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술관
[image]
1. 설명
일본 다케다 소가쿠(武田惣角)의 대동류 합기유술(大東流合氣柔術)로부터 파생된 대한민국의 무술로, 도장 명의 유래는 한국 합기도의 시초인 최용술(崔龍述 1899-1986) 도주의 이름에서 따 왔다. 최용술 도주는 자신의 고향 충청도에 위치한 도장인 용술관에 자신의 이름을 사용할 수 있게 할 정도로 특별히 아꼈다. 그가 처음 선 보인 기술, 소위 원형 술기를 계승한다는 점에서 한풀과 비슷한 위치에 있다고 할 수 있을 듯. 총본부 합기도 용술관(合氣道龍術館)은 충청남도 금산군에 위치.
현재는 창시자의 호인 덕암(德庵)에서 따와 덕암류 합기유술(德庵流 合氣柔術) 이라는 명칭을 주로 이용하고 있다. 이유는 최용술 도주가 1950년대 대구에서 처음 가르침을 펼칠 당시의 합기원형술기를 보존하고, 현대의 합기도와 구별하여 전수하도록 원래의 명칭인 '''합기유술'''을 사용하라는 의미에서란다. 현재 용술관의 관장은 합기도 3대 도주 김윤상(金潤相)으로, 팔순 중반의 연세에도 스승의 유언에 따라 매일 도복을 입고 수련하며 직접 제자들을 가르치고 있다.[1] 김윤상 도주는 세계에 몇 없는 합기(合氣)의 경지에 이른 사람이라고 한다. 고수를 찾아서에 출연해 자신의 술기와 실력을 보여주었다. 건장한 성인을 그것도 십수년 이상 합기도를 수련한 제자나 타 유파 사범들을[2] 손가락 하나로 무력화하는 믿기 힘든 실력을 보여주었다.[3]
2000년대초 일본 대동류 합기유술 종가 성심관의 후쿠오카 마사미[4] 가 용술관을 다녀간 후[5] , 비전(秘伝)[6] 에 용술관을 소개한 기사에서 발췌.
적극적인 홍보 보다는 소문이나 여러 매체 등 에서 소식을 접하고 찾아 오는 수련생들이 대부분이다.[10] 특히 고수를 찾아서의 저자 한병철[11] 의 서적과 방송에 소개된 이후부터 수련생들이 늘었다고 한다. [12] 실제 경험을 해 본 타 무술계 수련인들[13] 이 합리유술이라 부르기도 할 만큼 합리성과 나름의 깊이가 있다. 김윤상 도주는 합기도를 목적에 따라 수련용과 시합용으로 나누어 가르쳐야 한다고 말한다. [14]1. GM[7]
Kim Yun-sang showed me his techniques.김윤상 대선생은 나에게 그의 기술을 보여주었다.
2. DR, he had power-release-aiki, Matsuda Toshimi was named for well-teaching it. Now Matsuda DR students are practicing it
대동류다. 김윤상 선생은 힘을 푸는 '합기'를 가지고 있었다. 마츠다 토시미[8]
가 그 기술을 잘하였다고 알려져 있고 지금도 마츠다의 대동류 제자들이 이를 수련하고 있다. [9]3. Exactly it had DR characteristic in the stem.
정확히 그 줄기에는 대동류의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4. He had high skill. It can't be denial.
그는 뛰어난 기술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는 부인할 수 없다.
5. That includes some other techniques of DR.(still unideinfied, probably Youshin-ryu stream)
그 기술은 다른 대동류의 기술들을 포함하고 있다.(아직 확인되지는 않았지만 아마도 요신류 스타일)
6. It was special style I never seen.
이는 내가 전혀 보지 못한 스타일이었다.
7. Generally, HKD stemed from DR techs and has developed on their own way.
일반적으로 합기도는 대동류 기술에서 나왔으며 자신들만의 방식을 개발했다.
8. GM Kim Youn-sang's skill is authentic (It can be reliable for Korean students). No need to rely on Takeda Sokaku's myth.
김윤상 대선생의 기술은 진짜다 (한국의 수련생들은 믿음을 가져도 좋다). 다케다 소가쿠의 전설에 의존할 필요없다.
한국의 합기 관련 무술 중에서도 고류 형태의 유술 모습에 근접한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간단한 손, 발차기 [15] 수련을 제외하면 수련 시간 대부분이 유술 기술을 익히는 훈련의 반복이다. 승급도, 승단도 쉽지 않으며, 수련 강도도 강하고 쎈 편. 분위기도 조금 살벌해서 오래 버티지 못하고 수련을 그만두는 관원생도 상당하다. [16] 낙법도 기존 합기도에서 볼 수 있는 낙법이 아니라, 딱 당사자 자신의 머리를 충격에서 보호할 수 있는 수준까지만 한다. [17]
술기의 형(形)을 한풀처럼 김윤상 도주가 다시 분류하고 육갑비축에서 글자를 따와 임술기, 병술기, 투술기, 자술기, 개술기 등으로 이름을 붙였다.[18]
그리고, 기존 한국식 합기도와 확연히 다른 부분이 있는데, 아이키도처럼 양손을 전부 수련한다는 것이다. [19]
예전에는 삼국 드립을 치기도 했지만, 지금은 그런 것 없이 '일본에서 온 야와라(柔)'라고 깔끔하게 주장한다. 과거에 최용술 도주 본인이 다케다 소가쿠의 양자였고 대동류 합기유술을 배웠다는 말을 하여 논란이 있었다.[20] 최근에 밝혀진 바에 따르면 다케다 소가쿠에게 직접 배웠기도 했으며,[21] 또한 대동류의 맥을 이었다고 볼 수 있다. 미국의 저명한 무술가 리처드 킴이 1984년 미국 합기도인 글렌(Glenn)에게 보낸 편지만 보더라도, 최용술 도주가 다케다 소가쿠의 직제자인 요시다 코타로(吉田幸太郞)의 뛰어난 제자였고, 최용술 도주의 일본 이름이 요시다 아사오(吉田朝男)였다는 내용이 있다. 정황을 따지자면, 다케다 소카쿠한테 배사하되 실질적으로 오랜 시간동안 요시다 코타로한테 배운 듯하다. [22]
요시다 코타로는 흑룡회 맴버였다. 흑룡회란 제국주의 일본의 우익조직으로, 일본 제국이 헤이롱장(흑룡강黑龙江) 일대를 차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단체라 이름을 흑룡회라 하였다. 이들은 대한제국의 식민지화에 적극 앞장섰고, 일진회를 배후에서 조종하였으며, 이후 만주와 일본 등지에서 조선인 학살을 주도하는 만행을 저질렀다. 일본 무술계는 최용술 도주가 반일 감정이 높을 수밖에 없었던 해방된 고국에서 누구에게 배웠는지를 솔직하게 말할 수 없었던 것이 아니냐고 주장한다.[23]
용술관 도장에 있는 최용술 도주가 시연한 대동류 칠리 끌기(七里引技)의 자료를 보도한 일본 비전(秘伝)의 자료.
http://cfile240.uf.daum.net/R400x0/25647A3F50FAAC091D0306
충남 금산 본부 도장외에 서울, 대전광역시, 대구광역시, 부산, 세종특별자치시, 청주시 등에도 지부가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