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부 내역은 다음과 같다.
'''시기'''
| '''내용'''
|
상고시대
| 현재 밝혀진 유적조사에 따르면, 원주 지역에는 수만 년 전부터 인류가 생활하였던 것으로 추측된다. 삼한시대의 원주지역은 54개 부족구가로 형성된 마한의 가장 동쪽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
삼국시대
| 백제가 마한을 통일하였을 때에는 백제의 영토였고, 고구려의 남하정책으로 장수왕 57년(469)에는 원주지방을 평원군이라 하였다.
|
남북국시대
| 문무왕 18년(678년) 전국의 행정구역을 재 정비하여 9주 5소경을 설치할 때 북원소경이라 하였고, 경덕왕 때 북원경이라 하였다. 9세기 말 신라가 쇠퇴하면서 각처에서 반란이 일어나자 양길은 원주지역을 근거로 세력을 확장하여 오늘날의 강원도 지역 대부분을 차지하는 큰 세력으로 성장하였다.
|
고려시대
| 고려 태조 23년(940) 북원경을 폐지하고 원주를 개칭하였다. 성종 14년(995) 전국의 행정구역을 10도 12목으로 개편하였을 때 원주지방은 충원도(현재 충북)에 소속되었다. 충렬왕 17년(1291) 합단적의 침입이 있었을 때에 향공진사 원충갑과 원주 사람들이 물리친 공을 기리기 위하여 익흥도호부로 개칭되었으며, 이후 충렬왕 34년(1308) 원주목으로 승격하여 행정의 중심지가 되었다.
|
조선시대
| 1395년 지방행정구역을 정비하면서 강릉도와 교주도를 합하고 강릉의 '강'자와 원주의 '원'자를 합하여 강원도라 하였고, 원주에 강원감영이 설치되어 이때부터 강원도의 수부로서 행정·치안·사회·문화 등의 중심지가 되었다. 1895년 5월 26일자로 전국이 23부 337군 제도로 개편되면서 원주는 충주부에 소속되었고, 1896년 8월 4일자로 팔도의 골격을 그대로 유지하여 전국을 13도 1목 7부 331군 제도를 실시하게 되었으나, 원주에 있던 강원도 감영은 원주에 회복되지 못하고 춘천으로 이전하였다.
|
1895년 5월 26일
| 칙령 제98호(1895.5.26. 공포)로 제1조 및 제3조에 의거 전국행정구역을 23부 336군으로 정비함에 따라 원주의 강원감영을 폐하고 강원도는 2개 부(강릉부-9개군, 춘천부-13개군)로 개편되었으며, 원주군 외 3개 군(영월, 평창, 정선)은 충주부에 이속되었다.
|
1896년 8월 4일
| 칙령 제36호(건양원년 1896.8.4 공포, 당일 시행) 제5조에 의거 전국 23부를 폐지하고 13도로 개편됨에 따라 강원도가 부활되면서 원주군 외 3개 군(평창, 영월, 정선)은 강원도로 편입되고 관찰사는 춘천에 배치되었다. 이 당시 전국 군은 5단계 등급으로 339군 중 원주군은 4등급의 군이었으며 19개 면이 있었다(본부면, 저전동면, 사제면, 판제면, 금물산면, 미내면, 부론면, 귀래면, 강천면, 지내면, 지향곡면, 정지안면, 고모곡면, 호매곡면, 소초면,수주면, 양변면, 가리파면, 부흥사면).
|
1914년 3월 1일
| 총독부령 제111호(1913.12.19 공포)로 강원도를 21개 군(이천군, 간성군, 김화군, 철원군, 울진군, 춘천군, 횡성군, 홍천군, 원주군, 평창군, 영월군, 정선군, 삼척군, 강릉군, 양양군, 통천군, 회양군, 평강군, 화천군, 양구군, 인제군)으로 조정한 뒤, 원주군은 원주군 일원으로 하였다.
|
1916년 1월 1일
| 조선총독부 강원도고시 제52호(조선총독부 관보 제1032호. 1916.1.15)에 의거 원주군 10개면 67개리(본부면-5개리, 금물산면-5개리, 귀래면-5개리, 가리파면-7개리, 판부면-6개리, 소초면-7개리, 호저면-9개리, 지정면 -8개리, 건등면-9개리, 부론면-6개리)로 구역이 설정되었다(1915.12.25 공포, 1916.1.1시행).
|
1937년 7월 1일
| 원주군 본부면이 원주읍으로 승격함으로써 원주군은 1읍 9개면으로 확정되었다. 원주읍(15개정) - 본정1.2정목(중앙), 대화정(인동), 금정(일산), 개운정(개운,명륜), 남산정(원동), 영정(학성1.2동), 욱정(평원), 흥양정(소초면 흥양리), 봉산정 1,2,3구, 태장1.2구, 사천리(단계)
|
1938년 10월 1일
| 부령 제197호(1938.9.27. 공포)에 의거 원주읍 흥양정을 소초면에 넘겼다.
