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성 황룡촌 전투
[image]
1. 개요
1894년 동학 농민 혁명 당시, 4월 22일부터 23일 사이에 전라도 장성군 일대에서 벌어진 동학 농민군과 관군 사이의 전투. 전투가 벌어진 황룡촌은 현재 전라남도 장성군 황룡면 소재지인 월평리 일대이다. 이 동네는 서쪽에 황룡강이 흐르고 남동쪽은 못재 고개, 북동쪽으로는 장성읍과 맞닿아 있다.
2. 전투 상황
1894년 3월 봉기 이후 황토현에서 감영군을 격퇴한 동학군의 세력이 전라도에서 전국으로 확대되기 시작하자, 이러한 사태에 다급함을 느낀 조선 조정은 홍계훈을 양호초토사로 삼아 이를 진압하게 하였다. 홍계훈은 한성을 지키던 장위영의 신식 병력들과 강화도의 신병들을 규합한 정예부대인 경군 1천명 중 약 8백명의 병력을 이끌고 인천 제물포를 출발해 서해를 돌아 전라도 군산에 상륙하여 금구를 거쳐 남하한다. 당시 이들의 병력은 독일 제국에서 수입한 크루프 사의 야포와 마우저 소총, 회선포 2문으로 무장하고 있었으며, 실력있는 청나라 용병 10여 명까지 보유한 강력한 부대였다.
4월 5일 홍계훈의 부대가 전주성에 입성하였고, 화력에서 열세인 동학군은 전주성 공략을 뒤로 미루고 관군을 피해 남쪽으로 퇴각하면서 정읍, 고창, 흥덕 등을 장악한 후, 관군의 전력을 자세히 분석한 전봉준은 동학군에게 전면전을 피하고 부대를 나누어 북상하라고 지시했다.
관군은 4월 18일경에서 움직이기 시작했다. 아마 홍계훈은 동학군을 과소 평가하고 여유롭게 진군했던 것 같았지만, 동학군은 이미 전봉준의 지시대로 관군의 진격 루트를 피해 장성까지 북상한 뒤였다. 장성에 도착한 동학군은 삼봉에 진을 쳤다. 자신이 동학군의 유인작전에 말려든 것을 알게된 홍계훈은 장위영 대관(壯衛營 隊官) 이학승에게 친군심영(親軍沁營)[1] 병력 300명을 주어 장성으로 진격하게 하였다.
심영(沁營) 병력은 비록 300명 뿐이었지만 정규 훈련을 받은 정예군이었고 레밍턴 롤링블럭 소총과 회선포[2] 까지 갖추고 있었기에 동학군으로선 무시할 수 없는 병력이었다. 이학승은 삼봉과 마주하고 있는 황룡강 근처에 진을 치고 동학군을 회유하는 서신을 동학군 측으로 보냈다. 그런데 이학승은 그 답이 오기도 전에 동학군에게 선제 공격을 가했다. 심영병(沁營兵)들은 장터에서 점심을 먹고 있던 동학군을 향해 크루프 야포로 포격을 가했고, 갑작스런 공격에 동학군 여럿이 죽거나 다쳤다.
전봉준은 즉시 고지로 올라가 학익진을 펼치라 명령하고, 관군의 움직임을 살폈다. 그런데 관군의 수는 불과 수백명 뿐이었고, 후방에 지원 부대도 전혀 없는 것을 보자, 전봉준은 한번 싸워볼만하다고 판단했다. 문제는 심영병(沁營兵)의 신식 무기에 어떻게 대처하느냐였다. 고민 끝에 전봉준은 손재주가 있는 농민들을 불러모아 방어용 무기를 제작하였다. 그 방어용 무기란 다름아닌 장태였다. 장태는 대나무를 쪼개 원형으로 이어붙인 것으로, 원래 병아리를 기르기 위한 일종의 둥지같은 것이었다. 대충 죽부인의 대형화 버전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image]
전북 정읍 동학 농민 운동 기념관에 전시된 장태
아무튼 동학군은 이 장태 속에 짚을 넣고 밖에 칼을 꽂아 관군을 향해 '''위에서 아래로''' 굴렸다. 당황한 관군들은 총과 포를 위를 향해 쏘며 진격했지만 관군이 쏘는 총탄은 전부 장태에 박힐 뿐이었다. 신식 무기가 무력화되자, 수적으로 열세인 심영병(沁營兵)들은 강을 건너 후퇴하기 시작했다. 동학군은 이들을 뒤쫓아 반격했다.
