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부제

 


[image]
23부제 지도
23부제 지도
이남지역의 23부제 지도
1. 개요
2. 23부 목록
3. 문제점
4. 폐지
5. 영향
6. 둘러보기


1. 개요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부터 1896년 8월 4일까지 실시된 조선 말기의 지방 행정구역. 중간에 음력을 병기한 이유는 이 제도를 시행할 때 조선은 태음태양력을 사용했으나 1896년을 기점으로 조선이 표준 달력을 태음태양력에서 태양력으로 바꿨기 때문이다.
제2차 갑오개혁의 일환으로 진행된 행정구역 개편으로, 조선 건국 이래 500여년간 지속되어 온 8도를 해체하고 전국을 8도보다 좀 더 세분화된 23부(府) 337군(郡)으로 분할하였다. 조선의 기존 행정구역은 (道) 아래에 ·대도호부··도호부·· 등 다양한 등급의 행정구역이 혼재되어 혼란을 초래하고 있었다. 이를 부-군 체계로 이원화하여 행정의 효율을 높이고자 한 것이 개혁의 취지.
실제로 전통적인 8도 체제는 제정된 지 시일이 상당히 지난 탓에 도 간의 인구격차가 크고, 실제 생활권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조선 인구의 대다수를 차지하던 남부지방이 겨우 3개 도(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통칭 삼남)로 편성된 데 비해 인구밀도가 희박하면서 면적이 거대한 북부지방은 2개 도(평안도, 함경도)로 편성되었고, 생활권이 서로 다르던 영동영서가 같이 강원도에 묶였는가 하면, 생활권이 비슷한 충주를 중심으로 한 남한강 수계 일대는 충청도와 강원도로 양분되었다.
23부제 개혁은 인구분포 및 생활권을 보다 실질적으로 반영하고, 지역편차가 큰 도를 더 작게 나누는 방향으로 이뤄졌다. 도 아래의 하위 행정구역이었던 부[1]·대도호부·목·도호부·군·현은 모두 군으로 일원화되었다. 또한 각 부의 명칭을 정할 때 그 부 소속이 최대도시(부 소재지)의 이름을 차용했다.[2]
각 행정구역의 장관으로 부에는 부장관(府長官)[3]을, 군에는 군수(郡守)를 두었다. 이때 집권층의 성향이 그렇듯이 동시대 일본의 폐번치현도도부현 체제의 영향을 크게 받았던 것 같다. 일본도 전통적으로 한국처럼 오기칠도라고 해서 전국을 7개 도로 나누었고 교토와 오사카 등 간사이 지역은 '긴키'라고 해서 별도의 행정구역으로 삼았던 것을, 메이지 유신 때 부와 현으로 개편하면서 광역행정구역의 이름을 소속의 최대도시(부 소재지)에서 차용했다.

2. 23부 목록


'''23부'''