|
1945년
| 정을 동으로 개정하였다(15개동-평원동, 인동, 중앙동, 일산동, 개운동, 명륜동, 원동, 학성1.2구, 단계동, 태장1.2구, 봉산1.2.3구).
|
1955년 9월 1일
| 법률 제372호(원주시설치에관한법률, 1955.8.13 공포, 동년 9.1 시행)로 원주군 중 원주읍 일원, 판부면 단구리, 행구리, 호저면 우산리를 편입하여 행구동, 단구동, 우산동을 증설하여 18개 동으로 시 승격하고 나머지 구역을 원성군으로 개칭하였다.
|
1961년 9월 15일
| 연합동제를 실시하였다(12개 동). 중앙동, 평원동을 중평동으로, 원동·인동을 원인동으로, 학성1·2구는 학성동으로, 태장1·2구는 태장동으로 봉산1·2·3구는 봉산동으로 연합하였다.
|
1965년 12월 28일
| 시조례 제207호(1965.12.28 공포, 동일 시행)로 14개동(중앙동, 평원동, 원동, 인동, 개운동, 명륜동, 단구동, 일산동, 학성동, 단계동, 우산동, 태장동, 봉산동, 행구동)의 명칭 및 구역을 설정하였다.
|
1970년 7월 1일
| 인구 증가로 학성동, 태장동, 봉산동을 각각 2개 동으로 분동, 3개 동을 증설하여 15개 연합동제를 실시하였다.
|
1973년 7월 1일
| 대통령령 제6542호(1973.3.12. 공포) 및 시조례 제514호(1973.5.23 공포, 동년 7.1 시행)로 18개 동 명칭과 구역을 설정(중앙동, 평원동, 원동, 인동, 개운동, 명륜동, 단구동, 일산동, 학성동, 단계동, 우산동, 태장동, 봉산동, 행구동, 원성군 호저면 가현리를 원주시에 편입하여 가현동, 흥업면 무실리 일원을 편입하여 무실동, 판부면 관설리를 편입하여 관설동, 판부면 반곡리를 편입하여 반곡동)하여 법정동 18개동(행정동 18개동)으로 확정하였다.
|
1983년 2월 15일
| 대통령령 제11027호(1983.1.10. 공포, 동년 2.15 시행)로 원성군 소초면 장양리 일부를 원주시에, 원주시 관설동 일부를 원성군 판부면에(신촌리 설치), 강원도 횡성군 서원면의 매호리, 산현리 및 압곡리 일부를 원성군 호저면에 편입하였다.
|
1989년 1월 1일
| 법률 제4050호(1988.12.31 공포, 익년 1월 시행)로 원성군을 원주군으로 명칭 변경하였다.
|
1990년 4월 1일
| 시조례 제1486호(1990.3.31 공포, 동년 4.1 시행)로 18개 동(중앙동, 평원동, 원동, 인동, 개운동, 명륜동, 단구동, 일산동, 학성동, 단계동, 우산동, 태장동, 가현동, 봉산동, 무실동, 행구동, 관설동, 반곡동) 중 5개 동(단계동, 봉산동, 무실동, 행구동, 반곡동)을 제외한 나머지 동의 구역을 변경하였다. 단구동 일부를 명륜동과 개운동으로, 우산동 일부를 학성동과 태장동으로, 명륜동 일부를 원동으로, 원동 일부를 명륜동으로 조정하였다.
|
1992년 9월 29일
| 시조례 제1634호(1992.9.29 공포)로 원동 일부가 명륜동으로, 단구동 일부가 개운동으로 각각 편입되었다.
|
1993년 4월 6일
| 시조례 제1658호(1993.4.6 공포)로 무실동 일부가 단계동으로 편입되었다.
|
1993년 7월 21일
| 시조례 제1675호(1993.7.21 공포)로 개운동 일부가 단구동으로, 명륜동 일부가 원동, 단계동으로 편입되었다.
|
1995년 1월 1일
| 법률 제4774호(1994.8.3 공포)로 원주시와 원주군을 통합하여 원주시를 설치(9면 18동 - 소초면, 호저면, 지정면, 문막면, 부론면, 귀래면, 흥업면, 판부면, 신림면, 중앙동, 평원동, 원동, 인동, 개운동, 명륜동, 단구동, 일산동, 학성동, 단계동, 우산동, 태장동, 가현동, 봉산동, 무실동, 행구동, 관설동, 반곡동)하였다.
|
1995년 2월 15일
| 시조례 제39호(1995.2.15 공포)로 단계동 일부가 명륜동으로 편입되었다.
