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급날

 

[image]
월급날과 관련된 개그 짤방
1. 개요
2. 목록
3. 관련 문서


1. 개요


말 그대로 월급을 받는 날. 월급을 받는 날은 각 사업체마다 조금씩 다르다. 월급에 대한 것은 월급 문서로. 여기서는 각 사업체의 월급날에 대해 기술한다.
월급날이 특정 일에 집중되어 있는 이유에 대해서는 여기를 참고.

2. 목록


  • 공무원[3]
    • 국가공무원 (공무원보수규정 제20조 제1항, 별표 30)[2]
      • 원칙 - 매달 10일[1]
      • 국방부 및 그 소속 기관 - 매달 10일
      • 교육부 및 그 소속 기관(각급 교육행정기관(교육청, 교육지원청 등) 및 교육기관(국공립 초중고등학교, 대학 등) 포함) - 매달 17일
      • 대법원,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행정안전부, 인사혁신처, 법무부, 서울특별시(부시장 등 서울특별시 소속 '국가'공무원을 말한다. 지방자치법 제112조 제5항.) 및 그 소속기관 - 매달 20일
      • 그 밖의 기관 및 그 소속 기관 - 매달 25일
    • 지방공무원 (지방공무원 보수규정 제19조)
      • 원칙 - 매달 20일
    • 교육감이 임용권을 가지는 공무원 - 매달 17일
    • 공무원이 아닌 기간제 근로자, 일용직 근로자, 사회복무요원 등 - 소속기관에 따라 다름
  • 공공기관(공기업, 준정부기관 및 기타공공기관) 직원
  • 삼성그룹 - 매달 15일[4], 21일, 26일[5]
  • 현대그룹 - 매달 11일
  • SK그룹 - 매달 11일, 25일[6]
  • LG그룹 - 매달 25일, 30일[7]
  • 롯데그룹 - 매달 15일
  • CJ그룹 - 매달 21일
  • 기아그룹 - 매달 11일
  • 한화그룹 - 매달 21일
  • 맥도날드 - 매달 10일
  • 롯데리아 - 매달 13일
  • KT그룹 - 매달 25일

3. 관련 문서


  • 월급
  • 월급쟁이
  • : 월급날을 영어로 하면 payday이다. 그리고, 하도 DLC가 많아 월급을 털어간다 하여 월급날2라는 별명도 가지고있다.

[1] 대한민국 국군 장병들의 봉급도 이 규정에 따라 매달 10일에 들어온다. 의무경찰, 의무소방 역시 이 날에 들어온다.[2] 판사는 법관의 보수에 관한 법률 제3조에, 검사는 검사의 보수에 관한 법률 제3조 제1항에, 각각 같은 취지의 별도 규정이 있다.[3] 공무원의 1개월 월급은 3번에 걸쳐 나온다.(1일 - 직급보조비, 10일 - 국가직:본봉/지방직:초과 근무수당, 20일 - 국가직:초과 근무수당/지방직:본봉)[4] 삼성물산 일부 직렬.[5] 삼성전자 일부 직렬.[6] SK하이닉스 [7] LG전자 일부 직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