 도리라고 했다.[3] 태종 이방원은 '패도정치의 전형'으로 오해하기 쉬운데 조선을 반석에 올리기 위해 한 개혁정치들이나 부국강병책들에서는 오히려 왕도정치의 면모도 많이 찾아볼 수 있다. 무엇보다 태종 본인이 왕도정치를 이상으로 삼는 성리학을 배우고 성장했으며 궁극적으로 '강력한 왕권 아래 유학의 이상이 실현되는 나라'를 꿈꾼 인물이다.[4] "기하학에는 지름길이 없다"고 번역했으면 더 의미가 쉽게 와닿았겠지만 처음에 왕도라고 번역하는 바람에 이대로 굳어졌다.[5] 레슬링을 엔터테인먼트가 아닌 몸과 몸을 부딪히는 투기의 연장선상에서 해석하는 듯한 과격한 슬램 주고받기, 처절한 난타 공방전등 80년대 이전 스타일의 프로레슬링을 지향하는 일종의 복고주의. 이 때문에 미사와시절 전일본과 NOAH는 심심하면 수직낙하기가 터지고 설붕식,단층식,나락식 낙하기가 난무하는 무시무시한 단체가 되었다. 하드코어가 아닌 순수한 프로레슬링 단체로썬 가장 과격한 스타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