|
1995년 3월 1일
| 법률 제4802호(1994.12.22 공포)로 경기도 여주군 강천면 대둔리 일부가 원주시로 편입되었다. 시조례 제142호(1994.12.22 공포)로 행정운영 읍면동 조정으로 명륜동이 명륜1·2동으로 분리(9면 19동 - 소초면, 호저면, 지정면, 문막면, 부론면, 귀래면, 흥업면, 판부면, 신림면, 중앙동, 원인동, 개운동, 명륜1·2동, 단구동, 일산동, 학성1·2동, 단계동, 우산동, 태장1·2동, 봉산1·2동, 무실동, 행구동, 관설동, 반곡동)되었다.
|
1995년 3월 2일
| 시조례 제141호(1995.2.28 공포)로 문막면이 문막읍으로 승격(1읍 8면 19동)되었다.
|
1995년 11월 17일
| 시조례 제166호(1995.11.17 공포, 동일 시행)로 1읍 8면 18개동 중 일부 동 구역이 조정되었다(종전 일산동중 일부가 원동, 개운동 일부가 명륜동, 일산동 일부가 학성동, 학성동 일부가 단계동으로 편입).
|
1999년 1월 1일
| 시조례 제341호(1998.12.24 공포)로 행정운영 읍면동 명칭 및 구역이 조정되었다. 학성2동과 중앙평원동이 중앙동, 봉산1.2동이 봉산동, 관설동과 반곡동이 반곡관설동, 학성1동이 학성동, 단계동일부를 무실동으로 명칭 및 구역이 조정되었다(1읍 8면 16동 - 문막읍, 소초면, 호저면, 지정면, 부론면, 귀래면, 흥업면, 판부면, 신림면, 중앙동, 원인동, 개운동, 명륜1.2동, 단구동, 일산동, 학성동, 단계동, 우산동, 태장1.2동, 봉산동, 행구동, 무실동, 반곡관설동).
|
가 차례로 차지하여 다스린 땅이었다. 가장 먼저 차지한 나라는
을 합병하며 마한의 땅이었던 원주를 그대로 차지했다. 이후 469년에 남진정책을 펼친
이 백제에 이어 두 번째로 원주를 차지하여 평원(平'''原''')군이라고 개칭하였다. 이후 세 번째로
땅이 되었다.
16년 북원경(北'''原'''京)이 되었다. 지금도 그렇지만 예부터 사통팔달의 요충지로 군사상 중요한 곳이었으며, 앞서 등장한 지명에서 보듯이 이름에 넓고 탁 트인 들
이라는 뜻이 있었다. 이 뜻은 지금까지 이어져 오늘날 원주(原州)가 되었다. 또한 평원, 북원 등의 지명도 평원로, 북원로, 북원여자고등학교, 평원초등학교 등으로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에게 패배한다.
940년(태조 24년) 처음으로 원주라는 지명이 등장하였으며, 1018년(현종 8) 영월군, 제천군을 속군으로 평창현, 황려현(여주), 단산현(단양), 주천현, 영춘현이 속현이 되어 광활한 면적을 차지하기도 하였다. 신종의 등극 전 봉지였다. 1291년(충렬왕 17년) 원충갑이
을 막아내어 익흥도호부(益興都護府)로 개칭되었다.
1395년 조선시대 지방 행정구역을 재편하면서 강릉과 원주의 이름을 따 강원도가 생기고 감영이 설치되어 500년 간 도의 중심지가 된다. 그 전에는 양광도에 속했으나, 양광도가 남북으로 경기도, 충청도로 나눠지는 와중에 원주 일대만 딱 양광도 계열 도가 아닌 교주강릉도 계열의 도로 넘어가게 된다.
, 이듬해인 1896년 다시 8도를 바탕으로 한 13도제가 시행되었다.
에 편입되었다.
으로 인해 산하의 몇몇 면이 통폐합되었다. 1937년 원주군 본부면일원과 호저면 사천리를 원주읍, 건등면은 문막면으로 각각 변경하였다. 1938년 조선총독부의 방침에 의거 원주읍 흥양정을 소초면에 넘겼다.
1955년 원주읍이 원주시로 승격되고, 나머지 면 지역은 원성군(原城郡)으로 개칭되었다. 이 때 호저면 우산리와 사천리, 판부면 단구리, 행구리가 원주시에 편입되었다. 1973년 호저면 가현리, 흥업면 무실리, 판부면 반곡리, 관설리가 원주시에 편입되고 지정면 무장리가 호저면에 편입되었다. 1983년 횡성군 서원면 산현리, 매호리와 압곡리 일부(용곡리)가 호저면에 편입되고 관설동 일부가 판부면 신촌리가 되었다.
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