소속 군 (郡)
한성부(漢城府)
한성, 고양, 파주, 교하[4], 연천, 적성[5], 양주, 포천, 영평, 가평[6], 광주(廣州)
인천부(仁川府)
인천[7], 부평, 강화, 교동, 김포, 통진, 양천, 시흥[8], 과천[9], 안산[10], 수원[11], 남양[12]
충주부(忠州府)
충주, 원주, 제천, 청풍, 단양, 영춘, 음성, 진천, 괴산, 연풍, 청안
여주, 이천(利川), 음죽, 용인, 오산, 양지, 죽산, 평창, 정선, 영월
홍주부(洪州府)
홍주[13], 결성, 예산, 덕산, 대흥, 서산, 해미, 태안, 청양, 정산, 아산
온양, 신창, 당진, 면천, 보령, 남포, 서천, 비인, 한산, 임천, 홍산
공주부(公州府)
공주, 청주, 천안, 목천, 직산, 진위, 평택, 안성, 양성, 회덕 [14], 진잠[15], 연기, 전의, 은진[16], 연산, 노성, 석성, 부여, 문의, 보은, 회인, 옥천, 청산, 영동, 황간, 금산, 진산
전주부(全州府)
전주, 고산, 익산, 함열, 여산, 용안, 옥구[17], 임피, 김제, 금구, 만경
부안, 고창, 흥덕, 무장, 정읍, 고부, 태인, 장성, 영광, 지도[신설][18]
남원부(南原府)
남원, 운봉, 구례, 곡성, 옥과, 담양, 창평, 순천(順天), 돌산[신설][19], 광양, 순창, 장수, 진안, 임실, 진안, 용담, 무주
나주부(羅州府)
나주, 남평, 광주(光州)[20], 해남, 완도[신설], 진도, 강진, 흥양[21], 보성, 낙안, 영암, 무안, 함평, 화순, 능주, 동복
제주부(濟州府)
제주, 정의, 대정[22]
진주부(晉州府)
진주, 산청, 단성, 함양, 안의, 하동, 거창, 사천, 곤양, 남해, 합천
초계, 삼가, 고성(固城), 의령, 함안, 칠원, 창원, 진해[23], 웅천[24], 김해
동래부(東萊府)
동래[25], 기장, 양산, 거제, 울산, 언양, 경주, 영일, 장기, 흥해[26]
대구부(大邱府)
대구, 현풍, 경산, 하양, 자인, 인동[27], 칠곡[28], 선산[29], 김산[30], 지례, 개령, 성주
고령, 청도, 영천(永川), 신녕, 의성, 비안, 군위, 의흥, 밀양, 창녕, 영산
안동부(安東府)
안동, 예안, 청송, 진보, 영양, 청하, 영천(榮川)[31], 순흥, 풍기, 상주, 함창, 문경, 예천, 용궁, 영덕, 영해, 봉화[32]
강릉부(江陵府)
강릉[33], 울진, 평해, 삼척, 양양, 고성(高城), 간성[34], 통천, 흡곡
춘천부(春川府)
춘천, 홍천, 낭천[35], 횡성, 양구, 인제, 철원, 김화, 금성, 평강, 회양, 양근, 지평[36]
개성부(開城府)
개성, 풍덕, 장단, 삭녕, 마전, 이천(伊川), 안협, 금천, 토산, 평산, 수안, 신계, 곡산
해주부(海州府)
해주, 연안, 배천, 옹진[37], 강령, 장연, 송화, 풍천, 안악, 은율, 장련, 재령, 신천, 문화, 서흥, 봉산
평양부(平壤府)
평양, 삼화[38], 용강, 강서, 증산, 함종, 중화, 상원, 황주, 강동, 삼등, 성천, 양덕, 안주
영유, 숙천, 순안, 순천(順川), 은산, 자산, 맹산, 영원, 개천, 덕천, 영변, 운산, 희천
의주부(義州府)
의주, 용천, 선천, 철산, 정주, 곽산, 박천, 가산, 태천, 구성, 삭주, 창성, 벽동
강계부(江界府)[39]
강계, 후창, 자성, 초산, 위원, 장진
함흥부(咸興府)
함흥, 덕원, 정평, 영흥, 고원, 문천, 안변, 단천, 이원, 북청, 홍원
경성부(鏡城府)[40]
경성, 부령, 길주, 명천, 무산, 회령, 종성, 온성, 경원, 경흥
갑산부(甲山府)[41]
갑산, 삼수

3. 문제점


도 체제의 한계를 극복하고 생활권을 반영한다는 취지로 편성하였지만 탁상행정인 한계도 있었다. 예를 들면 충주부는 남한강 수계를 반영한 것까지는 좋았는데 충주에서 상당히 멀리 떨어진 용인군정선군까지 관할하고 있었다. 남원부는 전반적으로 섬진강 수계를 반영한 듯 하나 장수군 이북의 금강 수계에 해당되는 무주군, 진안군 등 현재의 전북 동부 산악지역까지 남원부에 편제함으로써 남북으로 길쭉한 관할구역이 형성되었다.
게다가 23부제가 실시된 지 1년도 되지 않은 1896년 2월 11일 아관파천이 벌어졌고, 개혁의 주체였던 친일 세력들은 참살당하거나 외국으로 망명을 가버려 갑오-을미개혁 자체가 준(準)흑역사가 되어버렸다.

4. 폐지


결국 실시하고 정확히 1년 1개월 만에 23부제는 폐지되었고, 8도를 조금 보완해서 큰 도들만 남북 2개로 쪼개는 13도 체제로 행정구역을 다시 재편했다. 그렇다고 해서 일각에서 도 폐지론이 나올 정도로 기존의 도 체제가 문제가 있던 것은 아니었기에 일제강점기에도 총독부는 이를 유지했고, 이로부터 100년이 지난 현대 대한민국에서도 광역행정구역은 13도에서 기초를 둔 도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5. 영향


2000년대부터 추진되고 있는 도 폐지를 골자로 한 행정구역 개편안은 23부제와 더 유사한 측면이 있다. 그리고 23부제 자체가 도 폐지론자들에게 귀감이 되어주기도 하고. 이 때 제대로 되었으면 아마 대한민국의 지방행정사가 크게 바뀌었을 것이다. 단 부군면 통폐합이라는 변수가 있어서 100% 장담은 할 수 없지만. 자세한 사항은 행정구역 개편 항목 참조.
절묘하게도 현재 북한 지역에 해당하는 부들의 위치와 영역은, 북한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비슷하다. 남한 지역 부분의 경우 통일신라 때의 9주 5소경과 그를 이은 고려5도 양계와 비슷하다. 사실 한국사에서는 예나 지금이나 산천을 따라가며 고을의 경계를 그리기 때문에 시대를 초월해 비슷하게 갈 수밖에 없다.

