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버스 11
1. 노선 정보
2. 개요
세운교통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53.65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2001년 3월 2일에 105-1번이 좌석버스에서 일반버스로 전환되면서 동시에 기점이 동춘동에서 인천터미널로 단축되었다. 단축된 구간을 대체하기 위해 신설되었고 강인여객에서 운행하였다.
- 2002년 1월 22월에 세운교통으로 이관되었다.
- 2013년 8월 1일부터 만수시장 대신 향촌지구를 경유하도록 변경되었다.
- 2014년 12월 1일에 일신동으로 연장되었다. 이 구간은 12번과 526번만 다녔지만 15년 만에 새로운 노선이 들어오게 되었다. 동시에 문학경기장역과 박태환수영장에 정차하지 않고 1대가 증차되었다.
- 2016년 7월 30일 시내버스 개편 때 1대가 감차되었다.
- 2016년 12월 3일 노선조정 때 67번과 통합되어 가좌동차고지로 기점이 연장되었고 부평역에서 중간출발하는 시간대가 생겼다. 초기 안건에서는 '송내역 - 일신시장 - 부개1동 - 한국아파트 - 부평역'이었으나 항동로의 열악한 대중교통 여건,[2] 기존 구간을 최대한 유지하기 위해 '송내역 - 풍림아파트 - 일신주공아파트 - 한국아파트 - 부평역'으로 노선이 변경되었다. 동시에 이용객들의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행선판에 '구 67번'이라는 표기를 넣었다.
- 2020년 12월 31일 시내버스 개편으로 백범로 직통으로 바뀌면서 인천의료원 대신 서인천가구단지를 경유하도록 변경되었다. 관련 공문 동시에 행선판 교체로 '구 67번' 표기가 삭제되었다. 67번과 합병된지 시간이 어느정도 흘러 더 이상 혼동이 없을거라고 판단하고 삭제한것.
4. 특징
- 전 차량 저상버스로 운행한다. 예비차로 좌석버스가 투입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 얼핏 보면 24-1번이 공통으로 운행하고 있는 구간과 비슷한 기종점을 갖고 있었지만, 공통노선이 부평의 학군을 도는 데 비해 이 노선은 그대로 직진하여 부평시장으로 간다는 차이점이 있었다.
- 67번 시절 인천에서 4번째로 프리머스가 투입되었고, 2014년 10월 말 경에는 수도권 간선버스[3] 최초로 화이버드가 투입되었다. 또한 67번 구간에서 가림고, 가정고, 가좌고, 명신여고, 세일고, 인천외고 등 통학 수요가 많다. 67번 시절 한때 510번과 함께 산업용품센터로 들어가는 둘 뿐인 노선이었다.
- 송내역과 구산사거리에서는 기점 방향 차량과 종점 방향 차량이 모두 정차하므로 행선지를 확인해야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다.
- 67번과 통합된 후 가좌동과 문학경기장을 오가지만 많이 돌아서 간다. 가좌동에서 문학경기장으로 가려면 지하철을 이용하면 된다.
- 당시 구월동과 만수동에서 승객들을 가득 채루고 송내역으로 가던 8번, 30번의 수요 분산과, 동시에 인천터미널로 가는 새로운 버스 노선으로 신설 당시부터 각광받으며 성공적으로 정착하였고 지금도 수요가 상당히 많다.
- 2009년 이전에 팀장을 주축으로 무전을 통해 특정 정류장 털어버리기로 8번, 30번의 위치를 추적하여 승객을 빼앗았다. 8번을 파리, 30번을 갈매기로 지칭하고 무전을 하였다. 회사에서는 아무도 모른다고 생각하였지만, 정작 8번, 30번 기사님들은 암구호의 존재를 알고 있었다. 무전의 음향이 높아서 민원이 들어와서 핸즈프리 방식으로 교체되어 이어폰으로 무전하도록 변경되었다. 이후 무전은 완전히 폐지된다.
- 문학경기장에서 회차할 때 문학경기장역을 거친 다음 문학경기장 북문에서 회차한다. 이 회차는 2011년에 실시된 회차인데, 관선고가차도에서 옆길을 막는 상황이 벌어지기 때문에 문학경기장 북문으로 연장하였다.
5. 연계 철도역
- [image] 수도권 전철 1호선: 부평역, 송내역
- [image] 인천 도시철도 1호선: 부평시장역, 부평역, 인천터미널역
- [image] 인천 도시철도 2호선: 모래내시장역, 석천사거리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