후퇴를 지원하며 뒤에 남아 싸우던 이학승은 치열한 백병전 끝에 장렬히 전사했고. 강화 심영병이 보유했던 레밍턴 소총 다수와 크루프 야포 1문과 회선포 1문이 동학군 수중에 넘어갔다.
3. 전투 이후
줄루 전쟁때 이산들와나 전투와 양상이 비슷하다. 신식무기로 무장한 소수의 병력이 압도적인 머릿수를 갖춘 전근대 병력에게 공세를 취했다가 인해전술에 신식무기의 화력을 살리기 어렵게 되자 그대로 밀려버렸다. 지휘관 이학승은 용맹도 있고, 지휘관으로서 소신도 있었으나 실전경험 부족으로 300의 병력으로 방어태세로 시간을 버는 대신 5천이 넘는 동학군에 공세를 취했으나, 고지에서 장태라는 굴려 화력을 상쇄한다는 동학군의 기책에 당해 무너졌다.
이 전투 이후 동학군의 사기는 크게 올라갔으며, 반대로 관군은 정예군이 큰 손실을 입었으며, 반란군의 전력을 강화시켜준 결과를 초례하였다.
[image]
증좌승지이공학승순의비(贈左承旨李公學承殉義碑)
월평에 전사한 장위영 대관 이학승을 기념하는 순의비가 서있다. 이학승은 죽은 후 통정대부 승정원 좌승지(通政大夫 承政院 左承旨)로 추증되었다. 이학승은 철수하던 관군의 최후미에서 철수작전을 감독하면서 동학군과 교전하다 살해되었다.
전투 지역 인근인 황룡면 장산리에는 이 전투를 기념하는 기념비와 동학농민기념공원을 조성하였다.
4. 대중 매체
SBS 드라마 녹두꽃 16화에서 다루었다. OST와 함께 나름 비장하게 그려지긴 했는데, 고증에서나 연출에서나 여러모로 아쉬웠다.
일단 관군이 게베어 1871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왔는데 당시 게베어는 중앙의 친군영이 주로 사용했으며, 동학군 진압을 위해 나선 심영병들은 레밍턴 롤링블럭을 주력으로 사용했다.
전투 상황의 묘사에 있어서도 사실과 다른 점이 너무 많다. 드라마에서는 동학군과 심영병들이 평탄한 강변에서 맞붙는 것으로 묘사하였으나, 전술했듯이 실제로는 동학군이 고지를 차지한 상태에서 심영병들이 위로 진격하면서 전투가 일어났다. 상식적으로 생각해 봐도, 저런 평지에서 장태를 굴려 봐야 제대로 된 돌격이 될 리도 없으며, 관군의 소총 사격에 장태가 관통되는 묘사도 있어서 이럴거면 뭐하러 장태를 굴리는지 의문이 들 정도.
거지떼가 크루프 야포 포신에 물을 부어 무력화시키는 것도 실제와는 다른 드라마 작가의 상상일 뿐이며,그 묘사도 다소 어설프고 작위적이다.
무엇보다도 당시 관군 지휘관은 장위영 대관이었던 이학승이었지 양계초토사 홍계훈이 아니었다. 게다가 이학승이 먼저 도망치는데, 실제 이학승은 제일 후미에 남아 마지막까지 싸우다 전사했다.