6. 둘러보기




[1] 23부제 이전의 '부'는 도 아래에 있는 군현이었다. 수장은 '유수' 혹은 '부윤'이었다.[2] 원산을 제외한 3대 개항장 지역은 제외. 원래는 종2품 부윤이 다스리던 최상급 행정구역이던 부(상기했듯이 도의 아랫단위)로써 과거 경상좌도의 중심도시였던 경주가 개항 후 급부상하던 동래(오늘날의 부산)에게 소속 부의 타이틀을 빼앗기는 일이 발생했고, 인천의 경우에는 수원이 유수부의 지위를 잃으면서 인천부의 관할이 되었다.[3] 일제에 들어온 지사(知事)라는 단어보다 앞서 장관이란 단어가 관찰사를 대체했다. 이 직함은 대한제국기까지 이어진다. 식민지 시기까지도 조선인들은 구문에서는 도지사라는 용어보다는 도장관이라는 표현을 쓰기도 했다.[4] 현 파주시 교하동, 금촌동, 운정동, 탄현면 일대[5] 현 파주시 적성면, 양주시 남면 일대[6] 1895년 7월 19일 포천군에 합해져 폐군되었다.[7] 지금의 인천광역시 남부를 비롯하여 시흥시 북부와 화성시 남양읍 북부 및 비봉면 북부 일대.[8]시흥시와는 다르다. 서울특별시 금천구, 영등포구, 동작구 서부, 관악구 대부분, 구로구 구로동 및 경기도 광명시 일대. 자세한 내용은 시흥시시흥군 항목 참조.[9]경기도 과천시, 안양시, 군포시 일부, 서울특별시 서초구 대부분, 동작구 동부, 관악구 남현동 일대.[10] 지금의 안산시와 시흥시 남부 일대.[11]수원시 (광교동, 입북동 제외), 화성시 동부, 평택시 서부, 오산시도 포함[12]화성시 서부, 안산시 대부도, 옹진군 영흥면 일대.[13]홍성군 동부 및 서산시 고북면[14]대전광역시 동북부 일대. 참고로 대전의 중심지역인 대전역, 은행동, 둔산신도시, 유성 등은 죄다 공주군의 땅거스러미였다(...)...가, 1895년 유성을 제외하고 회덕군으로 넘어왔다. 유성은 1914년 부군면 통폐합 때 넘어왔다.[15]대전광역시 서남부 일대.[16]논산시 시내를 포함한 남부.[17]군산시 시내를 포함한 서부.[신설] A B C 1896년 2월 3일 신설된 군들 중 하나이다.[18]신안군으로 고군산군도부터 흑산도까지 전라도 서부 섬들의 대부분을 관할하던 군이었다[19] 거금도, 거문도, 돌산도 등 전라도 남동부의 섬을 관할하던 군이었다.[20] 한자만 봐도 알겠지만 당연히 현 광주광역시다. 나주가 광주보다 더 큰 도시였으나 단발령으로 인한 을미의병때 나주가 혼란스러워지자 관찰사가 처소를 광주로 옮기고 의병활동이 진정된 후에도 돌아가지 않다가 13도제가 되면서 도청을 광주로 두면서 역전되었다. 그때 관찰사는 윤치호의 아버지 윤웅렬이다.[21]고흥군[22] 정의군과 대정군을 합하면 현 서귀포시에 해당된다.[23] 창원시 진해구가 아니라 마산합포구의 진전면, 진북면, 진동면 일대에 해당된다.[24] 여기가 창원시 진해구에 해당한다.[25]부산광역시(북구, 강서구, 기장군 제외)[26] 이 3개 지역은 현 포항시[27]구미시 인동동 일대 및 칠곡군 서부에 해당된다.[28]대구광역시 북구 강북지구 일대 및 칠곡군 동부에 해당된다. 현 칠곡군의 영역은 오히려 옛 인동군의 영역을 더 많이 계승하였다.[29]구미시 대부분[30]김천시[31]영주시 남동부.[32]봉화군 중에서 봉성면 등 일부만 해당되며, 정작 봉화읍을 비롯한 봉화군 동부지역 대부분은 옛 안동군의 월경지 영역이었다.[33] 평창군정선군 북부 지역(용평, 봉평, 진부, 대관령, 임계, 방림 등)도 원래는 강릉군 땅이었다.[34]휴전선 이남의 고성군과 영역이 거의 동일하다.[35]화천군[36] 이후 1908년 '''양'''근군과 지'''평'''군이 통합되어 현 양평군이 되었다.[37]황해도(황해남도) 옹진군이다. 인천광역시 옹진군과는 다르다.[38]남포특별시(진남포시)[39] 23부 중 가장 넓었다.[40] 지도를 보면 알겠지만 경성부 자체가 현재 함경북도 일원 그 자체다. 물론 이것도 광복 이후 남북 분단 이전 이야기고, 현재는 함북 일부가 량강도로 편입되어 면적이 작아진 상태.[41] 예하 군이 단 2개뿐이었다. 그럼에도 다른 부에 꿀리지 않는 넓이가 압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